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뚝섬한강공원이 거대한 서울정원이 되었다! 정원 속에서 힐링 그 자체

문서 본문

지금 이곳에 공원을 만들지 않으면
100년 후에는 이만한 크기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 뉴욕 센트럴파크 공원 조경가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 -

정원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정원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삭막한 환경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에 비해 20% 이상 우울감이 해소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린다는 반가운 소식에 단숨에 달려갔다. 개막 첫날부터 인산인해, 6만 평 뚝섬한강공원이 거대한 서울정원으로 탈바꿈했다.

지하철역 뚝섬역에서 내리자 해치웰컴가든에 '해치'가 환한 미소를 머금고 손을 흔든다. 뚝섬한강공원으로 들어서니 푸른 하늘과 시원한 강 바람, 알록달록 꽃 봉오리, 초록초록 화초와 나무들이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전시장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가득하고 시민들의 즐거운 발걸음은 끝없이 이어졌다.

한강을 배경으로 자리한 무대에서 개막식이 진행됐다. 국제 공모를 통해 선발된 국내외 전문가와 학생, 시민, 기업, 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모였다. 오세훈 서울 시장은 환영사에서 “1년 여의 준비 기간을 거쳐 서울 시민이 모두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수준의 정원박람회가 준비됐다”며 “많은 서울 시민이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녹지공간, 정원과 꽃이 있는 ‘정원도시 서울’을 반드시 만들어 내겠다”고 했다.

'정원도시 서울'에서 만끽하는 휴식

서울시는 2015년부터 '정원도시 서울'을 표방하며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는 ‘서울, 그린 바이브(Seoul, Green Vibe, 서울에서의 정원의 삶)’ 주제와 ‘컬러풀 한강(Colorful Hangang, 색색가지 한강)’ 부제로, ‘정원 도시, 서울’의 감성과 문화를 담은 고품격 정원 축제를 선보인다.

국제 공모에서 선발된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하는 작가정원부터 학생, 시민, 기업, 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조성한 다채로운 정원을 만나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원도시 서울’의 위상을 알리고,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차별화된 정원축제를 만들어간다. 시민의 생활 속에서 정원문화가 자리 잡아 건강한 일상과 여가를 보낼 수 있도록 정원문화를 배우고 즐기고 느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번 정원박람회에서 선보인 정원은 총 76개, 역대 최대 규모의 부지 약 1만 460㎡ 면적에 조성됐다. ?초청정원(1개) ?작가정원(10개) ?학생동행정원(10개) ?시민동행정원(15개) ?기업동행정원(17개) ?기관참여정원(4개) ?글로벌정원 ?가든센터(4개)를 비롯해 시민참여로 조성한 정원(19개) 등이 행사장 곳곳을 채웠다. ?정원문화프로그램은 5월 16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된다.

