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서울 관광객 3천만 시대 연다…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도약

문서 본문

서울시가 ‘서울관광 재건 및 붐업 대책’을 발표하고 5대 전략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서울시가 ‘서울관광 재건 및 붐업 대책’을 발표하고 5대 전략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코로나19 유행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여행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장기 침체를 겪은 서울관광을 하반기 중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목표 아래, ‘서울관광 재건 및 붐업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를 통해 무너진 관광생태계를 조기 복구하고 외래 관광객 3,000만 시대를 열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데요, 코로나19로 가로막힌 여행길이 시원하게 열리고, 여행을 갈망하는 사람들에게 ‘서울’이 기분 좋은 설렘과 활력이 될 수 있길 기대해봅니다!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코로나19로 장기 침체를 겪어 온 서울관광을 하반기 중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다는 목표 아래, ‘서울관광 재건 및 붐업 대책’을 발표했다.

관광시장이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2022년 서울을 찾은 외래 관광객은 244만명으로 2021년 74만명 대비 약 230%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390만 명에 비하면 18% 수준에 그친다.

이에 시와 재단은 서울관광 조기 정상화를 위한 종합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 ‘서울관광 재건 및 붐업 대책’을 수립해 외래 관광객 3,000만 시대를 열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번 대책은 ?관광업계 조속 재기 지원 ?서울스타일 관광콘텐츠 개발·육성 ?타깃 관광시장 대상 관광마케팅 집중 ?관광객 편의 서비스 강화 ?서울-지방 동반 성장 및 ‘관광약자와의 동행’ 추진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① 관광업계 조속 재기 지원으로 무너진 관광생태계 회복

서울시는 인바운드 여행업계의 조속한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 상품 개발, 고용, 해외 네트워크 구축 등 전방위적인 지원에 나선다.

먼저, 서울 소재 종합여행업 등록 여행사 대상으로 서울만의 특색 있는 매력을 담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2월부터 공모·선정해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서울 소재 종합여행업 소기업 대상으로 2023년 인바운드 관광객 누적 100명 이상 유치 시 업체당 고용지원금 500만원을 3월부터 지급한다. 4월부터는 서울페스타 관광상품을 개발해 외래 관광객 50명 이상 모객 시 1인당 2만원, 여행사별 최대 500만원의 유치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상반기 중에는 국내 최대 관광비즈니스의 장인 서울국제트래블마트를 개최(6.20~6.24, DDP)해 국내외 바이어와 셀러간 B2B 상담 및 상품화를 지원하고, 국내외 관광업계간 B2B 온라인 플랫폼인 ‘서울 365 여행 플랫폼’ 운영을 본격화해 상시 교류를 지원한다.
‘서울페스타 2022’ K-POP 무대
‘서울페스타 2022’ K-POP 무대

② 방문 수요 창출을 위한 이벤트 개최, 서울스타일 관광콘텐츠 육성

관광 메가 이벤트인 ‘서울페스타 2023’을 4월 말에 개최해 전 세계 관광객의 서울 방문수요를 창출하고 서울 관광시장 조기 붐업을 유도한다.

서울페스타뿐 아니라 여름 한강축제, 가을 뷰티트래블위크·서울미식주간, 겨울 서울빛초롱 축제·광화문광장 마켓 등 계절·계기별 축제를 여행업계와 협력해 관광 상품화함으로써 관광객들이 서울의 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뷰티, 미식, 한류, 웰니스 등 서울의 트렌디한 라이프 스타일도 관광 콘텐츠화해 전 세계 관광객에게 서울을 누구나 꼭 방문하고 싶은 여행 버킷리스트로 각인시킨다.

특히 고소비층을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관광을 육성하고, 서울과 지방을 연계한 상품개발 등으로 ‘더 오래 머무르고 더 많이 쓰는’ 관광으로 전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강 노을명소 찾기’ 사진 공모전 수상작_우수상 ‘나를 멈추게 하는 순간’ (노들섬)
‘한강 노을명소 찾기’ 사진 공모전 수상작_우수상 ‘나를 멈추게 하는 순간’ (노들섬)

관광자원으로서 잠재력이 높은 한강은 야간 볼거리를 확충해 야간 관광 명소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한강 레포츠, 캠핑, 유람선 등 한강수변관광 자원을 활용한 체험 투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페스타 기간 한강 드론 라이트쇼를 새롭게 선보인다. 150m 높이에서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계류식 헬륨기구인 ‘서울의 달(가칭)’도 설치할 예정이다.

③ 타깃 관광시장 대상, 관광마케팅 집중으로 글로벌 관광수요 선점

아울러 서울 관광 글로벌 마케팅을 본격적으로 재개한다. 한류스타를 활용한 ‘힙한 라이프스타일 도시, 서울’ 이미지를 담은 홍보 영상과 포스터를 제작해 전 세계 다양한 매체에 노출할 계획이다.

해외 주요 타깃 국가의 B2B 대상 설명회와 박람회, B2C 대상 뷰티·패션·K-팝 공연 등 관광 세일즈 프로모션도 개최한다.
서울관광재단 [SEOUL X BTS] MY SOUL SEOUL BTS Episode: snapshotSeoul

④ 외래 관광객 증가 대비 여행하기 편리한 환경 조성

또한 서울시는 무사증 입국지역 112곳 전체에 일률 적용되고 있는 전자여행허가제(K-ETA)의 절차 간소화 및 일부 국가 면제를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안내 체계, 숙박 등 관광 인프라를 정비해 외래 관광객 증가에 대비한다. 종합관광정보센터에 스마트 관광안내시스템을 시범 도입하고, 서울시 대체숙박업(도시민박업, 한옥체험업) 브랜드인 ‘서울 스테이’ 대상으로 운영 물품, 번역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⑤ 서울-지방 동반 성장 및 ‘관광약자와의 동행’ 추진

서울과 지방이 함께 성장하는 관광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광객 접근성이 용이한 도심주요 관광거점에 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상품을 홍보할 지역관광 안테나숍을 개설하고, 서울-타 시도 연계 여행상품을 개발·운영한다.

이외에도 여행 기회가 적은 저소득층, 장애인 등 관광취약계층의 여행 지원과 서울 거주 비정규직 등 대상 서울형 여행 바우처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환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2023년은 서울이 향후 외래 관광객 3,000만 유치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라며, “서울 관광업계와 함께 서울이 가진 무한한 매력을 관광 상품화하고, 전 세계에 널리 알려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서울 관광이 빠르게 재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문의 : 관광정책과 02-2133-2808, 서울관광재단 02-3788-0862

문서 정보

서울 관광객 3천만 시대 연다…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도약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23-02-14
관리번호 D0000047388985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