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노다 가세, 노다가 가세! 2022 서울국악축제 참여기

문서 본문

소규모 거리 공연에서 아름다운 우리가락을 감상할 수 있었다.
소규모 거리 공연에서 아름다운 우리가락을 감상할 수 있었다. ⓒ유세경

코로나19로 지난 2년간 비대면으로 진행됐던 '서울국악축제'가 3년 만에 대면 행사로 개최됐다. 지난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사흘간 돈화문 국악로는 흥겨움으로 가득했다. 축제 마지막 날인 10월 2일 오후 3시부터는 국악의 전통인 원류(原流)와 미래인 신류(新流)가 함께 만나는 ‘만남의 장’인 ‘국악의 길’을 주제로 대표 공연이 펼쳐졌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기존에 알고 있던 국악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악을 접할 수 있었다. 올해 서울국악축제는 오랜만에 시민들과 만나는 대면행사인만큼 메인 공연 외에도 다양한 시민참여 행사가 운영됐다.
2022 서울국악축제 포스터
2022 서울국악축제 포스터 ⓒ서울시
서울국악축제가 열린 국악로
서울국악축제가 열린 국악로 ⓒ유세경
서울국악축제 종합안내소
서울국악축제 종합안내소 ⓒ유세경

<우리 소리 자랑>에서는 시민 국악동호회와 예비 국악인의 소규모 거리 공연이 펼쳐졌다. 또한 거리에서 펼쳐지는 청년 국악인들이 만든 국악극 <신나는 국악여행>도 만날 수 있었다. 전통 국악과 퓨전 국악 등 다양한 장르의 우리 가락이 들려와 흥겨움을 더했다. 길을 지나가던 시민들도 아름다운 우리 소리에 발걸음을 멈추고 거리 공연을 감상했다.

전통예술 수제 공예품을 파는 장터인 '서울토리시장'을 구경하는 재미도 있었다. 국악축제인만큼 전통 액세서리나 한복을 판매하는 플리마켓이 많아서 눈이 즐거웠다. 또한 전통간식과 전통주를 판매하는 플리마켓과 푸드트럭도 있어서 간식을 먹으며 축제를 즐기는 시민들의 모습도 눈에 띄었다.
플리마켓에서 시민들이 전통주를 시음하고 있다.
플리마켓에서 시민들이 전통주를 시음하고 있다. ⓒ유세경
10월 1일 토요일에는 밤 9시까지 서울국악축제를 즐길 수 있었다.
10월 1일 토요일에는 밤 9시까지 서울국악축제를 즐길 수 있었다. ⓒ유세경

우리 맛을 즐길 수 있는 <우리소리의 맛> 프로그램이 사전예약과 현장예약을 통해 진행됐다. 필자는 떡박물관 앞에서 꽃떡 만들기 체험을 해보았다. 오색소를 합치고 수레바퀴 모양 떡살을 찍어내어 보기도 좋고, 맛도 좋은 떡을 만들고 직접 먹어보았다. 국악과 즐기는 떡의 맛은 일품이었다. 이와 함께 전통 다례 체험도 진행되었다. 우리소리와 우리의 맛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시간이었다.

우리 악기를 배우고 직접 국악기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우리악기교실>도 인기가 많았다. 어린아이들부터 성인들까지 장구, 북, 꽹과리, 징 중 원하는 국악기를 골라서 연주해보고 휘모리 장단을 배워 합주를 해보기도 했다. 또한 버나돌리기와 상모돌리기 등 다양한 국악 체험들로 길거리는 웃음소리로 가득했다.
꽃떡 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는 모습
꽃떡 만들기 체험을 하고 있는 모습 ⓒ유세경
<우리소리의 맛> 프로그램을 통해 만든 꽃떡
<우리소리의 맛> 프로그램을 통해 만든 꽃떡 ⓒ유세경
<우리소리의 맛> 프로그램에서 진행한 전통 다례 체험
<우리소리의 맛> 프로그램에서 진행한 전통 다례 체험 ⓒ유세경

서울국악축제 종합안내소에서 진행된 스탬프 투어는 즐거움을 더했다. 각 부스에서 체험을 하거나 플리마켓에서 구매를 하면 안내책자에 스탬프를 받을 수 있었고, 스탬프 개수에 따라 선물을 받았다. 돈화문거리에 서울국악축제 책자를 든 시민들이 많이 보였다.

가깝지만 멀게 느껴지는 국악을 '서울국악축제'를 통해 다양한 경로로 접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또한 여러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서 아이와 함께 온 가족뿐만 아니라 근처를 지나던 친구, 연인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서울국악축제를 즐길 수 있었다. 우리의 문화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 요즘, 재미와 의미를 모두 갖춘 축제라고 느꼈다.
<우리악기교실>에서 진행된 사물놀이 연주 체험
<우리악기교실>에서 진행된 사물놀이 연주 체험 ⓒ유세경
국악 놀이터에서 상모돌리기 체험 중인 시민들
국악 놀이터에서 상모돌리기 체험 중인 시민들 ⓒ유세경
서울국악축제 스탬프 투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선물
서울국악축제 스탬프 투어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선물 ⓒ유세경

문서 정보

노다 가세, 노다가 가세! 2022 서울국악축제 참여기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유세경 생산일 2022-10-05
관리번호 D0000046369122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