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기본계획(2018-2022)

문서번호 인력개발과-26449 결재일자 2017.12.19. 공개여부 대시민공개 방침번호 서울특별시장 방침 제216호 시 민 주무관 인력개발과장 행정국장 행정1부시장 서울특별시장 은진아 김희갑 김인철 류경기 12/19 박원순 협 조 인재개발원장 장경환 조직담당관 김정호 예산담당관 백일헌 총무과장 정상택 인사과장 김권기 교육훈련팀장 조병건 인재양성팀장 송희자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기본계획(2018-2022) 2017. 12. 서울특별시 (행 정 국) 지속 가능성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 예) 지역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의 보전 등 ■ □ 지속 추진을 위한 거버넌스 구성 목 차 Ⅰ 추진개요 1 1. 추진배경 1 2. 추진경위 2 3. 3. 서울시 교육훈련 개요 4 Ⅱ 서울시 교육훈련 성과와 한계 5 Ⅲ 환경변화 및 공직동향 9 1. 환경변화 9 2. 국내·외 공직 핵심가치 10 3. 주요 이슈 동향 11 4. 인재육성 전략 도출을 위한 SWOT 분석 12 Ⅳ 서울시 인재양성 비전 및 전략 13 1. 서울시 교육훈련 비전 체계도 13 2.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14 Ⅴ 전략과제별 중·장기 추진계획(안) 15 1. 봉사·협업의 가치기반 조성 15 2. 소통·융합의 인재양성 35 3. 미래지향 플랫폼 구축 47 Ⅵ 추진일정 및 예산 투자계획 62 Ⅶ 행정사항 66 붙임 교육훈련기본계획 수립 추진체계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5개년 기본계획 서울의 경쟁력 제고 및 대시민 행정서비스 향상을 위한 서울시 공무원의 능력발전 비전과 방향제시 Ⅰ 추 진 개 요 1 추 진 배 경 ?? 근거법령 : 지방공무원교육훈련법 제5조(교육훈련기본계획의 수립) ?? 필 요 성 ○지식·정보 우위가 도시·국가의 경쟁력인 현실에서 인적자원개발 중요성 증대 -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은 금융자본이 아닌 인적자본 Harvard Business Review ‘17.3월호 ‘Strategy in the Age of Superabundant Capital(자본이 넘쳐나는 시대의 전략) - 조직원의 능력개발과 역량 제고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 강일규. (2017).『THE HRD REVIEW』’인적자원개발 정책의 회고와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재육성을 위한 전략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훈련 필요성 증대 - 채용을 통해 인적자원이 확보되었다 해서 바로 일을 시작할 수 없고, 재직자도 순환보직으로 인해 직무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 김영지. (2017).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 . 부경대학교. ○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훈련 계획 필요 -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새로운 전략 모색과 핵심과제 발굴 필요 ?? 계획의 성격 및 범위 ○ 성격 : 서울시 공무원의 체계적인 능력개발을 위한 5년 단위 기본계획 ○ 범위 : 공간적 - 서울특별시 ※ 자치구는 자체계획 수립 추진 시간적 - 5개년(2018~2022년) ?? 그 간의 기본계획 수립현황 ○ (1차)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시스템 개편계획(‘07. 1.) ○ (2차) 서울시 인재양성 기본계획(’13. 2.) ※ 서울시 인사혁신 방안 수립(‘14.12) 2 추 진 경 위 ??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추진 방침 '17. 2.17. ?? 계획수립 실무 TFT 구성·운영 '17. 3.~ 9. ○ 구성 : 6개부서 23명 - 시본청(15) : 인력개발과 12, 인사과 1, 조직담당관 1, 기술심사담당관 1 - 교육기관(8) : 인재개발원 7, 상수도사업본부 1 ○ 총 10회 워크숍 개최 일 정 주요 논의사항 일 정 주요 논의사항 1차 (3. 9) 회차별 안건선정, 일정, 운영 방식 논의 6차 (4.13) 서울시 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 방향(인사혁신처 전문가 자문) 2차 (3.16) 교육기관별 역할정립 및 개선방안 7차 (5.26) 교육훈련기본계획 자문위원회 운영관련 현안사항 논의 3차 (3.24) HRD 트랜드 및 서울시 교육훈련 방향 논의 8차 (7.27) 서울시 인재육성 비전 및 전략, 추진과제(안) 수정·보완 4차 (3.31) ‘인사비전 2045’ 발제·토론, 서울시 교육훈련 시사점 발굴 9차 (9.11) 교육훈련기본계획 초안 검토(1차) 5차 (4.6~7) 기본계획 수립 프로세스 이론(교육) 및 실습 10차 (9.15) 교육훈련기본계획 초안 검토(2차) ?? 민간기업 벤치마킹 실시 '17. 6. 9.~ 6.16 ○ 총 3개 기업 벤치마킹 방문 구 분 주 요 내 용 POSCO ?? 비전 및 인재상, 핵심가치, 키워드, 교육체계 등 IBM ?? 비전 및 인재상, 학습플랫폼(MYCA), 교육-인사 연계방안 등 GE ?? HRD 키워드, 트랜드, 이슈, 핵심가치, 교육-인사 연계방안 등 ?? ?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 자문위원회 구성·운영 '17. 