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일석이조! 색다른 '무료 전시' 2가지, 한자리에서 즐기다!

문서 본문

한국과 오스트리아 간의 현대 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서울공예박물관에서 5월 28일 개막하였다.

현대 장신구(Contemporary Jewellery)란 과거에 단순히 아름다움을 더하거나 부와 권력을 상징하던 장신구가 작가의 메시지를 담은 독립적인 예술품으로 인식되면서 형성된 공예 장르이다. 과감한 재료와 형식을 활용하는 공예적 실험, 다양한 철학적·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예술적 표현의 시도 등을 통해, 장식을 넘어 창작자와 착용자의 언어와 개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양국의 총 111명 작가(팀)의 대표 작품 675점을 소개하는 이번 전시는 크게 세 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주얼리 아방가르드(Avant-garde Jewellery)’에서는 197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초기 현대 장신구 작가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2부 ‘현대 장신구의 오늘(Contemporary Jewellery Now)’에서는 1990년대~2000년대 이후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서사, 자연, 신체라는 세 가지 소주제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3부 ‘현대 장신구의 내일(Crafting the Future)’에서는 3D 프린팅 제작 기법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산업 소재의 실험 등 최신의 기술과 재료를 시도하는 작품들을 통해 현대 장신구의 내일을 모색해 본다.

관람객의 의복 색상을 촬영, 스캔한 후 분석하여 전시 작품 중에서 잘 어울리는 장신구를 매칭해 주는 ‘매칭 주얼리’라는 인터랙티브 체험 코너도 있어 관람객들에게 인기다. 매월 첫째 주 금요일 ‘서울 문화의 밤’에는 이번 전시를 기획한 담당 학예사의 전시 해설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사전 접수를 받는다.

현대 미술이 난해할 수는 있지만 동시대성을 담고 있기에 어쩌면 친숙해질 수도 있듯이, 현대 장신구 역시 전시장에서 처음에 느낀 낯섦이 글을 쓰는 지금에는 신선한 문화적 경험으로 되살아남을 느낀다.

전시회 관람을 마쳤다면 맞은편 열린송현녹지광장을 방문해 보자. 서울시에서 주최하고 한국조각가협회에서 주관하는 야외 조각전 <감성 한 조각>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는 ‘조각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서울조각전시+’ 중의 하나로서, 원로 작가부터 청년 작가까지 대형 조각작품 23점을 선보인다.