방울방울 다채로운 색깔로 화사하게 피어난 꽃들과 초록을 한껏 머금은 화초와 나무로 가득한 자연의 품 속에서 모처럼 여유를 만끽했다. 정원박람회를 둘러본 후, 한강을 바라보며 카메라를 내려놓고 편안한 빈백쿠션과 전시장 벤치에 앉아 휴식을 취했다. 도시 생활의 삭막함을 뒤로 하고 '정원의 도시 서울'을 걸으며 잠시나마 지친 마음을 달래 보는 건 어떨까.
'해치웰컴가든'에 '해치'가 커다란 입에 미소를 머금고 손을 흔든다. ©이봉덕
'해치웰컴가든'에 '해치'가 커다란 입에 미소를 머금고 손을 흔든다. ©이봉덕
'해치웰컴가든'에서 소원의 글을 입히며 해치와 함께 놀고 있는 시민들 ©이봉덕
'해치웰컴가든'에서 소원의 글을 입히며 해치와 함께 놀고 있는 시민들 ©이봉덕
한강을 배경으로 자리한 메인 무대에서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막식이 진행됐다. ©이봉덕
한강을 배경으로 자리한 메인 무대에서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막식이 진행됐다. ©이봉덕
'SEOUL MY SOUL'을 상징하는 O.Y.U 자 화단으로 조성된 무대 광장 ©이봉덕
'SEOUL MY SOUL'을 상징하는 O.Y.U 자 화단으로 조성된 무대 광장 ©이봉덕
초청정원 <앉는 정원>의 전경, 국내외 전문가가 조성한 아름다운 정원이 눈길을 끌었다. ©이봉덕
초청정원 <앉는 정원>의 전경, 국내외 전문가가 조성한 아름다운 정원이 눈길을 끌었다. ©이봉덕
 작가정원, 태국 작가의 <The Butterfly Effect Garden, 나비효과 정원> 작품 ©이봉덕
작가정원, 태국 작가의 <The Butterfly Effect Garden, 나비효과 정원> 작품 ©이봉덕
작가정원, 중국 작가의 작품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시민들이 작품 속에서 감상하고 있다. ©이봉덕
작가정원, 중국 작가의 작품 <Biological Self-organizing Garden>, 시민들이 작품 속에서 감상하고 있다. ©이봉덕
작가정원, 이지훈. 문경록 작가의 정원 <기억과 함께 동행>, 시민들이 편하게 앉아서 작품을 바라보고 있다. ©이봉덕
작가정원, 이지훈. 문경록 작가의 정원 <기억과 함께 동행>, 시민들이 편하게 앉아서 작품을 바라보고 있다. ©이봉덕
작가정원, 조동범. 임승재 작가의 <겸재 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겸재 정선의 그림들과 도시인들의 공통점을 표현했다고 한다. ©이봉덕
작가정원, 조동범. 임승재 작가의 <겸재 선생님, 한강공원에서 뵈어요>. 겸재 정선의 그림들과 도시인들의 공통점을 표현했다고 한다. ©이봉덕
작가정원_방글라데시 작가의 작품 <심심해지나.명상하다.고마워하다>. 밖과 분리된 공간, 단일종 식재 등으로 단순하고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했다. ©이봉덕
작가정원_방글라데시 작가의 작품 <심심해지나.명상하다.고마워하다>. 밖과 분리된 공간, 단일종 식재 등으로 단순하고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했다. ©이봉덕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학생동행정원과 아기자기하게 꾸민 시민동행정원 ©이봉덕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학생동행정원과 아기자기하게 꾸민 시민동행정원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삼성물산 <시간의 다리>, 정원 전문기업의 기술력이 돋보인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삼성물산 <시간의 다리>, 정원 전문기업의 기술력이 돋보인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삼성물산이 선보인 친환경 정원 <에버스케이프 : 영원한 풍경>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삼성물산이 선보인 친환경 정원 <에버스케이프 : 영원한 풍경>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NH농협손해보험, 사람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자연의 헤아림을 느낄 수 있는 정원 <헤아림정원>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NH농협손해보험, 사람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자연의 헤아림을 느낄 수 있는 정원 <헤아림정원>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헨켈코리아 <헨켈 포레스트>,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 화분에 묘목을 심고, 진화하는 숲을 선보이고 있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헨켈코리아 <헨켈 포레스트>,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 화분에 묘목을 심고, 진화하는 숲을 선보이고 있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KB증권 <깨비정원> 도심 환경 재생을 위한 친환경 테마로 조성한 정원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KB증권 <깨비정원> 도심 환경 재생을 위한 친환경 테마로 조성한 정원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차양과 공간 작품 <Outdoor Space Toral Solusions>. 