5. ~ 12. ○ 구성 : 외부 전문가(10), 서울시 내부위원(9) - 외부전문가(10) : 민간기업 4, 교육·연구기관 2, 교수 4 - 내부위원 (9) : 국장급 1, 과장급 4, 노조 2, 직원대표 2 ○ 총 7회 자문위원회 개최 일 정 주요 논의사항 일 정 주요 논의사항 1차(5.16) 위원장 호선, 안건 선정 및 일정 논의 5차(9.29) 교육훈련 기본계획 초안 검토 2차(6.16) 서울시 교육훈련 성과 및 개선과제 6차(11. 2) 교육훈련 기본계획 수정안 검토 3차(7.19) 서울시 인재육성 비전 및 전략 7차(12.8) 교육훈련 기본계획 최종안 검토 4차(8.24) 러닝 테크놀로지 ?? 시 직원 및 시민 대상 설문조사 실시(전자 및 서면병행) ○ 기 간 : '17. 6.12~7.14. (약 1개월간) ○ 참여인원 : 3,137명(시민 2,273, 직원 864) ○ 설문내용 : 서울시 인재육성 방향, 교육 체계에 대한 인식과 개선점 등 【핵심가치, 인재상 등 기본역량에 대한 서울시 공무원과 시민 간 인식차이】 ? 전체적으로 서울시 공무원은 서울시민이 인식하는 것보다 역량이 높다고 인식 - 공무원이 시민이 체감하는 것 보다 평균 28점 높은 점수를 부여함 ? 인재상 : 봉사인, 전문인, 협력인, 창조인 - 공무원은 ‘협력인’이 가장 높고, ‘창조인’이 가장 미흡하다고 인식 - 시민은 ‘전문인’이 높고, ‘봉사인’이 가장 미흡하다고 인식 ○ 핵심가치 : 헌신과 책임, 융합과 탁월, 소통과 협력, 창조와 혁신 - 공무원은 ‘소통과 협력’이 가장 높고, ‘융합과 탁월’이 가장 미흡하다고 인식 - 시민은 ‘융합과 탁월’이 가장 높고, ‘헌신과 책임’이 가장 미흡하다고 인식 ○ 공통역량 : 책임감, 의사소통 - 공무원, 시민 모두 ‘의사소통’보다는 ‘책임감’이 높다고 인식 3 서울시 교육훈련 개요 ?? 일반현황 ○ 시정비전 : 사람이 중심인 서울, 시민이 행복한 서울 - 목표 및 전략 : 안전한 도시, 따뜻한 도시, 꿈꾸는 도시, 숨쉬는 도시, 열린 도시 ○ 교육비전 : 시민에 봉사하고 전문성과 열린 마음을 갖춘 도시창조인 양성 - 인 재 상 : 봉사인, 전문인, 협력인, 창조인 - 핵심가치 : 헌신과 책임, 융합과 탁월, 소통과 협력, 창조와 혁신 ○ 대 상 : 11,842명 ※’17.11월 기준 본청 5,963명, 사업소 5,915명 - 행정 4,023, 기술 4,295, 연구지도 404, 관리운영 1,130, 임기제 1,899, 기타 127 ○ 운영제도 : 상시학습제도(연간 학습 목표시간 설정) - 5급이하 80시간, 관리운영직군 80시간(사무운영), 사무운영외 30시간 ?? 교육예산 및 조직 ○ 교육예산 : 192억원 (‘17 총교육비 기준) - 인력개발과(101억원), 인재개발원(78억원), 상수도사업본부(13억원) 1.83% (단위 : 억원) 구분 예산현액 인건비대비 교육비비율 총교육훈련비 192 1.83% 직접교육비 118 1.13% 간접교육비 74 0.70% 인건비(A) 10,494 ※ 부서별 직장교육 예산 별도 편성 운영 중 ○ 교육 조직/인력 : 1과 2사업소 139명(인력개발과 / 인재개발원, 물연구원) 서울특별시 교육훈련 기관교육 직장교육 국내교육 국외훈련 인력개발과주관 실국본부(부서) 주관 자체교육기관 위탁교육 학위훈련 (장기) 직무훈련 (장, 단기) - 명사초청 특강 - 독서모임 - 외국어교육 - 멘토링제 - 연구저술 지원 - 학습동아리 등 -기술직 직장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청렴교육 -인권교육 -사회복지교육 -자원봉사활동 등 - 인재개발원 - 물연구원 - 공공교육기관 - 민간교육기관 - 대학, 대학원(계약학과포함) 분야별 70위권 이내 대학 - 해외지방정부 - 국제기구 - NGO 등 Ⅱ 서울시 교육훈련 성과와 한계 1 역량기반 교육 도입·정착, 직원행복은 상대적으로 소홀 ?? 인재상과 핵심가치 공유 및 리더십 역량, 직무교육 강화 ○ 핵심가치 및 리더십 교육 의무화 및 승진반영 ○ 기술직·행정직 교육로드맵 개발로 직무필수교육 기반마련 ?? 국내·외 장기교육을 통한 핵심인재 양성 및 시정활용도 제고 ○ 시정현안 중심의 과제 선정 등 선발-파견-복귀-배치까지 체계적 운영 ○ 국외훈련 파견국 다변화(11개국), 국제기구, 지방정부, NGO 등 훈련기관 다변화(14개 기관) ?? 성과위주의 인재 육성에 집중한 결과 ‘행복한 직원’ 육성은 상대적 소홀 ○ 과중한 업무, 스트레스, 번아웃(Burn-out) 신드롬 등 부작용(직원자살 등) ○ 정신건강, 조직내 대인관계로 인한 힐링센터 쉼표 ‘13. 6월부터 시청사내에 힐링센터 설치, 서울시 및 산하기관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상담 운영 상담건수 증가 추세 (단위: 명) (단위: 명) <‘14~’16년 업무관련 직원상담 현황> <‘14~’16년 개인관련 직원상담 현황> 2 자기주도적 상시학습제도 정착, 학습품질은 개선 필요 ?? 연도별 이수 학습시간은 꾸준히 증가 추세 ?목표시간대비 ‘14년 124% → ’15년 126% → ‘16년 127%달성 ※ ‘16년 1인평균 87.8시간 (9,935명, 688,844시간) ○ 직장교육 및 사이버교육 증가추세, 교육훈련기관(집합) 교육은 현행 유지 - 최근 3년간 직장교육 약 2배 증가, 교육훈련기관 교육은 54% 수준 유지 ?? 학습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 필요 ○ 손쉽게 목표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학습을 우선하는 풍토 만연 - 승진에 필요한 학습목표시간을 일시에 사이버 학습으로 대체하는 사례 등 ○ 부서별 직장교육이 양적으로는 증가했으나 체계적인 측면은 미흡 - ’14년 43부서 77개과정 → ’15년 44부서 69개과정 → ‘16년 49부서 90개과정 - 구조화된 직장교육(S-OJT)의 체계적 실행을 위한 표준교육안, 내부강사 인증 미흡 ○ 교육욕구가 높고 전문성을 요하는 핵심인재 양성 방안 마련 필요 ?