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사진으로만 봐도 완전 설레~ 눈으로 먼저 감상하는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문서 본문

한강공원에 초대형 정원이 탄생했다. 지난 5월 16일 뚝섬한강공원에서 막을 올린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본 행사 이후에도 연일 호황이다. 지난 20일에는 개장 5일 만에 관람객 100만 명을 돌파했다. ☞ [관련 기사] 벌써 102만 다녀갔다! 정원박람회 최단기간 최다 방문 기록

박람회장과 참여 작품 수는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이며, 박람회 작품 전시 기간도 10월까지로 최장이다. 그리고 2015년 첫 박람회 이래 처음으로 한강공원에서 치르는 운치 있고 다채로운 행사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번 박람회의 주제는 ‘Seoul, Green Vibe(서울에서의 정원의 삶)’이며, 부제는 ‘Colorful Hangang(색색가지 한강)’이다. 국제 행사로 확대된 이번 박람회에는 전문가, 학생, 시민, 기업, 기관, 그리고 외국인 등의 참여가 돋보이며 모두 76개의 정원 작품을 선보였다. 관련 산업전, 다양한 문화 행사가 박람회 기간 동안 진행돼 볼거리도 풍성했다.

정원 투어·문화 행사 등이 같이 열린 본 행사는 5월 16일부터 5월 22일까지였으며, 이후 10월 8일까지 정원 작품들의 상설 전시가 계속돼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정원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됐다. 시민들의 높은 관심에 따라 상설 전시 기간 동안 정원 문화 프로그램도 진행할 예정이며, 행사장 입구의 ‘해치 웰컴가든’, ‘서울 굿즈샵’도 10월까지 운영 예정이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모두 76개의 정원을 만나 볼 수 있다. ?초청정원 1곳 ?작가정원 10곳 ?학생동행정원 10곳 ?시민동행정원 15곳 ?기업참여정원 17곳 ?기관참여정원 4곳 등이 행사장 곳곳에 자리한다. 전문가가 조성한 ‘초청정원’과 국제 공모를 통해 선정된 10팀의 ‘작가정원’이 주축을 이루고, ‘기업참여정원’도 각 기업의 사회 공헌도와 기업 이미지 등을 작품을 통해 보여 주고 있다.

기관 참여로 이번 박람회에 작품을 출품한 국립생태원,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푸른수목원도 각각의 특색 있는 정원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박람회의 출품 정원 중 관련 전공 학생들의 ‘학생동행정원’과 시민들이 만든 ‘시민동행정원’이 더욱 신선한 모습으로 공원 산책로를 장식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의 상설 전시는 현재 진행 중이거나 진행 예정인 ‘2024 걸음이 머물다, 야외 조각작품전’,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한강불빛공연 드론라이트쇼’ 등의 각종 행사와도 잘 어우러져 시민들의 휴식처인 뚝섬한강공원이 더욱 볼거리 많은 힐링의 명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점점 더워지는 날씨에 야간에도 많은 시민들이 박람회 전시 정원 관람차 뚝섬한강공원을 찾고 있는 계절. 이에 맞추어 멋진 야경을 보여 주는 작품들이 있어 시민들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대형 해치와 소울 프렌즈가 국제정원박람회 방문객들을 맞고 있다. ©조수봉
대형 해치와 소울 프렌즈가 국제정원박람회 방문객들을 맞고 있다. ©조수봉
국제정원박람회 입구의 웰컴가든 ©조수봉
국제정원박람회 입구의 웰컴가든 ©조수봉
이동형 반려식물 클리닉도 운영 중이다. ©조수봉
이동형 반려식물 클리닉도 운영 중이다. ©조수봉
갖가지 꽃으로 조성된 음악분수광장의 글로벌정원 ⓒ조수봉
갖가지 꽃으로 조성된 음악분수광장의 글로벌정원 ⓒ조수봉
화분에 심어진 미루나무들이 멋진 풍경을 보여 준다. ⓒ조수봉
화분에 심어진 미루나무들이 멋진 풍경을 보여 준다. ⓒ조수봉
박람회 기간 동안 운영된 ‘책 읽는 한강정원’ ©조수봉
박람회 기간 동안 운영된 ‘책 읽는 한강정원’ ©조수봉
피크닉 무대에서는 ‘작은 정원 음악회’가 열렸다. ©조수봉
피크닉 무대에서는 ‘작은 정원 음악회’가 열렸다. ©조수봉
음악분수광장에서는 여러 화원들이 초화류 판매장을 운영했다. ⓒ조수봉
음악분수광장에서는 여러 화원들이 초화류 판매장을 운영했다. ⓒ조수봉
야외수영장에 자리한 가든센터에서는 정원 관련 프로그램 부스와 반려식물 판매 부스가 운영됐다. ©조수봉
야외수영장에 자리한 가든센터에서는 정원 관련 프로그램 부스와 반려식물 판매 부스가 운영됐다. ©조수봉
야외수영장을 이용해 조성한 수상 정원 ©조수봉
야외수영장을 이용해 조성한 수상 정원 ©조수봉
박람회장 입구의 ‘서울 굿즈샵’은 10월까지 운영 예정이다. ⓒ조수봉
박람회장 입구의 ‘서울 굿즈샵’은 10월까지 운영 예정이다. ⓒ조수봉