스마트 루프 시스템이 눈에 띈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차양과 공간 작품 <Outdoor Space Toral Solusions>. 스마트 루프 시스템이 눈에 띈다. ©이봉덕
기업동행정원_태양썬룸 <세송이물망초> 정원.  통일부와 협업으로 꾸민 정원으로 납북자, 국군포로의 생환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이봉덕
기업동행정원_태양썬룸 <세송이물망초> 정원. 통일부와 협업으로 꾸민 정원으로 납북자, 국군포로의 생환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이봉덕
기관참여정원_국립생태원, ‘멸종위기 습지식물 구하기’라는 주제로 ‘멸종위기 수생식물 정원’을 조성했다. ©이봉덕
기관참여정원_국립생태원, ‘멸종위기 습지식물 구하기’라는 주제로 ‘멸종위기 수생식물 정원’을 조성했다. ©이봉덕
가든센터_현대장미원, 탐스러운 장미들이 시민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이봉덕
가든센터_현대장미원, 탐스러운 장미들이 시민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이봉덕
가든센터, 파란 하늘 아래 커다란 분홍빛 꽃화분이 관람장의 분위기를 화사하게 돋우고 있다. ©이봉덕
가든센터, 파란 하늘 아래 커다란 분홍빛 꽃화분이 관람장의 분위기를 화사하게 돋우고 있다. ©이봉덕
가든센터_우리씨드그룹에서 준비한 아름다운 정원 ©이봉덕
가든센터_우리씨드그룹에서 준비한 아름다운 정원 ©이봉덕
가든센터_라이네쎄정원, 알록달록 화사한 봄 꽃과 채소들이 전시되어 있다. 현장 구입도 가능하다. ©이봉덕
가든센터_라이네쎄정원, 알록달록 화사한 봄 꽃과 채소들이 전시되어 있다. 현장 구입도 가능하다. ©이봉덕
정원문화프로그램_시민정원사마을에서 손수건염색, 동행화분, 꽃차시음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이봉덕
정원문화프로그램_시민정원사마을에서 손수건염색, 동행화분, 꽃차시음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이봉덕
▲ 정원문화프로그램 _시민정원사마을에서 다채롭게 펼쳐지는 시민 체험 현장, 꽃차시음, 씨앗놀이터, 동행화분만들기, 매력화분만들기 재료가 준비됐다. ©이봉덕
▲ 정원문화프로그램 _시민정원사마을에서 다채롭게 펼쳐지는 시민 체험 현장, 꽃차시음, 씨앗놀이터, 동행화분만들기, 매력화분만들기 재료가 준비됐다. ©이봉덕
정원문화프로그램 _시민정원사마을에서 쪽 염색을 마친 손수건들이 바람에 나부끼며 색을 찾아가고 있다. ©이봉덕
정원문화프로그램 _시민정원사마을에서 쪽 염색을 마친 손수건들이 바람에 나부끼며 색을 찾아가고 있다. ©이봉덕
음악분수광장에 시원한 물줄기가 하늘을 향해 솟아나고 있다. ©이봉덕
음악분수광장에 시원한 물줄기가 하늘을 향해 솟아나고 있다. ©이봉덕
책 읽는 한강정원, 본행사 기간에 정원작가들의 오픈 북토크쇼를 진행한다. ©이봉덕
책 읽는 한강정원, 본행사 기간에 정원작가들의 오픈 북토크쇼를 진행한다. ©이봉덕
정원박람회장을 둘러본 후 뚝섬한강공원 벤치에 앉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시민들 ©이봉덕
정원박람회장을 둘러본 후 뚝섬한강공원 벤치에 앉아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시민들 ©이봉덕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 기간 :
- 본행사 : 2024. 5. 16.~5. 22.
- 상설전시 : 2024. 5. 23.~10. 8.
○ 장소 : 뚝섬한강공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변북로 193)
○ 주제 : Seoul, Green Vibe / 서울에서의 정원의 삶
○ 누리집 :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문서 정보

뚝섬한강공원이 거대한 서울정원이 되었다! 정원 속에서 힐링 그 자체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이봉덕 생산일 2024-05-22
관리번호 D0000050827642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