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남산예장자락' 따라서 역사의 숨결 되짚어 보는 공간 3곳

문서 본문

세상 모든 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되고 부식된다. 생명도 그러하고 사물도 그러하고 우리의 기억도 그러하다. 하지만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경구가 말하듯 한 공동체의 집단기억인 역사는 우리가 다양하게 소환하고 재발견함으로써 망각의 흐름을 거스르며 다른 세대로, 공동체의 미래로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명동 전철역에서 남산으로 오르는 길목에 있는 '남산예장자락'은 한 세기 전 국권침탈의 시기에서부터 근현대의 군사독재시절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 그 속에서 별처럼 찬란하게 빛났던 위인들을 알아가게 되는 역사의 공간이다. 이 일대는 조선시대에는 군사들의 무예훈련장(예장)이 있었고, 일제 침략기에는 조선 침략의 교두보였던 통감부와 통감관저가 들어섰으며, 군사독재시절에는 고문 수사를 자행하던 중앙정보부가 있던 자리이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남산예장자락 재생사업’을 시작해 2021년 6월에 남산예장공원을 개장한 바 있다. 지상에는 녹지공원과 ‘기억6’이 조성되었고 조선총독부 관사 유구터가 보존되어 있다. 지하에는 이회영기념관이 자리한다.
남산예장공원 지하에 있는 이회영기념관 가는 길. 가운데 뚫린 곳은 남산하늘이라 불린다. ⓒ이정규
남산예장공원 지하에 있는 이회영기념관 가는 길. 가운데 뚫린 곳은 남산하늘이라 불린다. ⓒ이정규

|이회영기념관

이회영기념관은 독립운동가이자 공화주의자, 아나키스트로 치열한 독립운동을 펼친 우당 이회영과 그 동지들을 기리고자 조성한 공간이다. 우당 이회영은 1910년 강제 한일병합이 이루어지자 다섯 명의 형제들과 함께 전 재산을 처분하여 만주 서간도로 이주한 후 치열한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회영과 형제들은 서간도에 터를 잡자마자 1911년 망명동포 자치기구인 '경학사'와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세웠다.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 일제의 탄압으로 문을 닫기까지 3,500여 명의 독립투사를 길러냈고, 이들이 주축이 되어 봉오동전투(1920년 6월)와 청산리전투(1920년 10월)를 승리로 이끌었다. 고난과 궁핍, 배고픔의 길이었던 독립투쟁을 위해, 이회영은 묵란(먹으로만 그린 난초)을 내다 팔아 독립운동자금으로 쓰기도 했다. 우당 이회영은 1932년 다롄항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뤼순 감옥으로 이감된 후 모진 고문 끝에 순국했다.

