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삼각산 누비는 훈훈한 마을버스

문서 본문

마을버스

11인승 합승택시, 이른바 ‘봉고버스’가 정릉일대를 누빈다

[내 손안에 서울] 1964년, 점점 낡아가고, 승객 포화상태에 다다른 전차. 그리고 늘어나는 교통수요로 인해 서울시내 곳곳에 문제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시영버스는 점점 전차가 들어오지 못하는 신촌, 홍제, 성북에서 빽빽한 콩나물시루처럼 사람들을 옮기기 시작했다. 이후 버스개편을 통해 30여 노선, 1175대의 11인승 합승택시가 추가되었다. 이른바 "봉고버스"는 김포비행장, 휘경동, 삼양동을 누비며 승객들의 꾸준한 발이 되었다. 다만 서울시내의 교통상황이 점점 넓어지고, 주요 지역에 지하철이 개통하면서 합승택시 노선은 수요에 맞추어 점점 대형버스로 교체하여 운행되기 시작했다. 점점 합승택시는 지방에서도 구례, 대부도, 신안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만 운행을 계속하고 있어 보기 힘들다. 특히 서울시에서는 합승택시 형태의 마을버스의 운행을 1970년대에 공식적으로 중단했고, 2004년까지는 마을버스에 한해 운행하다 이후 연한 10년이 남은 버스는 계속 운행하였으나 2011년을 마지막으로 거의 모든 버스가 폐차되어 예비차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버스2

성북 05번 마을버스가 출발하는 정릉2동주민센터

하지만 2014년 현재까지, 서울 한복판 정릉에 승합택시의 형태로 운행 중인 시내버스가 있다. 삼각산 자락에 위치한 정릉의 어느 산길을 다니는 초록색 봉고, 이 버스가 바로 대진여객이 운행 중인 성북 05번 버스이다. 과거 청와대와 서울시내를 잇던 8000번 버스를 대진여객에서 운행했던 전적이 있고, 현재 서울시내 버스 중에는 드문 순환형 버스인 110A/B번 버스 역시 대진여객에서 운행 중에 있다. 이 노선 역시 대진여객의 특이한 노선 중 하나이다. 정릉2동주민센터 주차장에서 아리랑시장을 거쳐 좁다란 꼬불꼬불한 산길을 지나 정수빌라 주차장까지, 단 5개의 정류소를 지나는 성북 05번 버스는 대부분의 서울시내버스가 통과하는 지하철역 역시 경유하지 않는다. 운행하는 차량은 승합택시답게 승합차, 학원차로 주로 쓰이는 12인승 스타렉스인데, 좁은 버스에서도 교통카드 단말기, 요금함, 영수증 발급기, 심지어는 기사증과 정류소 표지판, 광고까지 달려 있다. 버스를 그대로 승합차에 옮겨놓은 듯 했다.
마을버스3

작지만 있을 건 다 있는 마을버스다

특히 이 버스는 정릉2동의 언덕지대의 주민들이 어려움 없이 통근할 수 있도록 저녁시간대에 한해 운행한다. 첫차가 오후 2시, 막차가 오후 11시다. 산길 경사가 매우 크고 미끄러워, 특히 기상상황이 안 좋을 땐 걸어 오르기가 안전하지 않고, 체력적으로도 큰 위험이 따른다.
안심귀가,마을버스

안심귀가 마을버스를 운행하는 훈훈한 버스

이 버스가 돋보이는 것은 시민의 안전에도 신경 썼다는 점이다. 이 버스는 밤 시간대 여러 범죄의 위험에 노출된 시민의 귀가를 위해 안심귀가 마을버스 서비스를 운영한다. 심야시간대에 버스에 탑승 직후, 기사에게 하차 위치를 말하면 정류소가 아닌 위치에서도 하차가 가능하게 하여 안심귀가를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단, 12인승 스타렉스를 이용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하차벨이 없고, 직접 기사에게 하차 의사를 표한 뒤에 문을 밀어 승하차해야 한다는 불편은 존재한다. 안내방송 역시 나오지 않지만, 각자 승하차 위치가 있고 정류소 역시 매우 적어 큰 불편은 아니라고 한다. 오히려 한 기사가 고정적으로 운행하는 노선 특성상 도시 교통수단에서 느끼기 어려운 정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서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던 것처럼 보였던 "봉고" 시내버스. 봉고 버스는 50년 전과는 약간 다른 모습으로 시민의 곁에 여전히 남아 있었다. 서울이지만 서울답지 않은, 정다운 모습을 초록색 봉고에서 만났다.

문서 정보

삼각산 누비는 훈훈한 마을버스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시민기자 박장식 생산일 2014-10-07
관리번호 D0000041752723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