‘16년 연구·지도직 103시간, 기술직 98시간, 행정직 87시간, 관리운영(사무) 83시간, 관리운영(기타) 63시간 학습 순 3 미래 교육수요에 대응할 인프라 확충 필요 ?? 학습관리시스템(LMS)의 실용성 미흡, e-HRD 포털 시스템 구축 필요 원들의 목소리 > ? 직원들은 우스갯소리로 학습관리시스템은 1년에 필요할 때만 3~4번 사용합니다. ? 학습포털을 직원들이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선이 되었으면 합니다. (‘17.6.16 교육훈련기본계획수립 자문위원회 참여 직원대표) ?? 언제 어디서나 학습 가능한 모바일 학습콘텐츠 접근 편의성 요구 증가 원들의 목소리 > ?교육을 듣기 위한 시스템이 불편하고(사이버, 모바일), 교육장까지의 거리가 멀어요. (‘17.6. 직급별 역량모델 개발 및 진단용역 설문조사) ?? 미래 교육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필요성 증대 ○ 인재개발원 시설 노후화(‘79년 준공), 교육인원증가, 채용시험 증가로 교육 요구 적기 대응 곤란, 인재개발원내 정보통신교육장 부재 ? 연간 교육인원 : ‘12년 88,960명(일평균 444명) → ’16년 102,020명(일평균 510명) ? 연간 채용규모 : ‘14년 19회, 2,565명 → ’16년 28회 3,270명 ? IT 교육 : 2014년부터 데이터센터에서 인재개발원으로 이관 ○ 5급 역량평가 인원 증가, 4급 역량평가 확대 실시(‘19년)로 역량평가 센터 설치 필요 ?‘10년 이후 5급 역량평가 인원 증가추세 ‘10년 201명 → ’12년 326명 → ‘16년 428명 → ‘17년 486명 → ‘19년 약670여명 예상 ※ ‘13년 5급 승진심사 제도 개선으로(先 심사승진, 後 역량평가 → 先 역량평가, 後 심사승진) ’13 ~ ‘14년 역량평가 인원 급증 ○ 매년 직장교육은 증가하고 있으나 청사내 전용강의실이 없어 가용 임시회의실 사용 ? 청사내 직장외국어 강좌 : ‘15년 6개언어 1,190명 → ‘16년 7개 언어 1,311명 ? 부서별 직장교육 : ’15년 44부서 69개과정 → ‘16년 49부서 90개과정 ? 청사내 계약학과 운영 : ‘15년 88명 → ‘16년 154명 4 인사와 교육의 체계적 연계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필요 ?? 4회 연속 BEST HRD 인증획득, 인사와 교육연계는 아쉬운 평가 ○ 교육부·인사혁신처 공동주관, '07년 최초인증 후 연속4회('07, '10, '13, '16) ? (총평) 인적자원개발 부분에서 우수한 기관으로 판단되며 능력중심 인재육성계획을 기반으로 교육훈련 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교육훈련결과를 인사와 체계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 ?? 역량평가 승진반영 제도 정착, 평가대상 직급 확대 필요 ○ 4→3급, 6→5급 승진시 역량평가 결과 반영 제도 확립, 5→4급은 미실시 - 4급 과장도 시의 핵심 직위이므로 승진대상자에 대해 역량평가 실시할 필요 ?? 퇴직 및 신규채용인원 증가에 따른 교육수요 증가 대응방안 마련필요 ○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 및 신규채용인원 증가에 따른 교육수요 증대 전망 ?‘18~’22년까지 현원(자치구 포함 42,443명, ‘17.6월)의 18%인 7,534명 정년퇴직 예상 ○ 노하우 보유한 베이비부머 공무원의 퇴직 증가에도 불구하고 퇴직관리 인프라는 취약 - 부서별로 현장위주의 퇴직자 시정모니터링 사업위주(‘16년 11개부서 1,677명) ○ 고학력 밀레니얼 세대의 공직입문 증가에 대응한 전략적 교육방안 마련 필요 - 서울시 및 자치구 공무원의 학력수준은 꾸준히 증가추세(대졸이상 증가, 고졸이하 감소) <출처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 > ?대졸이상 학력 매년 증가 ‘12년 69% → ’15년 73% → ‘17년 75% ?고졸이하 학력 매년 감소 ‘12년 28% → ’15년 25% → ‘17년 23% Ⅲ 환경변화 및 공직동향 1 환경 변화 ?? 외부환경 변화 정치 환경 경제 환경 ? 촛불집회 등 시민의 정치참여 확대 ? 공정·민주·인권에 대한 요구 증대 ? 공공분야 일자리 확대추세 ? 보호무역주의 등 불확실성이 높은 경제여건 지속 ? 저성장, 내수부진, 청년실업 ? 소득 불평등 심화, 고령빈곤층 증가 사회 환경 기술 환경 ? 세대간, 계층간 사회적 갈등 고조 ?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 은퇴 ? 일·가정 양립 불균형, 1인 가구 증가 ? 인공지능, IoT 등 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 ? 미래변화 대응역량 중요성 대두 ? ICT 융·복합 확산 ?? 교육훈련 트랜드 변화 ○ 성과위주(Performance Based) 교육에서 가치위주(Value Based) 교육으로 전환 ATD 2017 Debriefing(이찬) - 직원 행복과 존엄성 존중을 위한 가치중심 교육, 조직과 개인의 조화, 일과 삶의 균형 등 ○ 형식 학습(Formal Learning)에서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으로 전환 - 70(일터학습):20(코칭과 멘토링):10(전통적 형식학습)의 학습 추세 HRD 혁신을 위한 뉴패러다임 702010 Framework (이찬, 조관남, 전동원 역). 