내 손안에 서울

서울시, 메르스 피해기업 긴급지원에 총력

문서 본문

메르스 여파로 한산한 명동ⓒ뉴시스

메르스 여파로 한산한 명동

메르스 여파로 피해를 겪고 있는 소기업·소상공인의 서울시 긴급 자금 신청이 연일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조기 보증공급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서울시와 서울신용보증재단(이사장: 강진섭, 이하 재단)은 지난 6월 10일 부터 메르스 발병 및 확산으로 피해를 겪고 있는 서울시 개인병원, 여행사 등 소기업·소상공인에게 <서울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동성지원 특별보증>을 통해 총 2,000억 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보증은 시행 12일 만에 4,389건의 상담이 접수됐으며, 금액으로 환산하면 1,278억 원입니다.

우선 재단은 메르스라는 특수한 상황과 그에 대한 긴급자금임을 감안하여 신속한 보증지원이 될 수 있도록 2차 심사를 생략하고 신용등급에 따른 보증한도 산정 방식으로 심사기준을 완화했습니다.

또한 각 지점에 “메르스 피해기업 전용상담창구”를 별도 마련하여 예약없이 신속한 보증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비상경영체제를 수립하여 본점 및 영업점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등 적시에 보증을 공급하기 위해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그 결과, 6월 22일 현재 366개의 피해기업에 112억 원의 보증이 지원됐습니다.

한편, 이번 특별보증의 지원대상은 개업 후 6개월이 경과한 서울시 소재 소기업·소상공인으로 보증한도는 기업 당 최대 5,000만 원(기 보증금액 포함)이며, 보증기간은 최대 5년, 상환방법은 1년 거치 3년(또는 4년) 균등분할상환입니다.

보증비율을 상향 100% 전액보증으로 실행함으로써 피해기업이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하였고, 특히 시가 피해기업의 경영여건을 고려하여 연 1.5%의 이자지원과 전체적인 대출금리 인하 노력을 기울인 결과 모든 피해기업이 연 1.8% 이내에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재단 역시 보증료를 우대 적용하여 메르스 직접 피해기업은 연 0.5%, 간접 피해기업은 연 0.8%의 보증료를 부담하게 함으로써 피해기업의 금융비용 절감에 힘을 보탰습니다.

또한 서울시와 재단은 심각한 영업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생계밀접형 10개 업종(일반음식점, 제과점, 슈퍼마켓, 세탁소 등) 소상공인에게는 특별보증과는 별개로 컨설팅과 시설개선 자금(업체당 최대 100만 원까지 총 4억 5,000만 원)을 함께 지원하여 실질적인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종합지원을 펼치고 있습니다.

강진섭 재단 이사장은 “메르스 피해 관련 특별보증 시행 전과 비교하여 보증상담 고객이 2배 이상 증가하여 직원들의 업무가중이 상당하다”면서 “그러나 재단은 그간 경제위기시마다 서민경제 안정에 선도적 역할을 해온 영세자영업자의 동반자로서, 메르스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기업·소상공인들의 경영여건 정상화를 최우선시하여 전 직원이 사명감을 가지고 합심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메르스 피해기업 종합지원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www.seoulshinbo.co.kr)와 고객센터(1577-6119)에 문의하면 됩니다.

문서 정보

서울시, 메르스 피해기업 긴급지원에 총력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5-06-24
관리번호 D0000022722060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