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쓸수록 매력적인 '기후동행카드', 서울시민의 필수카드인 이유!

문서 본문

지난 1월 27일, ‘기후동행카드’가 등장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교통카드로, 1회 충전 시 30일간 지하철과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이다. 기존 지하철 전용 정기권은 있었지만, 버스 이용은 불가능했고 지하철도 횟수 제한이 있어 기후동행카드와는 성격이 달랐다.

출시부터 기후동행카드를 찾는 시민이 많았고, 100일이 지났을 때는 125만 장이 팔렸다. 보통 서울시의 인구를 천만 명으로 가정할 때, 10% 넘는 서울시민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셈이다. 지난 2일, 기후동행카드 하루 사용량도 50만 장을 넘겨, 서울시의 목표인 일일 사용자 50만 명을 가뿐히 넘겼다. ☞ [관련 기사] 청년들 몰렸다! 기후동행카드 '100만장' 판매 돌파

그렇다면, 기후동행카드가 출시 100일 만에 100만 장 넘게 팔린 까닭은 무엇일까. 출시 직후부터 현재까지 기후동행카드를 애용하고 있는 시민으로서 네 가지 이유를 통해 기후동행카드의 인기 비결을 살펴보려 한다.
서울 지하철과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조수연
서울 지하철과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조수연

① 불편함 없앤 기후동행카드, 신용·체크카드 충전도 OK!

첫째, 기후동행카드의 신용·체크카드 충전 도입이다. 서울시는 지난 4월 24일부터 모바일카드, 4월 27일부터 실물카드로 충전할 수 있게 변경했다. 또한, 삼성페이(간편결제)로도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실물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시민은 카드 충전 및 간편결제 충전이 반갑다. 요즘은 현금은 물론 실물카드조차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모바일카드나 간편결제로 결제할 수 있으니 충전이 한결 편해졌다.
실물 기후동행카드의 신용·체크카드의 충전이 가능해져 한결 편리해졌다. ⓒ조수연
실물 기후동행카드의 신용·체크카드의 충전이 가능해져 한결 편리해졌다. ⓒ조수연

만료된 기후동행카드를 충전하기 위해 지하철 역사에 비치된 1회용 교통권 발매기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충전해 봤다. 신용카드 리더기에 신용카드를 꽂으면 바로 결제가 진행됐는데, 신용카드 충전 방법은 아래 영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지하철 1회용 교통권 발매기에서 신용카드로 기후동행카드를 충전했다. ⓒ조수연

② 김포골드라인, 기후동행카드 사용할 수 있어요!

둘째, 김포골드라인까지 확대기후동행카드 사용 범위다. 서울시와 김포시는 김포한강신도시에서 김포공항을 연결하는 ‘김포골드라인’에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협의했다. 이에 지난 3월 30일부터 김포골드라인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효과는 좋았다. 김포시에 따르면 3월 30일 400여 명으로 시작한 이용자가 불과 한 달 만에 3,000여 명까지(4월 29일 기준) 늘었다.
김포골드라인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조수연
김포골드라인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조수연

기후동행카드의 김포골드라인 도입은 김포한강신도시뿐만 아니라, 다른 수도권 지역까지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남겨 놓았기에 큰 의의가 있다. 현재 서울시는 인천, 경기 김포·군포·과천·고양시와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지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군포지역 지하철 1·4호선 7개 역, 과천지역 지하철 4호선 5개 역, 고양시지역 지하철 3호선 10개 역사(대화~삼송)·경의중앙선 10개 역사(탄현~한국항공대)·서해선 6개 역사(일산~능곡) 등 26개 역에서 조만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김포공항역에서 김포골드라인 고촌역까지,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해 봤다. 고촌역에서 승하차할 때, 기후동행카드가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퇴근 전쟁을 벌이는 김포한강신도시 시민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될 것 같았다.
고촌역에 설치된 기후동행카드 안내판 ⓒ조수연
고촌역에 설치된 기후동행카드 안내판 ⓒ조수연

③ 청년이라면? 5만 5,000원까지 저렴해진 가격!