?초청정원
서울시립대 김영민 교수, 바이런 김영찬 소장의 ‘앉는 정원’ ⓒ조수봉
서울시립대 김영민 교수, 바이런 김영찬 소장의 ‘앉는 정원’ ⓒ조수봉

?작가정원
  • 이창엽, 이진 작가의 ‘회복의 시간’ ⓒ조수봉
    이창엽, 이진 작가의 ‘회복의 시간’ ⓒ조수봉
  • Yang He, Hongliang Chen(중국)의 ‘Section Garden’ ⓒ조수봉
    Yang He, Hongliang Chen(중국)의 ‘Section Garden’ ⓒ조수봉
  • Nicha Chongkriengkrai, Sorat Sitthidumrong(태국)의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Nicha Chongkriengkrai, Sorat Sitthidumrong(태국)의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 김현, 김은영 작가의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조수봉
    김현, 김은영 작가의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조수봉
  • 이지훈, 문경록 작가의 ‘기억과의 동행’ ⓒ조수봉
    이지훈, 문경록 작가의 ‘기억과의 동행’ ⓒ조수봉
  • Shixian Shen, Yiming Yang(중국)의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Shixian Shen, Yiming Yang(중국)의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 차용준 작가의 ‘호미 정원-Grab the Homi’ ©조수봉
    차용준 작가의 ‘호미 정원-Grab the Homi’ ©조수봉
  • 이호우, 김태원 작가의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이호우, 김태원 작가의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 조동범, 임승재 작가의 ‘겸재 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조수봉
    조동범, 임승재 작가의 ‘겸재 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조수봉
  • Md Ashraful Azad(방글라데시)의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Md Ashraful Azad(방글라데시)의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 이창엽, 이진 작가의 ‘회복의 시간’ ⓒ조수봉
  • Yang He, Hongliang Chen(중국)의 ‘Section Garden’ ⓒ조수봉
  • Nicha Chongkriengkrai, Sorat Sitthidumrong(태국)의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 김현, 김은영 작가의 ‘정원의 삶: 토룡은 큰 물에도 스러지지 않는다’ ©조수봉
  • 이지훈, 문경록 작가의 ‘기억과의 동행’ ⓒ조수봉
  • Shixian Shen, Yiming Yang(중국)의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 차용준 작가의 ‘호미 정원-Grab the Homi’ ©조수봉
  • 이호우, 김태원 작가의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 조동범, 임승재 작가의 ‘겸재 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조수봉
  • Md Ashraful Azad(방글라데시)의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학생동행정원
  • ‘기억의 샘이 물들어 철이 들 때’ ⓒ조수봉
    ‘기억의 샘이 물들어 철이 들 때’ ⓒ조수봉
  • ‘함께, 뚝섬’ ©조수봉
    ‘함께, 뚝섬’ ©조수봉
  • ‘계절이 꽃피우는 마음’ ⓒ조수봉
    ‘계절이 꽃피우는 마음’ ⓒ조수봉
  • ‘타버린 시간; 변화에도 웃을 수 있길’ ©조수봉
    ‘타버린 시간; 변화에도 웃을 수 있길’ ©조수봉
  • ‘스물네 조각: 불완전한 너’ ©조수봉
    ‘스물네 조각: 불완전한 너’ ©조수봉
  • ‘A Piece of Garden’ ⓒ조수봉
    ‘A Piece of Garden’ ⓒ조수봉
  • ‘Star Flows in You’ ©조수봉
    ‘Star Flows in You’ ©조수봉
  • ‘Eternal Moments 영원한 순간’ ©조수봉
    ‘Eternal Moments 영원한 순간’ ©조수봉
  •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 ©조수봉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 ©조수봉
  • 나의 옛날 나루터 이야기‘ ©조수봉
    나의 옛날 나루터 이야기‘ ©조수봉
  • ‘기억의 샘이 물들어 철이 들 때’ ⓒ조수봉
  • ‘함께, 뚝섬’ ©조수봉
  • ‘계절이 꽃피우는 마음’ ⓒ조수봉
  • ‘타버린 시간; 변화에도 웃을 수 있길’ ©조수봉
  • ‘스물네 조각: 불완전한 너’ ©조수봉
  • ‘A Piece of Garden’ ⓒ조수봉
  • ‘Star Flows in You’ ©조수봉
  • ‘Eternal Moments 영원한 순간’ ©조수봉
  • ‘언제나 나, 너, 하늘을 봐요’ ©조수봉
  • 나의 옛날 나루터 이야기‘ ©조수봉

