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다가오는 삼일절, 더 의미 있게 보내려면? '이곳' 추천

문서 본문

매서웠던 겨울의 끝을 지나 새싹과 꽃이 돋아나는 3월이 다가오고 있다. 시작의 설렘으로 가득한 3월이지만, 3월의 첫날은 경건함과 함께 시작해야 하는 날이다. 1919년 3월 1일은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 만방에 알린 날이다.

3·1운동은 우리 민족 최대 규모의 독립운동이었으며 민간과 지식인에 큰 반향을 일으키며 각종 독립 단체를 탄생시켰고, 대한민국의 모체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계기가 됐다. 헌법에도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연호도 3·1운동이 일어난 1919년을 원년으로 삼는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역사적인 3월 1일을 ‘독립선언일’로 지정해 처음 국경일로 기념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삼일절’이 되었다.

이렇듯 올해로 104주년을 맞는 특별한 삼일절을 의미 있게 기념하기 위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을 찾았다.
기획 전시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입구 ©민정기
기획 전시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입구 ©민정기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하 '임정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주독립을 위한 선열들의 고귀한 희생과 대한민국 건립 및 민주공화제의 정신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해 후대에 전승하기 위해 건립된 곳이다.

본래 2019년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해 개관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지연되면서 작년 삼일절에 개관했다. 2023년 개관 1주년을 맞아 임정기념관은 1919년 대내외에 선언한 독립선언서를 통해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열들의 독립운동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체험 행사인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를 개최했다.
1919년 당시 발표된 독립선언서 4종을 보여주는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기획 전시 ©민정기
1919년 당시 발표된 독립선언서 4종을 보여주는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기획 전시 ©민정기
3·1독립선언서와 대한독립선언서의 모습 ©민정기
3·1독립선언서와 대한독립선언서의 모습 ©민정기

이번 전시에서는 1919년 당시 일본 도쿄에서 발표된 '2·8독립선언서', 국내에서 민족 대표 33인이 발표한 '3·1독립선언서', 중국 지린에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서'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장에서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을 바라본 '대한민족대표독립선언서(일명 ‘임시정부 선언서’)' 4종을 공개한다. 그리고 당시 전 세계 언론 매체에서 보도된 우리의 독립운동에 대한 인식을 이미지 월을 통해 보여주며, 독립선언의 현장과 전 세계에 퍼진 독립 만세의 함성을 볼 수 있는 영상 전시도 준비되어 있다.

역사적 자료와 그 내용은 청소년과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기에 이번 전시에서는 타이포그래피 기법을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또한 전시장 외부 벽면에 부착된 대형 그림을 색칠해보는 ‘우리가 함께하는 독립운동’과 전시를 보고 느낀 감상을 통해 나만의 선언서를 만들어 보는 ‘나의 다짐, 나의 선언서’와 같은 체험 행사도 준비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즐기기 좋다.
이번 전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타이포그래피 기법을 적극 활용했다. ©민정기
이번 전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타이포그래피 기법을 적극 활용했다. ©민정기
대형 그림을 색칠해보는 '우리가 함께하는 독립운동' 행사 ©민정기
대형 그림을 색칠해보는 '우리가 함께하는 독립운동' 행사 ©민정기
'나의 다짐, 나의 선언서' 행사에 참여한 아이들과 가족들의 모습 ©민정기
'나의 다짐, 나의 선언서' 행사에 참여한 아이들과 가족들의 모습 ©민정기

1층에서 열린 기획 전시와 더불어 상징광장과 2~4층 상설전시관에도 볼거리가 가득하다. 1층 상징광장에는 웅장한 규모의 조형물인 ‘역사의 파도’가 전시되어 있으며 AR 전시도 함께 있어 다채롭게 즐길 수 있다. 2층에는 임시정부가 대한민국을 수립하고, 27년간 정부로서 활동한 과정이 전시되어 있다.

3층에는 대한민국 국회의 시초인 임시의정원의 의회 활동과 정당을 살펴보고 이를 도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준비돼 있다. 4층에는 대한민국이 임시정부로부터 헌법과 민주공화국이라는 제도와 국호·연호, 국가의 상징과 기념일 등을 이어받은 과정이 전시되어 있다.
1층 상징광장의 조형물인 '역사의 파도' ©민정기
1층 상징광장의 조형물인 '역사의 파도' ©민정기
2층 상설전시관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민정기
2층 상설전시관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민정기
3층 상설전시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사람들' 내 미디어 아트 '돌아오기 위해 떠난 4,000km' ©민정기
3층 상설전시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사람들' 내 미디어 아트 '돌아오기 위해 떠난 4,000km' ©민정기
4층 상설전시관 '임시정부에서 정부로' ©민정기
4층 상설전시관 '임시정부에서 정부로' ©민정기

이곳의 전시는 풍부한 자료를 기반으로 미디어아트, 키네틱아트 등 다양한 방식의 전시를 동선에 맞게 배치해 지루하지 않게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임정기념관’은 독립문,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등 우리 선열들의 조국 독립을 향한 의지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역사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서대문독립공원과 가까이 있다. 올해 삼일절을 의미 있고 특별하게 보내고 싶다면 꼭 ‘임정기념관’과 그 일대를 방문해보자. 후회 없는 선택이 될 것이다.
키네틱아트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민정기
키네틱아트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 ©민정기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279-24
○ 교통 :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에서 도보 5분
○ 관람시간 : 10:00~18:00(관람 종료 1시간 전에 입장 마감)
○ 휴관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 관람료 : 무료입장
누리집
○ 문의 : 02-772-8708

'우리는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전시

○ 일시 : 2023.2.21 ~ 3.12
○ 장소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1층 특별전시실

문서 정보

다가오는 삼일절, 더 의미 있게 보내려면? '이곳' 추천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민정기 생산일 2023-02-28
관리번호 D0000047489065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