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흥선대원군이 탐낸 한양 최고의 별장 '석파정'

문서 본문

석파정은 서울미술관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다

석파정은 서울미술관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다

정명섭의 서울 재발견 (17) 석파정

어머니는 자하문 너머를 자두 밭으로 기억한다. 회사 동료들끼리 놀러가서 자두를 실컷 먹었던 어머니에게 그곳은 서울 밖의 변두리이자 고향을 닮은 시골이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자하문 밖은 권력가들의 별천지였다. 백사실 계곡 안에 있던 별서도 그렇고 장의사 당간지주가 남아있는 세검정 초등학교는 연산군의 명령으로 꽃밭으로 조성되었던 곳이다. 세검정 정자 역시 정약용을 비롯한 실학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한양 바로 바깥이라는 지리적 장점과 함께 인왕산과 북악산의 정취를 마음껏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자하문 밖에는 권력가들의 별서들이 자리 잡았다. 권력가들의 사랑을 받던 곳이라 그만큼 사연이 깊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석파정이다.

석파정의 원래 주인은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김흥근으로 세도정치의 핵심인 안동김씨의 일원이었다. 그가 주인이었던 시절에는 석파정이라는 말 대신 삼계동 별서로 불렸다. 그 이유는 별서가 있는 곳 바위에 삼계동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 글씨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새겨졌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석파정 유수성중관풍루(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바라보는 누각)

석파정 유수성중관풍루(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바라보는 누각)

조선시대 14살의 어린 나이에 금강산을 올랐던 김금원이 한양에 들렸을 때 백사실 계곡을 가는 길에 삼계동 별서를 지나친 적이 있었다. 김금원은 훗날 자신이 쓴 호동서락기에 작은 서재가 숲 사이로 보이는데 무척 정갈하게 배치되어 있다는 평을 남겼다. 이후, 고종이 즉위하고 그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이 별장을 무척이나 탐낸다. 하지만 김흥근이 끝끝내 판매하는 걸 거절하자 치사하게도 아들을 이용한다. 고종을 데리고 와서 이곳에서 하룻밤 머물게 한 것이다. 그러자 김흥근은 신하가 임금이 쓰던 곳을 쓸 수 없다면서 울며 겨자 먹기로 흥선대원군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이곳을 넘겨받은 흥선대원군이 자신의 호를 따서 석파정이라고 지은 것을 보면 얼마나 탐을 냈는지 짐작할 수 있다.

현재는 서울미술관을 통해서만 들어갈 수 있다.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면 현대 미술을 감상할 수 있다. 계단을 올라가서 바깥으로 나오면 석파정을 돌아볼 수 있는데 깨끗하게 정갈한 전각들과 신라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 그리고 바위에 새겨진 삼계동이라는 글씨를 확인해볼 수 있다. 무엇보다 산자락을 따라 흐르는 작은 개울가를 따라 걷다보면 석파정과 만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의 정자들과는 달리 청나라풍이 물씬 풍긴 이 정자는 굽은 다리를 건너가면 만날 수 있다. 이곳에 들어가면 흐르는 물소리나 바람소리를 들을 수 있다. 100년 전 흥선대원군이 들었던 바로 그 소리를 말이다.

내 손안에 서울’에서는 매주 월요일(발행일 기준) ‘서울 재발견’이란 제목으로 정명섭 소설가가 서울 구석구석 숨어 있거나, 스쳐 지나치기 쉬운, 우리가 미처 몰랐던 보물 같은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정명섭은 왕성한 호기심을 바탕으로 역사를 들여다보며 역사소설과 인문서 등을 쓰고 있으며, <일제의 흔적을 걷다>라는 답사 관련 인문서를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문서 정보

흥선대원군이 탐낸 한양 최고의 별장 '석파정'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콘텐츠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정명섭 생산일 2018-12-17
관리번호 D0000041752040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