?시민동행정원
  • ‘내 마음속의 매력정원’ ©조수봉
    ‘내 마음속의 매력정원’ ©조수봉
  • ‘삼삼한 매력정원’ ©조수봉
    ‘삼삼한 매력정원’ ©조수봉
  • ‘바람길로 소요하는 매력정원’ ©조수봉
    ‘바람길로 소요하는 매력정원’ ©조수봉
  • ‘도랑이 있는 논시밭 풍경’ ©조수봉
    ‘도랑이 있는 논시밭 풍경’ ©조수봉
  •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 ©조수봉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 ©조수봉
  • ‘보물찾기’ ⓒ조수봉
    ‘보물찾기’ ⓒ조수봉
  • ‘아이와, 함께, 바라는 정원’ ©조수봉
    ‘아이와, 함께, 바라는 정원’ ©조수봉
  • ‘정원의 시간은 섬세하다’ ©조수봉
    ‘정원의 시간은 섬세하다’ ©조수봉
  • ‘읽어버린 감각을 되살리는 매력정원’ ©조수봉
    ‘읽어버린 감각을 되살리는 매력정원’ ©조수봉
  • ‘싱그러운 힐링정원’ ©조수봉
    ‘싱그러운 힐링정원’ ©조수봉
  • ‘내 마음속의 매력정원’ ©조수봉
  • ‘삼삼한 매력정원’ ©조수봉
  • ‘바람길로 소요하는 매력정원’ ©조수봉
  • ‘도랑이 있는 논시밭 풍경’ ©조수봉
  • ‘감각을 품다, 사계매력정원’ ©조수봉
  • ‘보물찾기’ ⓒ조수봉
  • ‘아이와, 함께, 바라는 정원’ ©조수봉
  • ‘정원의 시간은 섬세하다’ ©조수봉
  • ‘읽어버린 감각을 되살리는 매력정원’ ©조수봉
  • ‘싱그러운 힐링정원’ ©조수봉

