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아는 만큼 이득! 2022년 달라지는 서울생활

문서 본문

임인년 새해 첫 출근길
임인년 새해 첫 출근길
새해를 어떻게 보낼까 고심을 거듭하며 계획을 세워보는 1월입니다. 서울시 역시 2022년 시민생활에 꼭 필요한 공공시설 개관과 새로운 제도들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시민들이 이를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2022 달라지는 서울생활>을 1월 중순에 발간합니다. 그에 앞서 <내 손안에 서울>이 주요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

서울시가 새해 핵심 사업을 <2022 달라지는 서울생활> 책자에 담아 소개한다. 서울시의 향후 10년 청사진인 ‘서울비전 2030’을 구체화하는 4개 분야 60개 사업으로 구성됐으며, ①상생도시 22건, ②안심도시 17건, ③글로벌선도도시 8건, ④미래감성도시 13건이다.

책자 도입부에는 시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4개 분야 핵심사업과 새해 달라지는 서울시 코로나19 대응 관련 소식을 서울시 공식 상징물인 해치 일러스트로 소개한다. 필요에 따라 찾아볼 수 있는 ‘월별로 보는 달라지는 서울생활’, ‘지도로 보는 달라지는 서울생활’ 페이지도 구성했다.

책자 본문에는 각 사업의 핵심내용을 파악하기 좋게 부각시키고, 이용방법과 유의사항 등은 Q&A로 풀었다. 본문 하단에는 전화, 홈페이지, SNS 등 문의처를 배치했다.

① 상생도시 | 서울안심소득, 서울런, 로컬상권 살리기, 청년 자립기반

서울시는 소득과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 500가구에 3년 동안 안심소득을 지급하고,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가구와 함께 5년 동안의 변화를 연구하여 서울 안심소득의 효과를 분석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 콘텐츠와 일대일 멘토링 서비스를 지원해 왔던 온라인 학습사이트 ‘서울런’이 올해에는 법정 한부모가정 청소년과 북한이탈주민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제공한다. 또한 전체 청소년과 청년을 대상으로 진로·진학 콘텐츠, 일반상식, 인문·사회, 자격증 등 다양한 주제의 비(非)교과목 콘텐츠를 제공한다.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 e서울사랑상품권 발행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 e서울사랑상품권 발행

서울시는 코로나19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살리기를 위한 지원을 더욱 강화한다. 소상공인의 삶의 터전인 골목상권 살리기를 위해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동네상권 브랜드화를 통해 연트럴파크, 샤로수길과 같이 지역별로 스토리가 있는 상권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소상공인을 살리고 가계 경제에 보탬이 되는 서울사랑상품권을 시민들이 더욱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울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역서울사랑상품권’, 온라인 결제 전용 ‘e-서울사랑상품권’으로 새롭게 선보인다.

서울시는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들의 자립 기반 마련을 위해 주거(청년 매입공공주택)와 대중교통비 지원(7만 5,000명, 10만 원)에서부터 취·창업 지원, 재테크·재무상담 서비스 ‘서울 영테크’, 마음건강 챙김에 이르기까지 청년들의 필요를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고 꼼꼼하게 돌본다.

② 안심도시 | 온서울 건강온, 서울형공유어린이집, 안심키즈카페,1인가구 병원안심동행

온서울 건강온(ON)
온서울 건강온(ON)

서울시민 누구나 시간, 장소에 구애 없이 편리하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ICT(정보통신기술) 기반으로 자가 건강관리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온서울 건강온(ON)’ 사업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온서울 건강온(ON)’ 프로그램 참여자 5만 명을 선정하여 올해 8월까지 시범서비스를 제공하며, 이후 참여자를 점차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저출생 시대 국공립, 민간·가정어린이집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도입된 상생·협력 방식의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을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지역 인근의 3~5개 어린이집이 공동체를 구성하여 공유어린이집 사업을 신청하면, 공동체별로 특화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비용과 회의 등에 소요되는 경비와 수당을 서울시가 지원한다.

계절에 상관 없이, 미세먼지 걱정 없이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실내놀이 공간을 조성하여 ‘서울공공(안심) 키즈카페’로 운영한다. 이용 요금은 최대 3,000원 이내로 책정하여 비용부담을 덜었으며, 저소득층·다둥이 가정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기존 민간 키즈카페 사업과의 충돌을 고려하여, 소규모 실내놀이공간으로 조성하고 카페 내에서 식음료는 판매하지 않을 방침이다.

서울시는 영유아의 성장을 돕기 위해 고품질의 급간식 지원을 확대한다. 서울시 모든 유치원생들의 건강하고 균형 있는 성장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돕는 친환경 급식제공을 위해 학기 중 급식비를 전면 지원한다. 또한 유치원 적정 급식단가와 동일한 수준으로 어린이집 급간식비를 현실화할 수 있도록 부족한 차액분을 서울시가 추가 지원하여, 영유아의 차별 없는 영양섭취와 균형 있는 성장을 돌본다.