서울: 두하우컨설팅(2016) ○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로 과학기반(Scienced Based) 인적자원개발 필요 -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가상·증강현실 등 신기술을 활용한 업무처리 역량 필요 2 국내·외 공직 핵심가치 ?? OECD 국가 및 우리 정부의 공직 핵심가치 ○ OECD 국가별로 구체적 내용은 상이하나 크게 4가지 분야로 정리됨 바람직한 공직가치 재정립 및 내재화 방안연구 (인사혁신처·한국행정연구원, 2015.7) 참조 - 청렴성 : 투명성, 윤리적 가치, 정직성, 객관성 - 공정성 : 형평성, 평등성, 정의, 적법성, 비정치성, 공개적 책임성 - 민주성 : 국민의 가치, 다양성, 의사소통, 합리적 기회제공 - 전문성 : 책임성, 전문직업적 가치, 실적주의, 결과지향, 리더십, 경력중시 ○ 정부의 ‘공무원 헌장 실천 강령’ 핵심 공직가치는 3개차원별 9개 항목임 설문조사, 각계 간담회 등 1년여의 여론 수렴 과정을 통해 현재와 향후 30년을 아우르는 핵심 공직가치 9개 항목 선정(‘16.1.1) - 국가차원 : 국가관 (애국심, 민주성, 다양성) - 국민차원 : 공직관 (책임감, 투명성, 공정성) - 개인차원 : 윤리관 (청렴성, 도덕성, 공익성) ?? 서울시 공직 핵심가치 ○ ‘13년 서울시 인재상 및 핵심가치 정립, 내재화 교육 지속 추진 중 ‘13~’16년「함께서울 공감마당」총 212회 23,588명 (시·구·투자출연기관) - 인 재 상 : 봉사인, 전문인, 협력인, 창조인 - 핵심가치 : 헌신과 책임, 융합과 탁월, 소통과 협력, 창조와 혁신 ○ 서울시민이 서울시 공무원에게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은 핵심가치역량임 서울시 직급별 역량모델 개발 및 진단용역 설문조사(‘17.6.12. ~ 7.14.) 결과 참조 - 시민중심 가치교육(72%), 직무전문교육(20%), 리더십 및 기타(8%) 서울시의 공직핵심가치는 OECD국가 및 우리 정부의 공직핵심 가치를 대부분 함축, 시민의 요구에 대응하여 핵심가치교육 강화 필요 OECD 국가 핵심가치 공무원 헌장 실천 강령 서울시 핵심가치 윤리성, 정직성, 투명성 애국심, 청렴성, 도덕성, 투명성 헌신과 책임 적법성, 전문성, 다양성 다양성 융합과 탁월 의사소통, 리더십 공정성, 민주성 소통과 협력 경력중시, 실적주의 책임감 창조와 혁신 3 주요 이슈 동향 ?? 새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촛불시민 혁명으로 탄생한 정부이자 새롭게 집권한 민주정부로서 국민 주권시대에 맞도록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아 국정운영 패러다임을 전환 (2017.7월 국정기획자문위원회) (5대 목표, 20대 전략, 100대 과제) ○ 국가비전 :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 ○ 국정목표 : 국민이 주인인 정부, 더불어 잘사는 경제,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 서울시 미래과제 (4개분야 10개 내외 과제) ○ 미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 발전 실현을 위해 미래과제 발굴 중 - 포용적 성장, 신성장동력발전, 지속가능한 회복력, 인구변화대응 분야 포용적 성장 신성장 동력 발전 지속가능한 회복력 인구변화 대응 이슈 불균형, 불평등, 상생·공존사회 4차 산업혁명 도시경쟁력 확보 위험 사회 노후화된 도시기반 저출산?고령화 1인가구 시대, 글로벌화 과제 ? 일자리?경제 불평등 해소 ? 주거 불균형 해소 (※도시재생?탈서울대책 포함) ? 교육 불평등 해소 ? 지능정보산업 육성 ? 바이오헬스 의료산업 ? 글로벌 관광_MICE 도시 서울 ? 경인축 新성장거점· 벨트 육성 ? 노후인프라 혁신·투자 ? 재난위기 대응력 강화 ? 스마트?클린 교통시스템 구축 ? 깨끗한 도시 맑은 공기 서울 ?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서울 만들기 ? 고령사회 삶의 질 향상 기반 구축 ? 1인 가구 대책 ? 외국인과 더불어 사는 도시 < 출처 : 부시장단 정례간부회의 자료, ‘17.07.03 > 새 정부의 주요 이슈들을 반영한 서울시 미래과제에 맞춰 정책수요에 맞는 직무역량 강화할 필요 새 정부의 국정운영 주요 이슈 키워드 서울시 미래과제 발굴분야 지방분권, 균형발전, 차별해소 및 약자지원, 경제민주화, 성평등 포용적 성장(불균형, 불평등,상생 및 공존) 과학기술 진흥, 미래성장동력 확충, 과학기술R&D 신성장 동력 발전(4차 산업혁명, 도시경쟁력) 자연?사회적 재해?재난 예방, 지속가능, 생활안전 지속가능한 회복력(위험사회, 노후화된 도시기반) 일자리 창출, 저출산?고령화 대책, 협력외교 인구변화 대응(저출산, 고령화, 1인가구, 글로벌화) 4 인재육성 전략 도출을 위한 SWOT 분석 외부환경 내부환경 기회(O) 위협(T) 개인별 다양한 학습요구 증가 과학기술 발달에 의한 최신 교육기법 다양화 국제도시간 협력요구 증대 인공지능을 통한 HRD & HRM 통합운영 추세 감성과 가치중심으로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 무형식 학습수요 증가 세대간 계층간 갈등의 심화 시민의 행정참여 요구 확대 고령인구, 저출산 증가 융·복합형 인재요구 지방출신 공무원 임용증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요구증가 4차산업 및 신기술의 급격한 발달 및 인간소외 노후화된 도시기반시설 강점 (S) 인재상과 인재개발 방향성 제시 고품질 e-러닝 서비스 확대 역량평가 선제적 도입·정착 행정/기술직 직무별 교육체계 구축 상시학습제도, 직장교육 정착 자기개발 욕구 상승 고학력 우수인재 지속증가 학습을 권장하는 조직문화 직무전문성 강화 글로벌 교류 및 교육 확대 긍정의 조직문화 확산을 통한 행복한 일터 조성 무형식 학습 확대 학습 플랫폼 구축 핵심가치 실행수준 제고 공직가치관 확립 재난회복 역량 교육 강화 기회:강점 (SO) 위협:강점 (ST) 약점 (W) 직급별 역량설정 미흡 역량진단 수용성 미흡 베이비부머 퇴직자 증가로 노하우 상실 우려 핵심가치 실행에 대한 시민 체감도 저조 소수직렬 체계적 교육 미흡 상시학습시간을 채우기 위한 e-러닝 교육참여 지속적 증가 교육-인사의 체계적 연계 미흡 최신기술(AI, IoT등), 4차산업혁명 대응 