셋째, 청년이라면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더 생겼다. 바로 지난 2월 말부터 청년 할인이 시작됐고, 현재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이 만 34세에서 39세까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먼저, 청년 할인 확대는 기후동행카드의 또 다른 취지‘환경’과도 관계가 있다.

왜냐하면 30대 청년들의 자가용 보유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서울시 청년 기본 조례에 따른 청년층(만 19~39세) 중 만 35~39세의 차량 보유량은 약 23만 대로, 다른 연령대(19~24세 - 1만 대, 25~29세 - 7만 대, 30~34세 - 17만 대)에 비해 높다. 30대 중후반 청년들에게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혜택을 주면, 많은 청년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인의 기후동행카드 4월 이용내역 ⓒ티머니 누리집
본인의 기후동행카드 4월 이용내역 ⓒ티머니 누리집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은 청년 본인 명의로 가입된 모바일과 실물카드를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등록한 다음, 7월부터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할인액(월 7,000원, 5개월 간 최대 3만 5,000원) 환급을 신청할 수 있다. 7월부터는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5만 8,000원권과 따릉이 사용이 미포함된 5만 5,000 원권을 선택해 구매할 수 있다.

청년인 기자는 1월부터 사용했기에 최대 3만 5,000원 환급을 신청할 수 있다. 매월 5만 5,000원에 즐길 수 있는 서울의 대중교통. 청년이라면 당장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파격적인 혜택이다.
기후동행카드로 교통비를 꽤 절약할 수 있었다. ⓒ티머니 누리집
기후동행카드로 교통비를 꽤 절약할 수 있었다. ⓒ티머니 누리집

④ 기후동행카드 한 장에 문화 혜택까지 담았다!

이제 기후동행카드에 문화 혜택까지 담았다. 서울시는 (재)국립발레단과 제휴해 ‘5월 인어공주’, ‘6월 돈키호테’ 관람시 기후동행카드 이용자에게 10%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5월 24일부터 빛의 시어터(워커힐 호텔앤리조트 B1)에서 진행되는 ‘베르메르부터 반고흐까지’ 관람 시 기후동행카드 소지자는 20% 내외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서울대공원과 서울식물원 등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대표 문화시설 할인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의 경우 기획전시 관람료, 서울시립과학관은 관람료의 50% 범위에서 할인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기후동행카드 소지자에게 문화 혜택도 제공된다. ⓒ조수연
기후동행카드 소지자에게 문화 혜택도 제공된다. ⓒ조수연

7월부터는 단조로운 디자인 대신, 서울시 대표 캐릭터 해치가 들어간 기후동행카드가 출시된다고 하니, 이 또한 궁금하다. 9월에는 신용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나온다고 하니, 점점 더 발전하는 기후동행카드에 기대가 크다.

한편, 외국인 관광객이나 국내 단기 방문객이 환영할 소식도 있다. 7월부터 관광객을 위한 '기후동행카드 관광권'을 출시한다는 것이다. ‘기후동행카드 관광권’은 ?1일권 5,000원 ?2일권 8,000원, ?3일권 1만원, ?5일권 1만 5,000원 총4개로, 1일 기준 2~3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저렴한 비용으로 선택한 기간 동안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어 관광객들에게 경제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런던, 파리 등 세계적인 도시에서는 관광객을 위한 다양한 교통 패스를 볼 수 있는데 비해, 그동안 서울에는 이런 교통 패스가 없어 아쉬웠다. 하지만 이번 기후동행카드 관광권 출시를 통해 서울이 글로벌 매력도시로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다.

이처럼 기후동행카드는 출시 후 많은 정책과 혜택을 통해 그 영향력을 더해가고 있다. 우리는 저렴한 가격에 서울의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좋고, 장기적으로 ‘기후동행’이라는 취지에 맞게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일조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서울시민의 필수 카드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활성화로 경제성과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조수연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활성화로 경제성과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 ⓒ조수연

문서 정보

쓸수록 매력적인 '기후동행카드', 서울시민의 필수카드인 이유!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조수연 생산일 2024-05-17
관리번호 D0000050795760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