서울시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 지원 대책 마련에도 앞장선다. 2021년 11월 시범운영을 시작한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가 2022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제공된다. 아파서 병원 동행이 필요한 1인가구를 위해 병원에 갈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에서 동행매니저가 보호자처럼 동행해주며, 1인 생활시민은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콜센터 1577-1179, 일인친구)

③ 글로벌선도도시 | 서울페스타, 서울라이트, 서울창업허브M+, 율곡로 보행로

DDP 서울라이트
DDP 서울라이트

서울시는 코로나19로 침체된 서울 관광산업을 활성화 하고 시민과 국내외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글로벌 관광 축제 ‘서울 페스타(Seoul Festa, 8.10~14 예정)’를 개최한다. 축제기간 동안에는 국내에 처음 선보이는 전기자동차 경주대회 ‘서울 E-프리(Seoul E-Prix)’와 함께 한류스타 공연이 펼쳐지며, 서울의 멋과 맛, 쇼핑, 각종 문화공연 등 즐길거리가 가득한 이벤트가 개최된다.

DDP(동대문디자인프라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토리의 미디어아트와 빛·조명이 어우러진 ‘서울라이트’ 행사를 연중 확대 개최하여,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시민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DDP 서측 전면 220m를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서울라이트’ 미디어파사드 정례 행사를 12월에 개최하고, 주말에는 DDP 어울림광장 100m 스크린을 활용하여 미디어아트를 상영한다.
율곡로 상부 문화재 복원 및 보행로 개설
율곡로 상부 문화재 복원 및 보행로 개설

서울시는 첨단 R&D 융복합 혁신거점인 마곡에 ‘서울창업허브M+’를 개관한다. 마곡에 소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과 창조적 융합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기업 입주공간을 지원하는 한편, 기술·사업화 지원, 서울 혁신성장펀드와 투자유치 매칭, 글로벌 판로개척, 창업교육 및 전문가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율곡로 돈화문~원남동사거리 구간을 왕복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여 병목 구간 해소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율곡로 6차로 터널 상부에 문화재 공간을 만들고 단절된 창경궁과 종묘를 연결하는 보행로를 조성한다.(3월 개방예정) 1931년 일제강점기에 율곡로 개설로 단절된 창경궁과 종묘를 연결하여 옛 모습으로 복원함으로써, 민족 자긍심을 고취하고 시민에게 녹지공간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④ 미래감성도시 | 메타버스 서울, 새 광화문광장·미디어파사드, 문화공연관람 지원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소통채널로 급부상한 메타버스(Metaverse)를 서울시정 전반에 도입할 수 있도록,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서울’을 구축한다. 서울시는 2022년 하반기부터 3차원 가상현실 공간 ‘메타버스 서울’에서 서울 관광명소 방문·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다양한 체험·체감 서비스와 시민참여형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한민국의 대표공간 광화문광장이 한층 새로워진 모습으로 시민에게 공개된다. 서울시는 시민의 뜻을 반영하여 광화문광장의 역사성을 살리면서도 보행성과 시민이용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 마무리에 박차를 가해, 올해 상반기에 시민광장을 개장할 계획이다. (월대, 해치상 복원은 2023년 완료예정)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 시민광장 개장 시기와 맞물려 문화·관광의 거점인 광화문을 화려한 빛으로 수놓는 미디어파사드를 설치·운영할 계획이다. 광화문광장 주변 건축물과 외부 벽면 등에 LED 패널을 설치하거나 빔프로젝터를 활용하여 정기적으로 다양한 미디어아트 영상을 상영한다.

어린이들의 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해 서울시 초등학생 문화공연 관람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문화공연 관람 기회를 확대하는 한편,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단체의 공연기회를 마련하여 공연문화 활성화를 도모한다.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사업으로, 2022년 상반기 초등학교 수요조사 시 학교별로 관람할 공연작품을 신청할 수 있으며, 학교 측의 비용부담은 없다.

1월 중순에 발간될 <2022 달라지는 서울생활>은 서울시 전자책(eBook) 홈페이지정보소통광장에서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다. 인쇄물 책자는 서울시 본청과 산하기관, 서울시 지원시설, 25개 구청과 동주민센터, 공공도서관, 시민청 등 주요 공공시설과 우리은행?신한은행(시청점)에 배포될 예정이다.