미흡 역량평가 대비 사교육비 증가 미래교육수요 대비 인프라부족 기회:약점 (WO) 위협:약점 (WT) 인간존중의 교육시스템 강화 역량모델 재정립 및 진단시스템 재구축 인사와 교육의 연계 강화 소통·감성 교육 강화 4차 산업혁명 등 변화에 대응할 민첩성(agility) 강화 사람중심의 리더십 강화 미래 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인프라 확충 인구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강화 Ⅳ 서울시 인재양성 비전 및 전략 1 서울시 교육훈련 비전 체계도(안) 2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봉사·협업의 가치기반 조성 ①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 新역량모델 개발 및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 시민중심 핵심가치 교육 실시 ○ 감성 리더십 교육 강화 ○ 직급·직렬별 필수과정 지정을 통한 전문성 제고 ② 노하우 공유를 위한 현장교육 강화 ○ 실·본부·국별 직무교육 책임제 도입 ○ 일상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교육 활성화 ③ 인사와 교육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 국내·외 장기교육자 유관부서 의무복무시스템 구축 ○ 5급이상 역량평가결과 승진반영 확대 ○ 교육협업 네트워크 구축 소통·융합의 인 재 양 성 ① 인간존중의 교육강화 ○ 장애공무원 교육환경 구축 ○ 공무원 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 내실화 ○ 퇴직(예정) 공무원 체계적 교육 및 노하우 활용 ② 개인 주도형 학습지원 ○ 개인맞춤형 역량진단 지원 ○ 신규자, 전직자, 휴직복귀자 등 적응교육 강화 ③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 직급·세대를 통합하는 소통·감성 프로그램 운영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외 위탁교육 개선 미 래 지 향 플랫폼 구축 ①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확충 ○ 지능형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 미래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 공정·투명한 시험관리를 위한 채용·평가센터 설립 ② 상시학습의 확대 ○ 유연한 교육문화 확산의 상시학습제도 운영 개선 ○ 참여형 학습지원을 통한 스마트러닝 활성화 ③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대응 역량 강화 ○ 미래대응의 장기교육과정 확대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 확대운영 Ⅴ 전략과제별 중·장기 추진계획(안) 봉사·협업의 가치기반 조성 ①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 新역량모델 개발 및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 시민중심 핵심가치 교육 실시 ○ 감성 리더십 교육 강화 ○ 직급·직렬별 필수과정 지정을 통한 전문성 제고 ② 노하우 공유를 위한 현장교육 강화 ○ 실·본부·국별 직무교육 책임제 도입 ○ 일상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교육 활성화 ③ 인사와 교육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 국내·외 장기교육자 유관부서 의무복무 시스템 구축 ○ 5급이상 역량평가결과 승진반영 확대 ○ 교육협업 네트워크 구축 1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① 新역량모델 개발 및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직급·직렬별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맞는 역량기반 육성체계를 구축하여 학습자들이 교육과 자기개발학습을 통해 직급에 부합하는 역량향상 유도 ??현황 및 실태 ○ 역량 개발 교육과 무관하고 직무 전문성과 괴리된 학습 운영 - 형식적 역량진단 후, 무분별한 교육 참여로 역량 개발과 연계성 부족 ○ 교육 과정별 개발 역량이 매칭 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 역량 개발 미흡 - 외부 위탁교육, 직장교육 등 교육 과정별 개발 가능 역량이 매칭 되어있지 않음 ??추진방향 ○ 기존 교육과정과 개발 역량 매칭 및 교육체계 개편 ○ 신규역량 개발 방향 제시 및 역량별 교육방법 매칭 전략 수립 ○ 직렬별 교육 로드맵 전 직렬 확대 및 지속 업데이트 ??추진계획 ○ 직급별 통합 역량개발 과정 운영으로 역량의 균형 개발 도모 - 직급별 통합(기본?리더십?직무) 역량 향상 과정 신설하여 운영 ○ (기본)역량의 균형 개발을 도모하되 시정 핵심가치 공유를 위해 확대운영 - 인재상 및 시정 핵심가치를 반영한 다양한 기본역량 교육 확대 ○ (리더십)승진리더 과정을 제외한 리더십 역량 개발과정 민간위탁교육 추진 - 직급별 핵심 리더십 과정 외에 민간우수 교육기관 위탁을 통한 다양한 리더십 역량개발 ○ (직무)직렬별 직무공통 역량 의무이수 추진 및 직무전문역량 개발 가이드 제시 - 직렬별 공통역량 교육 의무이수 추진 및 직문 전문 역량 향상을 위해 직렬별 교육 로드맵 개발 지속 추진 - 현장 중심의 직무전문역량 개발을 위해 부서별 직장교육 컨설팅 지속 실시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 참고 > 新역량모델 및 역량기반 교육체계(안) ??