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연료전지 건물 및 시설 비상전원 적용 방안 연구

문서 본문

  • 번호 : 26720
  • 연도 : 2021
  • 용역명 : 연료전지 건물 및 시설 비상전원 적용 방안 연구
  • 입력일 : 2020-08-12
  • 추진상황 : 결과활용보고서 제출
  • 용역수행기관 : (주)동해종합기술공사
  • 용역기간 : 2021-05-07 - 2021-11-06
  • 책임연구원 : 정점래
  • 용역분야 : 환경
  • 용역기관선정방법 : 제한경쟁입찰
  • 사업비 : 200,000천원
  • 사업명 : 연료전지 건물 및 시설 비상전원 적용 방안 연구
  • 사업기간 : 2021-04-01 - 2021-11-30
  • 연구내용 : ○ 서울 내 비상전원 및 연료전지 현황 조사 및 운영실태 분석 ○ 비상전원으로 연료전지를 활용하기 위한 관련 법령·규정 조사 및 개정안 마련 ○ 비상·분산전원 겸용 연료전지 관련 기술기준 제정 ○ 건물·시설물 유형별 개념도, 계통도, 표준공사비 산출, 열 이용 설계 등 세부기준 마련 ○ 비상·분산전원 겸용 연료전지 성능시험장치 구현 ○ 연료전지의 비상전원 대체에 따른 환경·경제적 효과 분석
  • 담당자 : 박상현
  • 연구수행기관 : (주)동해종합기술공사

문서 설명

초록

○ 건물 내 비상전원은 가장 가격이 저렴한 디젤발전기 위주로 설치되어 있어, 가동 시 대기오염 우려 문제가 있음. 이에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없는 연료전지를 비상전원으로 인정하는 법령 개정을 통해 평시에는 전력 공급용 분산전원으로 이용하고자 하며, 이러한 제도개선의 빠른 현장 적용을 위해 본 용역에서는 각 건물 및 시설물 유형별 현장에 적용가능한 기술기준 및 표준설계 등 세부지침을 마련하여 서울형 기준으로 삼고자 함 ○ 서울의 낮은 전력 자립률로 인해 남서부에서 생산한 전력의 송배전 손실, 대형 송전탑 관련 갈등 등 막대한 사회적 비용 발생
○ 서울 내 비상전원은 6GW(원전 6기 용량) 이상 있으나, 대부분 가격이 저렴한 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엔진형 디젤발전기로 설치되고, 간헐적 가동으로 전력자립을 위한 활용이 어려움
○ 그에따라 24시간 가동하면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미미한 연료전지를 비상전원으로 인정하자는 제안은 있으나,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인 면에 대한 연구는 없어 본 용역에서 이러한 건물 및 시설에 적용되는 세부 기술기준과 표준설계 등을 마련하고자 함 ○ 서울 내 비상전원 및 연료전지 현황 조사 및 운영실태 분석
○ 비상전원으로 연료전지를 활용하기 위한 관련 법령·규정 조사 및 개정안 마련
○ 비상·분산전원 겸용 연료전지 관련 기술기준 제정
○ 건물·시설물 유형별 개념도, 계통도, 표준공사비 산출, 열 이용 설계 등 세부기준 마련
○ 비상·분산전원 겸용 연료전지 성능시험장치 구현
○ 연료전지의 비상전원 대체에 따른 환경·경제적 효과 분석
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

문서 정보

연료전지 건물 및 시설 비상전원 적용 방안 연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D0000044765030 분류 환경
원본시스템 학술용역 심사결과 제공부서 (주)동해종합기술공사
작성자(책임자) 이종원 생산일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