우당의 아내이자 동지, 독립운동가인 이은숙 선생의 삶을 조명하는 특별전인 <나는 이은숙이다>도 10월 31일까지 만나볼 수 있다. 이은숙은 신흥무관학교 설립과정과 운영에 참여하면서 가솔을 건사했고, 국내에 들어와서도 독립운동자금을 보내는 등 항일운동을 계속했다. 그가 쓴 <서간도시종기(西間島始終記)>(1966)는 그와 이회영 6형제와 동지들의 독립운동 노정을 기록한 한국독립운동 기록보고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며 여성독립운동가의 육필본이 있는 유일한 기록이다. ‘서간도시종기’란 서간도의 시작과 끝을 기록했다는 뜻이다.
이회영기념관의 입구. 이회영 6형제를 상징하는 6개의 문으로 되어 있다. 기념관 앞 예장마당 천장에 달린 수많은 막대기는 이름을 찾지 못한 신흥무관학교 학생들의 빗돌(碑돌)을 상징한다. ⓒ이정규
이회영기념관의 입구. 이회영 6형제를 상징하는 6개의 문으로 되어 있다. 기념관 앞 예장마당 천장에 달린 수많은 막대기는 이름을 찾지 못한 신흥무관학교 학생들의 빗돌(碑돌)을 상징한다. ⓒ이정규
기념관으로 들어서면 우당 이회영의 흉상이 방문객을 맞는다. ⓒ이정규
기념관으로 들어서면 우당 이회영의 흉상이 방문객을 맞는다. ⓒ이정규
관람은 2층에 있는 서간도시종로(路)부터 시작한다. <나는 이인숙이다> 특별전의 구성이 ‘서간도시종기’의 노정을 따랐기에 서간도시종로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정규
관람은 2층에 있는 서간도시종로(路)부터 시작한다. <나는 이인숙이다> 특별전의 구성이 ‘서간도시종기’의 노정을 따랐기에 서간도시종로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정규
우당의 아내이자 동지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은숙 선생의 삶을 조명하는 특별전인 <나는 이은숙이다>는 10월 31일까지 열린다. ⓒ이정규
우당의 아내이자 동지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은숙 선생의 삶을 조명하는 특별전인 <나는 이은숙이다>는 10월 31일까지 열린다. ⓒ이정규
이은숙 선생이 쓴 <서간도시종기>는 그와 이회영 6형제와 동지들의 독립운동 노정을 기록한 한국독립운동 기록보고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힌다. ⓒ이정규
이은숙 선생이 쓴 <서간도시종기>는 그와 이회영 6형제와 동지들의 독립운동 노정을 기록한 한국독립운동 기록보고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힌다. ⓒ이정규
<서간도시종기> 육필원고. ‘서간도시종기’란 서간도의 시작과 끝을 기록하였다는 뜻이다. ⓒ이정규
<서간도시종기> 육필원고. ‘서간도시종기’란 서간도의 시작과 끝을 기록하였다는 뜻이다. ⓒ이정규
2층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스크린에는 ‘난잎으로 칼을 얻다’라는 7채널 영상이 상영된다. 1910년 그해 눈 내리는 겨울, 서간도로 고난에 찬 길을 떠나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무장투쟁을 벌이는 과정 등이 담겨 있다. ⓒ이정규
2층에서 정면으로 보이는 스크린에는 ‘난잎으로 칼을 얻다’라는 7채널 영상이 상영된다. 1910년 그해 눈 내리는 겨울, 서간도로 고난에 찬 길을 떠나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무장투쟁을 벌이는 과정 등이 담겨 있다. ⓒ이정규
이회영은 묵란을 쳐서 내다 팔아 독립운동자금으로 쓰곤 했다. ‘난잎으로 칼을 얻다’라는 제목이 단지 비유가 아닌 이유이다. ⓒ이정규
이회영은 묵란을 쳐서 내다 팔아 독립운동자금으로 쓰곤 했다. ‘난잎으로 칼을 얻다’라는 제목이 단지 비유가 아닌 이유이다. ⓒ이정규
이회영기념관의 내부 전경 ⓒ이정규
이회영기념관의 내부 전경 ⓒ이정규
우당 가문은 열 명이 넘는 정승과 판서를 내어 당시 삼한갑족으로 불릴 정도로 대단한 가문이었으니 요즘 말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진정한 표상인 셈이다. 사진의 전시물은 서간도로 이주 후 경학사와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세운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정규
우당 가문은 열 명이 넘는 정승과 판서를 내어 당시 삼한갑족으로 불릴 정도로 대단한 가문이었으니 요즘 말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진정한 표상인 셈이다. 사진의 전시물은 서간도로 이주 후 경학사와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의 전신)를 세운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정규
독립군 연합부대는 1920년 블라디보스토크에 머물던 체코군단으로부터 다수의 무기를 획득하였으며, 이들 무기는 청산리전투 등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힘이 됐다. 전시된 무기는 체코군단 공동체로부터 당시에 사용됐던 소총, 권총 등을 무상 대여 받아 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정규
독립군 연합부대는 1920년 블라디보스토크에 머물던 체코군단으로부터 다수의 무기를 획득하였으며, 이들 무기는 청산리전투 등을 승리로 이끄는 데 큰 힘이 됐다. 전시된 무기는 체코군단 공동체로부터 당시에 사용됐던 소총, 권총 등을 무상 대여 받아 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정규
이회영 6형제 중 다섯은 조국의 해방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다섯째 이시영만 홀로 광복을 맞아 환국하였다. 중절모를 쓰고 눈물을 닦고 있는 이가 이시영이다. 꽃다발을 목에 건 이가 김구이다. ⓒ이정규
이회영 6형제 중 다섯은 조국의 해방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다섯째 이시영만 홀로 광복을 맞아 환국하였다. 중절모를 쓰고 눈물을 닦고 있는 이가 이시영이다. 꽃다발을 목에 건 이가 김구이다. ⓒ이정규
이회영 6형제와 이은숙은 모두 독립운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거나 수여되었다. ⓒ이정규
이회영 6형제와 이은숙은 모두 독립운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이 추서되거나 수여되었다. ⓒ이정규