新역량모델 구 분 3급 이상 4급 5급 6급 7급 이하 공통역량 감성소통, 사회적 책임감, 공직윤리의식 리 더 십 역 량 공통 감 성 리 더 십 실 행 리 더 십 감수성, 코칭 협력 및 팀워크, 갈등관리 사고 미래통찰력 전략적사고 정책기획 문제인식·이해 논리적 사고 상황인식·판단력 기획력 복합문제 해결력 도전의식 긍정마인드 관계 협력네트워크 구축 조정통합력 이해관계조정 동기부여 변화관리 효과적인 팀구축 팔로우십 유연한 관계형성 적응력 회복탄력성 업무 비전제시 목표 및 방향제시 명확한 지시 자원·조직관리 정책집행관리 성과관리 업무추진력 즉각적 대응 법규이해활용 실행력 직무역량 직무 공통역량 : 법규이해 활용, 전문가 의식, 의사소통 ?? 직류별 직무 공통역량 : 20개 직류 60개 역량, 글로벌 역량, 정보화 역량 등 ??역량기반 교육체계 구 분 3급 이상 4급 5급 6급 7급 이하 공통역량 과정 함께서울 공감마당, 청렴교육, 열린조직만들기, 인권교육, 다독다독서울, 톡톡캠프 등 내용 공직가치, 시정비전, 조직문화, 인문소양 리 더 십 역 량 직위별 리더십 과장리더십 팀장리더십 6급 미래인재양성 실무리더십 직급별 리더십 3급 승진리더 4급 승진리더 5급 승진리더 6급 승진리더 7급 승진리더 감성 리더십 함께 상생하는 소통리더 깨달음을 실천하는 감동리더 서로의 역량을 촉진시키는 촉진리더 울창하게 뻗어나가는 실천리더 직무 역량 공통 ?? 직무 및 직렬 공통 역량 : 인재개발원 ?? 직렬기초 : OJT 전문 ?? 직무 및 직렬 심화·전문 : OJT, 외부 전문 교육기관(대학·대학원위탁 등) 글로벌 ?? 장단기 국외훈련, 직장외국어 강좌, 전화외국어강좌, 국제교류 및 국제행사 이해 IT ?? 정보화 정책, 정보기술, 정보활용 등 통합 역량 과정 공통 리더십 직무 기본 리더십 기본 리더십 직무 ② 시민중심 핵심가치 교육 실시 전 직원 대상의 체계화된 핵심가치 교육을 통해 조직비전 및 미션을 공유하고, 시민의 입장에서 정책을 기획?개선해 나가는 고도의 실행력 강화 ??현황 및 실태 ○5급이하 대상 핵심가치교육 실시에도 불구하고 시민은 공무원이 생각하는 것보다 서울시 공무원의 핵심가치 실천역량이 낮다고 인식 - 시정철학과 핵심가치 공유를 통한 시정추진 실행력 강화를 위해 교육실시 ? 「함께서울 공감마당」: 5급이하 전직원 대상, 연간5,000여명 - 핵심가치 등 기본역량에 대한 서울시 공무원과 시민 간 인식차이 분석결과(’17.6~7) ? 시민은 공무원이 체감하는 것보다 평균 28점 낮은 점수 부여 ※ 핵심가치란? 조직내부에서 바람직한 행동들을 제시한 기본적 규범으로, 조직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관, 신념 등 장기간 변하지 않는 특징들의 결합체 ??추진방향 ○핵심가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서울시 공무원과 시민의 체감적 인식차에 대한 조사?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전직원의 핵심가치 실천력 강화 - 인식차이의 원인을 분석하여, 그 차이(gap)를 줄일 수 있는 교육내용과 방법 도출 ??추진계획 ○직급별 핵심가치 공유 프로그램 개발 - 공통내용 : 시정비전 및 핵심가치 개념, 시민중심 핵심가치 실천을 위한 균형점 이해 등 - 전문내용 : 시정철학과 핵심가치에 기반한 의사결정 및 시정 구현 방법(관리자?실무자) ○민관이 상호 이해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는 다양한 채널 구축 - 시민단체, 거버넌스 기관 등의 시민을 핵심가치교육 강연자, 패널로 초청하여 교육생과의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문제해결, 고민나눔, 소통, 힐링이 함께 하는 ‘공감(共感)의 장’ 마련 ○핵심가치 내재화 및 실천력 강화 방안 마련?시행 - 핵심가치가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행동으로 나타나도록 내재화하는 사업 추진 ? 공무원증 뒷면에 인재상 및 핵심가치 인쇄, 상시패용 (IBM 사례 참고) ? 인재상 명칭을 부여한 시장표창장 (예: 봉사상, 전문가상, 창조상, 협력상) ? 공문서 상단에 조직비전 명시 (예: 시민에 봉사하고 소통하는 미래지향적 전문인재 양성) - 핵심가치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감안하여 5개년간 단계별로 추진 핵심가치 이해 핵심가치 실천 핵심가치 정착 핵심가치 공유 핵심가치 확산 (1단계: 2018) (2단계: 2019) (3단계: 2020) (4단계: 2021) (5단계: 2022)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③ 감성 리더십 교육 확대 감성에 기반한 신뢰와 감동의 리더십 강화로 긍정적인 조직문화와 팀워크 조성 및 효과적인 성과창출에 기여 ??현황 및 실태 ○직위?직급별 리더십 교육과정을 필수교육으로 지정, 실시하고 있으나 조직내 소통 및 유연한 조직문화 조성에 필요한 리더십 부족 ○4급 이상 공무원 연간 학습목표 시간 부재, 리더십 교육기회 부족 - 시대 변화에 따른 조직의 소통 촉진자로서의 감성 역량 부족 ??추진방향 ○세대 간, 직급 간 조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소통과 감성, ‘사람중심 리더십’, 수평적 시각에서 조직 전체를 이해하고 이끌어가는 ’시스템 리더십‘ 시스템 리더십 : 수평적 시각에서 시스템·조직 전체를 이해하고 창의력·다양성·잠재력을 발휘해 조직을 이끌어가는 열정이 있는 리더십 (송영수.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 ㈜크레듀) 구현 ○직위별 역할과 책임을 기반으로 리더가 갖추어야 할 ‘사람관리 역량’ 및 변화 대응을 위한 ‘민첩성(agility)’ 민첩성(learning agility) : 리더가 지속적으로 개발, 성장하고 새로운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조직이 직면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대응하는 마인드 셋과 실천력을 의미함 (Ibid) 개발 ??