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미디어 중독' 걱정된다면…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 상담 추천

문서 본문

우리는 미디어 창작물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다. 유튜브 영상이나 넷플릭스 등 넘쳐나는 창작물은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통해 너무나 쉽게 소비되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미디어에 노출되는 시간은 더욱 많아져 청소년의 미디어 중독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미디어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용산구 갈월동에 위치한 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 모습
용산구 갈월동에 위치한 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 모습 ⓒ김재민

서울시 청소년 미디어센터 '스스로넷' 아시나요?

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는 미디어 교육, 미디어 문화, 미디어 과의존 예방, 대안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 미디어 특성화 시설이다. 미디어와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진행할 뿐 아니라 미디어의 역기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2007년부터 ‘청소년미디어치료상담실’도 운영하고 있다. 금번 취재는 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미디어 치료 상담'과 관련해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의 주요 서비스
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의 주요 서비스 ⓒ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 치료 상담실 운영, 신청 방법은?

미디어 치료 상담실은 첫째 청소년·학부모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심리검사, 둘째 미디어 과의존 및 사이버폭력 예방 교육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과다한 미디어 사용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 문제, 학교 폭력 등 폭넓은 상담이 가능해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과 학부모에게 도움을 준다. 필요 시 성격검사, 학습·진로검사, 정신건강, 지능검사, 종합검사 등을 받을 수 있다.
개인상담 심리검사, 사이버폭력, 미디어 과의존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개인상담 심리검사, 사이버폭력, 미디어 과의존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청소년미디어센터

신청 방법은 청소년미디어센터 홈페이지(www.ssro.net)에서 ‘고민 내용’ 등을 작성해 제출하면 ‘1차 면접 상담’ 이후 지정 상담사가 배정되어 상담이 진행 된다. 개인 상담료는 학부모가 1회 1만 5,000원, 청소년이 7,000원이며, 평일뿐만 아니라 토요일에도 상담을 할 수 있다.
청소년미디어센터 홈페이지에서 개인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청소년미디어센터 홈페이지에서 개인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청소년미디어센터

미디어 치료는 가족 모두가 도와야…

센터에서 근무 중인 한 미디어 상담원은 “미디어 과의존은 부모와의 갈등, 학업 성적 저하로 인한 현실 도피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족의 문제와 심리적 이슈 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학과 같은 화학적 치료가 아닌 심리적인 치료이기 때문에 상담과 심리 검사를 통해 피상담원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공감하고 이에 맞추어 상담사와 가족 구성원 모두가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담원은 “반드시 치료의 목적이 아니더라도 본인의 이야기를 경청해주고 공감해주는 대상이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상담/심리검사 접수증
상담/심리검사 접수증 ⓒ김재민
3층 상담실에서 상담이 진행된다.
3층 상담실에서 상담이 진행된다. ⓒ김재민

부모·청소년 함께 방문해 가족 힐링 장소로

서울시청년미디어센터 1층에는 전축, 브라운관 TV 등 베이비부머 세대의 레트로 디바이스를 전시 중이며 카페도 운영하고 있다. 자녀와 함께 차 한잔 마시며 쉬어가는 힐링 쉼터로서도 좋다. 아쉬운 점은 주차 공간이 없어 대중교통이나 주변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1층 카페와 뉴-레트로 전시관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1층 카페와 뉴-레트로 전시관 ⓒ김재민

최근 코로나로 인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다 보니 청소년의 미디어 노출이 더욱 심화되고 이는 가정마다 심각한 갈등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필자도 실제 자녀와 상담을 해보니 부모의 일방적인 강요보다는 대화와 상담을 통해 가족 내 갈등을 줄이고 행복한 가족의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되었다.

■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255
○ 가는법 : 4호선 숙대입구역 7번 출구에서 걸어서 5분
- 1호선 남영역 한강대교 방면으로 걸어서 3분
- 6호선 삼각지역 10번 출구 걸어서 7분
○ 이용시간 : 매일 09:00 ~ 22:00 (일요일, 공휴일 18:00까지 운영, 휴관일 : 설·추석 연휴)
○ 홈페이지 : www.ssro.net
○ 문의 : 02-795-8000

문서 정보

'미디어 중독' 걱정된다면…서울시청소년미디어센터 상담 추천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김재민 생산일 2021-02-15
관리번호 D0000041928592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