|기억6 전시관

‘기억6’은 남산예장공원 지상부에 있는 전시공간이다. 과거 5.16 쿠데타(1961년) 세력이 군사정변 직후 설치한 중앙정보부의 6국이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중앙정보부 6국은 민주화운동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과 수사, 취조를 담당했는데, 불법 연행, 강압 수사, 고문 등 인권침해가 두루 자행되었다. 그 고통스런 역사를 기억하고 성찰하기 위한 뜻을 담아 ‘기억6’은 우체통 형상을 하고 있다. 내부에는 당시 지하 취조실을 원자재 그대로 제 위치에 복원하고 재현한 기억공간이 있으며, 배우의 연기와 증언자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재구성한 관련 영상도 상영되고 있다.
‘기억6’은 그 고통스런 역사를 기억하고 성찰하기 위한 뜻을 담아 우체통 형상을 하고 있다. 앞마당에는 옛 건물에서 나온 콘크리트 잔해와 부서진 기둥 등을 활용한 6개의 벤치가 있다. ⓒ이정규
‘기억6’은 그 고통스런 역사를 기억하고 성찰하기 위한 뜻을 담아 우체통 형상을 하고 있다. 앞마당에는 옛 건물에서 나온 콘크리트 잔해와 부서진 기둥 등을 활용한 6개의 벤치가 있다. ⓒ이정규
‘기억6’의 내부. 조성 경위 등을 설명하는 패널이 전시되어 있다. ⓒ이정규
‘기억6’의 내부. 조성 경위 등을 설명하는 패널이 전시되어 있다. ⓒ이정규
배우의 연기와 증언자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재구성한 영상도 상영되고 있다. ⓒ이정규
배우의 연기와 증언자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재구성한 영상도 상영되고 있다. ⓒ이정규
당시 지하 취조실을 원자재 그대로 제 위치에 복원하고 재현한 기억공간도 있다. ⓒ이정규
당시 지하 취조실을 원자재 그대로 제 위치에 복원하고 재현한 기억공간도 있다. ⓒ이정규
'남산예장자락 재생사업' 과정에서 발굴된 조선총독부 관사 터의 기초 일부분을 그대로 보존한 ‘유구터’도 볼 수 있다. ⓒ이정규
'남산예장자락 재생사업' 과정에서 발굴된 조선총독부 관사 터의 기초 일부분을 그대로 보존한 ‘유구터’도 볼 수 있다. ⓒ이정규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남산예장공원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가 있다. 기억의 터는 일제 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함께 하고 기억하며 그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2016년 조성된 곳이다. 역설적이게도 이 공간은 1910년 한일병합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통감관저가 있었던 경술국치의 현장이기도 하다. 국치의 공간이 한 세기 만에, 시민들의 참여와 모금을 통해 새로운 역사의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라 하겠다.