추진계획 4급이상 간부공무원 대상 - 소통, 체험, 공감, 변화하는 리더양성 ○4급 이상 간부 리더십 교육 “함께 상생하는 소통리더” 과정(개편) - ‘결정적 순간의 대화’를 활용한 조직 내 관리자의 효과적 소통방법 내면화 - 리더들의 상시 감성관리를 위한 ‘코칭스킬’ 강화 ?단위조직별 리더십 수준 진단 결과, 상?중?하로 분류하고 하위 단위조직에 대해 집중 코칭 실시 - 리더십 진단으로 자신의 강?약점 파악 및 상황별 코칭으로 부족 역량 중점 향상 - 인문학, 철학, 심리학 등으로 디지로그적(디지털+아날로그) 디지털 기반과 아날로그 정서가 융합하는 첨단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로 디지털 기술에 아날로그적인 인간의 감성과 가치, 욕구를 담아야 좋은 제품이 될 수 있다는 것 (이어령, 디지로그, 2006) 감성리더십 개발 ○간부특강, 워크숍, 현장방문 등 체험?공감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시장-간부 공동연수, 특강 등을 통해 핵심가치 공유 및 소통의 기회 부여 - IBM, 구글, 포스코 등 변화 주도 기관 방문을 통해 생생한 혁신사례 체감 ○최신 트렌드, 변화 대응 리더십 등 디지털 콘텐츠 공유로 민첩성(agility) 강화 - 시정비전 및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리더십 관련 콘텐츠 정기·수시 제공 ○전문성과 다양성을 겸비한 리더 양성을 위한 대학 ‘최고위 과정’ 위탁교육 확대 - 융·복합 학문, 미래 신기술 등 다양한 분야 최신 트렌드 학습 및 네트워크 구축 5급이하 공무원 대상 - 감동·촉진·실천하는 리더양성 ○5급 신임 관리자 : “깨달음을 실천하는 감동리더” 과정(개편) - 관리자로서의 역할 변화에 따른 변화 필요성 인식 및 성찰 기회 제공 - 직원들의 감정을 읽고 현명하게 대응하는 감성 코칭 리더십 강화 - 상하간 다름의 이해와 존중을 통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신뢰기반 인간관계 형성 ○6급 실무자 “서로의 역량을 촉진시키는 촉진리더” 과정(개편) - 업무현장에서 발생하는 갈등 상황에서의 소통방법 학습 - 팀 내 중재자로서 신뢰를 기반으로 팀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대인관계 스킬 함양 ○7급이하 실무자 “울창하게 뻗어나가는 실천리더” 과정(개편) - 자기관리를 위한 셀프 리더십 및 리더를 움직이는 팔로워십 이해 - 실무리더로서 주도적 역할과 행동을 자각하고 동료직원들과 협업을 통한 리더십 양성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④ 직급·직렬별 필수과정 지정을 통한 전문성 강화 직급·직렬별 필수 이수 과정 지정 및 이수 유도를 통해 실무중심 전문 역량 제고로 분야별 핵심 인재 육성 ??현황 및 실태 ○ 공무원의 역량과 전문성에 대한 시민의 낮은 신뢰 수준 - 서울시민 2,273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수준은 56.2% 로 매우 낮게 나타남 ○ 직렬별 직무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 교육정보 제공 미흡 - 직렬·직무별 교육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경력 단계별 맞춤형 역량 배양에 한계 ??추진방향 ○ 직급·직렬별 직무 분야 필수 이수 과정 지정으로 개인별 직무 역량 격차 해소 ○ 학습시스템을 통한 교육 로드맵 제시로 개인별 경력 개발 욕구 충족 ??추진계획 ○ 직무 공통 역량 중심의 직급·직렬별 필수 이수 과정 설정 운영 - 필수 과목 설정을 위한 직렬 구분 및 필수 과정 선정 : ’18년~ - 직렬별 필수 이수 과정 승진 반영 : ’20년 ~ ○ 전 직렬 교육 로드맵 개발 및 역량 진단을 통한 개인별 필요 교육과정 제시 - 8개 직렬 외 전 직렬 교육 로드맵 개발 및 연차별 리뉴얼 : ’19년~ ※ 8개 직렬 : 행정5(감사,세무,전산,사회복지,행정), 기술3(토목,건축,녹지) - 개인별 역량 진단 시 직무 전문 역량 포함 진단 실시 : ’20년 ~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 참고 > 교육 로드맵(기술분야 예시) ?? 건축직 ?? 토목직 2 노하우 공유를 위한 현장교육 강화 ?? 추진방향 ○ 경험과 실천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교육 패러다임 전환 - 업무현장에서 자유롭게 도전과 실험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학습의 ‘장(場)’ 설계 ○ 현장이 소통의 중심이 되는 학습 플랫폼 구축 - 현장에서 듣고, 보고, 말하고, 느끼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통문화 구축 ○ 현업문제 해결을 통한 학습, 새로운 경험을 통한 학습 기회 제공 - 스스로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창의적인 학습 주체가 되고 학습이 일상이 될 수 있도록 기획 ??현장교육을 통한 역량향상 선순환 구조 ① 실?본부?국별 직무교육 책임제 도입 실?국?본부?사업소 등 기관별 육성 책임하에 체계적 직장교육(OJT), 구조화된 직장교육(S-OJT) OJT는 실제 업무환경에서 상사와 후배 간 의사소통을 통해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것인 반면, S-OJT는 체계화된 모듈을 통해 훈련이 이루어지는 현장학습을 의미함 , 필수 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직무역량 강화 ??