?기업참여정원
  • 동양생명보험의 ‘수호천사의 정원’ ©조수봉
    동양생명보험의 ‘수호천사의 정원’ ©조수봉
  • 메르세데스-벤츠 사회공헌위원회의 ‘그린플러스 도시숲’ ©조수봉
    메르세데스-벤츠 사회공헌위원회의 ‘그린플러스 도시숲’ ©조수봉
  • 삼성물산의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삼성물산의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 AIA생명의 ‘다시 생각하는 건강 정원’ ⓒ조수봉
    AIA생명의 ‘다시 생각하는 건강 정원’ ⓒ조수봉
  • NH농협손해보험의 ‘헤아림 정원’ ©조수봉
    NH농협손해보험의 ‘헤아림 정원’ ©조수봉
  •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의 ‘인사이드 아웃 가든’ ©조수봉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의 ‘인사이드 아웃 가든’ ©조수봉
  • KB증권의 ‘깨비정원’ ©조수봉
    KB증권의 ‘깨비정원’ ©조수봉
  • HDC현대산업개발의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HDC현대산업개발의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 헨켈코리아의 ‘헨켈 포레스트’ ©조수봉
    헨켈코리아의 ‘헨켈 포레스트’ ©조수봉
  • 데코가드닝의 ‘나풀 정원’ ⓒ조수봉
    데코가드닝의 ‘나풀 정원’ ⓒ조수봉
  • 동양생명보험의 ‘수호천사의 정원’ ©조수봉
  • 메르세데스-벤츠 사회공헌위원회의 ‘그린플러스 도시숲’ ©조수봉
  • 삼성물산의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 AIA생명의 ‘다시 생각하는 건강 정원’ ⓒ조수봉
  • NH농협손해보험의 ‘헤아림 정원’ ©조수봉
  • 월트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의 ‘인사이드 아웃 가든’ ©조수봉
  • KB증권의 ‘깨비정원’ ©조수봉
  • HDC현대산업개발의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 헨켈코리아의 ‘헨켈 포레스트’ ©조수봉
  • 데코가드닝의 ‘나풀 정원’ ⓒ조수봉
  • 서울시 산림조합의 ‘산림 숨: 쉼’ ©조수봉
    서울시 산림조합의 ‘산림 숨: 쉼’ ©조수봉
  • 우리씨드의 정원 조성 ©조수봉
    우리씨드의 정원 조성 ©조수봉
  • 한수종합조경의 ‘작고 하찮은 소중한 정원’ ⓒ조수봉
    한수종합조경의 ‘작고 하찮은 소중한 정원’ ⓒ조수봉
  • 허브사랑농장의 ‘바람을 남긴 향기 정원’ ⓒ조수봉
    허브사랑농장의 ‘바람을 남긴 향기 정원’ ⓒ조수봉
  • ‘차양과 공간’의 ‘間+空’ ©조수봉
    ‘차양과 공간’의 ‘間+空’ ©조수봉
  • 킹스타라이팅의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킹스타라이팅의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 태양썬룸의 ‘도시의 쉼터’ ©조수봉
    태양썬룸의 ‘도시의 쉼터’ ©조수봉
  • 서울시 산림조합의 ‘산림 숨: 쉼’ ©조수봉
  • 우리씨드의 정원 조성 ©조수봉
  • 한수종합조경의 ‘작고 하찮은 소중한 정원’ ⓒ조수봉
  • 허브사랑농장의 ‘바람을 남긴 향기 정원’ ⓒ조수봉
  • ‘차양과 공간’의 ‘間+空’ ©조수봉
  • 킹스타라이팅의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 태양썬룸의 ‘도시의 쉼터’ ©조수봉

?기관참여정원
  • 국립생태원의 ‘사라져가는 습지식물을 만나다’ ⓒ조수봉
    국립생태원의 ‘사라져가는 습지식물을 만나다’ ⓒ조수봉
  • 서울대공원의 ‘세대공감 40+정원’ ©조수봉
    서울대공원의 ‘세대공감 40+정원’ ©조수봉
  • 서울식물원의 ‘내 손으로 만드는 정원’ ©조수봉
    서울식물원의 ‘내 손으로 만드는 정원’ ©조수봉
  • 푸른수목원의 ‘푸른정원, 푸른 듬성숲’ ©조수봉
    푸른수목원의 ‘푸른정원, 푸른 듬성숲’ ©조수봉
  • 국립생태원의 ‘사라져가는 습지식물을 만나다’ ⓒ조수봉
  • 서울대공원의 ‘세대공감 40+정원’ ©조수봉
  • 서울식물원의 ‘내 손으로 만드는 정원’ ©조수봉
  • 푸른수목원의 ‘푸른정원, 푸른 듬성숲’ ©조수봉

?야경으로 본 정원
  • ‘앉는 정원’ ©조수봉
    ‘앉는 정원’ ©조수봉
  • ‘Section Garden’ ⓒ조수봉
    ‘Section Garden’ ⓒ조수봉
  •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 ‘間+空’ ©조수봉
    ‘間+空’ ©조수봉
  •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 ‘앉는 정원’ ©조수봉
  • ‘Section Garden’ ⓒ조수봉
  • ‘The Butterfly Effect’ ©조수봉
  •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조수봉
  • ‘뚝뚝, 걸어보길’ ⓒ조수봉
  • ‘심심해지다, 명상하다, 고마워하다’ ⓒ조수봉
  • ‘에버스케이프_시간을 초월한 풍경’ ©조수봉
  • ‘도심 속의 보석’ ©조수봉
  • ‘間+空’ ©조수봉
  • ‘민들레 홀씨등’ ©조수봉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상설전시

○ 기간 : 2024. 5. 23.~10. 8.
○ 장소 :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427-1 뚝섬한강공원 일대
○ 교통 : 지하철 7호선 자양역 2번 출구
누리집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문서 정보

사진으로만 봐도 완전 설레~ 눈으로 먼저 감상하는 '서울국제정원박람회'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조수봉 생산일 2024-05-24
관리번호 D000005084521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