지금 열린송현녹지광장은 온갖 꽃이 만발한 꽃대궐이다. 시원한 바람이 부는 탁 트인 야외공원에서 멋진 조각작품과 함께하는 시간은 휴식과 재미, 힐링이 있다. 섬세하고 정교한 장신구의 세계에서 막 나와 커다란 조각품의 세계를 유영하는 대조도 색다른 맛을 선사한다. 뚝섬한강공원에서도 또 다른 ‘서울조각전시+’전인 <걸음이 머물다>가 열리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다.
한국과 오스트리아 간의 현대 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이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정규
한국과 오스트리아 간의 현대 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이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정규
1부 ‘주얼리 아방가르드’에서는 197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초기 현대 장신구 작가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이정규
1부 ‘주얼리 아방가르드’에서는 197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초기 현대 장신구 작가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이정규
자클린 아이. 릴리, ‘나선 브로치’. ⓒ이정규
자클린 아이. 릴리, ‘나선 브로치’. ⓒ이정규
아니타 뮌츠, ‘얼굴’(좌), ‘세 개의 입을 가진 얼굴’(우), ‘두 얼굴’(아래), 브로치. ⓒ이정규
아니타 뮌츠, ‘얼굴’(좌), ‘세 개의 입을 가진 얼굴’(우), ‘두 얼굴’(아래), 브로치. ⓒ이정규
엘리자베트 제이. 구. 데프너, ‘물떼새 해골’, 목걸이. ⓒ이정규
엘리자베트 제이. 구. 데프너, ‘물떼새 해골’, 목걸이. ⓒ이정규
김정후, 좌로부터 ‘물방울 29’, ‘물방울 4’, ‘물방울 17’, 브로치. ⓒ이정규
김정후, 좌로부터 ‘물방울 29’, ‘물방울 4’, ‘물방울 17’, 브로치. ⓒ이정규
김재영, ‘얼리버드’(위), ‘아침 새 한 마리’(아래), 브로치. ⓒ이정규
김재영, ‘얼리버드’(위), ‘아침 새 한 마리’(아래), 브로치. ⓒ이정규
2부 ‘현대 장신구의 오늘’에서는 1990년대~2000년대 이후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서사, 자연, 신체라는 세 가지 소주제로 나누어 소개한다. ⓒ이정규
2부 ‘현대 장신구의 오늘’에서는 1990년대~2000년대 이후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서사, 자연, 신체라는 세 가지 소주제로 나누어 소개한다. ⓒ이정규
수잔네 함머, ‘선을 넘다’, 목걸이. ⓒ이정규
수잔네 함머, ‘선을 넘다’, 목걸이. ⓒ이정규
도리스 마닝거, ‘일본의 밤’, 브로치. ⓒ이정규
도리스 마닝거, ‘일본의 밤’, 브로치. ⓒ이정규
이동춘, 좌로부터 ‘피고지고’(목걸이), ‘피고지고’(브로치), ‘균형’(브로치), ‘피고지고’(브로치). ⓒ이정규
이동춘, 좌로부터 ‘피고지고’(목걸이), ‘피고지고’(브로치), ‘균형’(브로치), ‘피고지고’(브로치). ⓒ이정규
임종석, ‘춤’, 브로치. ⓒ이정규
임종석, ‘춤’, 브로치. ⓒ이정규
베아트릭스 카우프만, 좌로부터 ‘후크와 고리’(던질 수 있는 오브제), ‘보석 딱정벌레 #1’(오브제). ⓒ이정규
베아트릭스 카우프만, 좌로부터 ‘후크와 고리’(던질 수 있는 오브제), ‘보석 딱정벌레 #1’(오브제). ⓒ이정규
엘리자베트 하비히, ‘부드럽게 피어나는 공기 - 앵무조개, 새우, 주름, U’, 브로치. ⓒ이정규
엘리자베트 하비히, ‘부드럽게 피어나는 공기 - 앵무조개, 새우, 주름, U’, 브로치. ⓒ이정규
김희주, ‘유니버쉘’, 목걸이. ⓒ이정규
김희주, ‘유니버쉘’, 목걸이. ⓒ이정규
오세린 작가의 반지 작품들, ‘덫’(오른쪽 황금색 작품), ‘반짝이는 모든 것이 금이 아니듯’(중간 황금색 작품). ⓒ이정규
오세린 작가의 반지 작품들, ‘덫’(오른쪽 황금색 작품), ‘반짝이는 모든 것이 금이 아니듯’(중간 황금색 작품). ⓒ이정규
3부 ‘현대 장신구의 내일’에서는 최신의 기술과 재료를 시도하는 작품들을 통해 현대 장신구의 내일을 모색해 본다. ⓒ이정규
3부 ‘현대 장신구의 내일’에서는 최신의 기술과 재료를 시도하는 작품들을 통해 현대 장신구의 내일을 모색해 본다. ⓒ이정규
정령재, ‘모션 브로치(옐로우)’, 브로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작품이다. ⓒ이정규
정령재, ‘모션 브로치(옐로우)’, 브로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작품이다. ⓒ이정규
슈테피 모라베츠, ‘50965320’(좌), ‘69718469741851392000’(우), 목걸이. ⓒ이정규
슈테피 모라베츠, ‘50965320’(좌), ‘69718469741851392000’(우), 목걸이. ⓒ이정규
김계옥, ‘오로라_01~03_두 번째 피부’, 브로치. ⓒ이정규
김계옥, ‘오로라_01~03_두 번째 피부’, 브로치. ⓒ이정규
‘매칭 주얼리’라는 인터랙티브 체험 코너. 스크린 앞에 서면 촬영이 시작된다. ⓒ이정규
‘매칭 주얼리’라는 인터랙티브 체험 코너. 스크린 앞에 서면 촬영이 시작된다. ⓒ이정규
지금 열린송현녹지광장은 온갖 꽃이 만발한 꽃대궐이다. ⓒ이정규
지금 열린송현녹지광장은 온갖 꽃이 만발한 꽃대궐이다. ⓒ이정규
<감성 한 조각>전에서는 원로 작가부터 청년 작가까지 대형 조각작품 23점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은 정국택 작가의 ‘Businessman-Don Quixotes’. ⓒ이정규
<감성 한 조각>전에서는 원로 작가부터 청년 작가까지 대형 조각작품 23점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은 정국택 작가의 ‘Businessman-Don Quixotes’. ⓒ이정규
김인태, ‘Montage-Tiger’. ⓒ이정규
김인태, ‘Montage-Tiger’. ⓒ이정규
김숙빈, ‘지구온도 15℃.....’. ⓒ이정규
김숙빈, ‘지구온도 15℃.....’. ⓒ이정규
김영원, ‘Shadow of Shadow 21-3’. ⓒ이정규
김영원, ‘Shadow of Shadow 21-3’. ⓒ이정규
김도훈, ‘Horse’. ⓒ이정규
김도훈, ‘Horse’. ⓒ이정규
이후창, ‘형상과 현상-우담바라(優曇婆羅)’. ⓒ이정규
이후창, ‘형상과 현상-우담바라(優曇婆羅)’. ⓒ이정규
이형영, ‘일출, 일몰(blue)’. ⓒ이정규
이형영, ‘일출, 일몰(blue)’. ⓒ이정규
이송준, ‘쉬어가소~’. ⓒ이정규
이송준, ‘쉬어가소~’. ⓒ이정규
가는 봄을 아쉬워하는 형형색색의 화려한 꽃무리가 방문객을 맞고 있다. ⓒ이정규
가는 봄을 아쉬워하는 형형색색의 화려한 꽃무리가 방문객을 맞고 있다. ⓒ이정규

한국·오스트리아 현대 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

○ 기간 : 2024. 5. 28. ~ 7. 28.
○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4 서울공예박물관
○ 관람시간 : 10:00 ~ 18:00 (매주 금요일은 21:00까지 야간개관)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관람료 : 무료
누리집
○ 문의 : 02-6450-7000

서울조각전시+ <감성 한 조각>

○ 기간 : 2024. 5. 27. ~ 8. 15.
○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송현동 48-9 열린송현녹지광장
○ 관람료 : 무료
누리집
○ 문의 : 02-120 (다산콜센터)

문서 정보

일석이조! 색다른 '무료 전시' 2가지, 한자리에서 즐기다!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이정규 생산일 2024-06-10
관리번호 D0000050959279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