기억의 터에는 ?대지의 눈과 ?세상의 배꼽이라는 작품이 조성되어 있고, ?통감관저터 표지석과 ?거꾸로 세운 동상도 설치되어 있다. ‘대지의 눈’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과 이름, 그리고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인 ‘끌려감’이 함께 새겨져 있다.

‘세상의 배꼽’의 가운데에는 힘을 주면 흔들거리는 고흥석(전남 고흥에서 채석되는 화강석의 종류)이 있고 그 주위로는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앉아 휴식을 취하며 생각할 수 있는 자연석이 놓여 있다. 고흥석의 상단에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거꾸로 세운 동상’은 통감관저터에 있었던 하야시 곤스케(을사늑약을 강요하는 등 병탄의 발판을 닦은 자)의 동상을 받치고 있던 판석을 거꾸로 세움으로써 국치의 역사를 반성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남산예장공원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가 있다. ⓒ이정규
남산예장공원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가 있다. ⓒ이정규
‘대지의 눈’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과 이름, 그리고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인 ‘끌려감’이 함께 새겨져 있다. ⓒ이정규
‘대지의 눈’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과 이름, 그리고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인 ‘끌려감’이 함께 새겨져 있다. ⓒ이정규
‘세상의 배꼽’의 가운데에는 힘을 주면 흔들거리는 고흥석이 있고 그 주위로는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앉아 휴식을 취하며 생각할 수 있는 자연석이 놓여 있다. 살포시 앉아 가볍게 흔들어 작은 파동이 점점 크게 세상으로 번져 나가도록 하자는 안내문이 인상적이다. ⓒ이정규
‘세상의 배꼽’의 가운데에는 힘을 주면 흔들거리는 고흥석이 있고 그 주위로는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앉아 휴식을 취하며 생각할 수 있는 자연석이 놓여 있다. 살포시 앉아 가볍게 흔들어 작은 파동이 점점 크게 세상으로 번져 나가도록 하자는 안내문이 인상적이다. ⓒ이정규
고흥석의 상단에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이정규
고흥석의 상단에는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이정규
‘거꾸로 세운 동상’과 ‘통감관저터 표지석’도 설치되어 있다. ⓒ이정규
‘거꾸로 세운 동상’과 ‘통감관저터 표지석’도 설치되어 있다. ⓒ이정규
‘거꾸로 세운 동상’의 뒷면에는 '병탄의 발판을 닦은 자의 동상을 받치고 있던 판석을 거꾸로 세움으로써 국치의 역사를 반성한다'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정규
‘거꾸로 세운 동상’의 뒷면에는 '병탄의 발판을 닦은 자의 동상을 받치고 있던 판석을 거꾸로 세움으로써 국치의 역사를 반성한다'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정규
기억의 터는 국치의 공간이 한 세기 만에 시민들의 참여와 모금을 통해 새로운 역사의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라 하겠다. ⓒ이정규
기억의 터는 국치의 공간이 한 세기 만에 시민들의 참여와 모금을 통해 새로운 역사의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라 하겠다. ⓒ이정규

이회영기념관

○ 위치 : 서울시 중구 퇴계로26길 36
○ 관람시간 : 화-일요일 10:00~18:0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1월1일·설·추석 연휴·12월25일·선거일
○ 관람료 : 무료
※ 나는 이은숙이다 특별전 : ~ 2023. 10. 31. ☞바로가기
누리집
○ 문의 : 02-755-0610

기억6

○ 위치 : 서울시 중구 퇴계로26길 36
○ 운영시간 : 화-일요일 10:00~18:00, 공휴일 12:00~15:0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설·추석 연휴
○ 관람료 : 무료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 위치 : 서울시 중구 퇴계로26가길 6

문서 정보

'남산예장자락' 따라서 역사의 숨결 되짚어 보는 공간 3곳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이정규 생산일 2023-07-26
관리번호 D000004859231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