2022년 달라지는 서울생활 사업목록

2022년 달라지는 서울생활 사업목록
연번 분야 달라지는 시정 및 제도 담당부서 전화번호
1 상생도시 서울 안심소득 시범사업 복지정책과 2133-7751
2 로컬브랜드 상권 육성 소상공인정책담당관 2133-5535
3 청년 골목창업 지원 소상공인정책담당관 2133-5194
4 서울사랑상품권(광역, e-서울사랑, 자치구) 발행 소상공인플랫폼
담당관
2133-5139
5 온라인 교육플랫폼 ‘서울런’ 운영 확대 교육플랫폼추진반 2133-9281
6 ‘서울런’ 멘토링 확대 교육정책과 2133-3930
7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확대 청년사업반 2133-4329
8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청년정책반 2133-4326
9 청년 재테크?재무상담 서울 영테크 운영 청년사업반 2133-6578
10 청년 매입공공주택 확대공급 주택정책과 2133-7014,
6289
11 노장청쉐어하우스(한지붕세대공감) 공급확대 주택정책과 2133-7021
12 초?중?고 입학준비금 지원 확대 교육정책과 2133-4326
13 서울시 글로벌 청소년교육센터 개관 외국인다문화담당관 2133-5065
14 서울시 보훈수당 지원 확대 복지정책과 2133-7330
15 신림선 경전철(여의도 샛강역~관악산역) 개통 도시철도사업부 772-7161
16 서울취?창업통합인재허브 운영 창업정책과 2133-4752
17 성동-강북 50플러스센터 신규 개관 인생이모작지원과 2133-7800
18 서울시 50플러스 동남갬퍼스 개관 인생이모작지원과 2133-7798
19 관악 복합평생학습공간(가칭) 개관 평생교육과 2133-3992
20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 설치?운영 평생교육과 2133-3972
21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맞춤형 시니어 인턴제 운영 50플러스재단
사업개발팀
460-5064
22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 지원 전략사업과 2133-8237
23 안심도시 서울형 스마트헬스케어 ‘온서울 건강온(ON)’ 보건의료정책과 2133-7599
24 서울공공(안심) 키즈카페 운영 가족담당관 2133-5183
25 서울형 공유어린이집 전 자치구로 확대 보육담당관 2133-5092
26 친환경 유치원 급식 지원 친환경급식과 2133-4158
27 어린이집 급간식비 지원 보육담당관 2133-5108
28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서비스 운영 특별대책2반 2133-9262
29 다회용 컵 사용 활성화 자원순환과 2133-3689
30 제로웨이스트 시범매장 운영 자원순환과 2133-3688
31 전기차 ‘생활권 5분 충전망’ 구축 기반 마련 기후변화대응과 2133-3607,
2133-3707
32 금천소방서 신설 소방행정과 3706-1322
33 시립동대문?마포실버케어센터 신규 개관 어르신복지과 2133-7422
34 공사장 발생소음 상시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환경정책과 2133-4255
35 스마트 물순환도시 조성사업 물순환정책과 2133-3773
36 안심이앱 기능 개선 양성평등정책담당관 2133-5016
37 재생자전거 온라인 판매 지원 자전거정책과 2133-2750
38 민간건물 에너지효율화 사업 지원한도 상향 기후변화대응과 2133-3597
39 서울시 시민안전보험 보장확대 안전지원과 2133-8523
40 글로벌선도
도시
서울 페스타 2022 개최 관광정책과 2133-2808
41 2022 서울라이트 행사 디자인정책과 2133-2704
42 4차 산업혁명 체험센터 조성 경제정책과 2133-5228
43 서울창업허브M+ 개관 창업정책과 2133-4877
44 G밸리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개관 전략산업기반과 2133-8472
45 3D 기반 S-Map 대시민서비스 확대 공간정보담당관 2133-2836
46 정릉천~청계천 자전거도로 연결 자전거정책과 2133-3957
47 율곡로 창경궁 앞 도로구조 개선 및 보행로 개설 도로계획과 2133-8077
48 미래감성
도시
‘메타버스 서울’ 추진 스마트도시담당관 2133-2916
49 따릉이 메타버스 서비스 시행 자전거정책과 2133-2755
50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광화문광장사업반 2133-7716
51 ‘새로운 광화문광장’ 미디어파사드 운영 광화문광장사업반 2133-7740
52 서울시 초등학생 문화공연 관람지원 문화예술과 2133-2561
53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개관 박물관과 2133-4196
54 시립 양천청소년 음악창작센터 개관 청소년정책과 2133-4113
55 서울아트책보고 조성 지식문화과 2133-0202
56 서울연극센터 리모델링 후 재개관 문화예술과 2133-2578
57 서울물재생체험관 개관 물재생시설과 2133-3826
58 G밸리산업박물관(MUSEUM G) 개관 전략산업기반과 2133-8594
59 중랑 망우공간 개관 어르신복지과 2133-7422
60 전농천 수변환경 개선사업 하천관리과 2133-3885

문서 정보

아는 만큼 이득! 2022년 달라지는 서울생활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22-01-06
관리번호 D000004449658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