현황 및 실태 ○ 전문성이 필요한 다양한 행정수요에 따른 부서별 직장교육 확대 추세 - ’15년 44부서 69개과정, 8919만원 → ‘16년 49부서 90개과정, 1,342백만원 ○ 교육담당자 중심의 직장교육 강사 섭외로 우수 강사 발굴에 한계 - 우수 강사 Pool의 지속적 확보 및 강사별 DB 구축 필요 ??추진방향 ○ 기관별 직무전문교육 책임제 도입 및 직무전문교육기관 지정 운영 - 전직원 대상 기본교육(인권, 청렴 등) 및 부서별 직무 전문교육(공사관리, 상수도 직무 등)으로 이원화하여 추진 ○ 부서별 맞춤형 직장교육 컨설팅 지원으로 질적 수준 제고 ○ 직장교육 강사진의 강의품질 제고를 위한 체계적 관리 프로세스 구축 - 지능형 학습포털시스템과 연계한 강사 DB 구축으로 강사정보 제공 우수강사 발굴활동 (수시) 우수강사 Pool/ 강사정보 DB화 강의 결과분석 강의활용/양성 우수강사 발굴활동 (수시) ??추진계획 실국본부 직무교육책임제 운영 ○ 교육내용별 책임부서 조사를 통한 직무전문교육기관 매칭 : ’18년 - 기본교육 : 성희롱예방 등 법적 의무교육 및 전직원이 갖춰야 할 역량교육 - 전문교육 : 특정부서, 업무에 한정하여 발휘되어야 하는 지식·기술교육 ○ 직무전문교육 책임제 시범기관별 교육체계수립 및 시범운영 : ’18~’19년 - 청렴, 성희롱예방 등 의무교육 담당부서 및 상수도, 기술심사담당관 우선 실시 ○문제해결을 위한 부서별 맞춤형 직장교육 컨설팅 지원 : ’19년 - 수요조사 후 필요한 교육내용에 따른 최적화된 교육방법 및 매뉴얼 개발 등 지원 ○ 직무전문교육 책임제 전기관 확대 운영 : ’20년 - 시범운영 후 미비점 보완, 매뉴얼 및 지침 등 개발 배포 ○ 책임기관에 대한 HRD 성숙도 진단 인적자원개발과 관련된 인프라, 연구, 전략수립, 학습활동 등을 영역별로 점수화하여 진단하는 방법 실시로 성과분석 및 환류 : ‘21년 - 성숙도 진단결과 기관평가 반영을 통해 실국별 HRD 수준향상 견인 ○ 책임기관 연계 예산편성 및 기관평가 항목 반영 : ‘22년 ~ - 책임기관지정 연계 교육훈련 예산편성 및 기관평가 반영(예산·평가과 협조) - 직렬별 직무 필수 교육을 위한 직무전문교육기관 지정(기술심사담당관, 물연구원 등) 내부강사 관리 시스템 구축 ○ 부서별 활동 중인 강사 발굴 분야별 강사 Pool 구성 : ’18년 - 시정 핵심업무 성공적 추진자, 승진자, 전문관, 전공자, 출강 경험자 등 ○ 강사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맞춤형 지원 : ’18년 - 발굴 및 검증 → 관리 체계화(선정·활용·평가·양성) → 강사관리 제도화 ○ 강사진 DB 관리 시스템 구축(지능형 학습포털 연계) : ’19년 - 강사진 DB의 지속적 업데이트로 최신의 강사진 서비스 품질 및 역량유지 ○ 우수강사 양성 및 운영 : ’20년 - 강의자료 제작 및 강의기법 향상 교육, 우수강사 선정(인증) 포상 시행 - 강사주도의 교육방식이 아닌 참여와 토론중심 퍼실리테이터 육성 - 사내강사 연찬대회 실시, 강의 실적 마일리지 제도 운영 등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 < 참고 > 기관별 직장교육 매칭(예시) 연번 기 관 명 교육내용 연번 기 관 명 교육내용 기본 전문 기본 전문 1 대 변 인 언론대응 34 상수도사업본부 상수도직무 2 서 울 혁 신 기 획 관 인권감수성 갈등관리 35 한강사업본부 한강관리 3 시민소통기획관 행정순화한글 매체별 홍보 36 인재개발원 HRD 역량 4 감사위원회 청렴 감사 37 보 건 환 경 연 구 원 R&D 역량 5 시민감사옴브즈만위원회 감사 38 어 린 이 병 원 의료 6 기획조정실 보고서작성 예산 39 은 평 병 원 의료 7 여성가족정책실 성희롱 예방 다문화이해 40 서 북 병 원 의료 8 비상기획관 민방위훈련 41 서 울 역 사 박 물 관 전시기획 9 평생교육정책관 평생교육 42 시 립 미 술 관 전시기획 10 정보기획관 ICT 정보보안 43 서 울 대 공 원 사육관리 11 경제진흥본부 포용적경제 44 교 통 방 송 방송전문 12 복지본부 사회복지 복지전달체계 45 서울시립대학교 교육행정 13 도시교통본부 수요관리 46 데 이 터 센 터 정보관리 14 문화본부 문화 47 농업기술센터 R&D 역량 15 기후환경본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48 서울도서관 사서교육 16 행정국 멘토링 정보공개 49 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 17 재무국 재무회계 계약 50 체 육 시 설 관 리 사 업 소 시설관리 18 일자리노동정책관 노동감수성 51 서울역사편찬원 R&D 역량 19 관광체육국 관광 52 서울시립과학관 R&D 역량 20 시민건강국 보건 53 서 부 공 원 사 업 소 공원관리 21 민생사법경찰단 사법경찰직무 54 동 부 공 원 사 업 소 공원관리 22 도시공간개선단 도시공간 55 중 부 공 원 사 업 소 공원관리 23 기술심사담당관 기술직무 56 품 질 시 험 소 품질관리 24 안전총괄본부 안전 57 동부도로사업소 도로관리 25 도시재생본부 도시재생 58 서부도로사업소 도로관리 26 도시계획국 도시계획 59 남부도로사업소 도로관리 27 주택건축국 주택건축 60 북부도로사업소 도로관리 28 푸른도시국 산지방재 61 성동도로사업소 도로관리 29 물순환안전국 물관리정책 62 강서도로사업소 도로관리 30 지역발전본부 지역발전 63 중 랑 물 재 생 센 터 시설관리 31 소방재난본부 소방안전 64 난 지 물 재 생 센 터 시설관리 32 시의회사무처 의회전문 33 도시기반시설본부 공사관리 ② 일상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교육 활성화 사소하지만 일상 업무와 관련되어 실질적으로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현장교육 실시로 직무역량 강화 ??현황 및 실태 ○ 교육훈련 기관의 강의 위주의 교육은 직무수행에 직접적인 효과는 낮음 - 최근 경험·실천중심(70%), 구성원간 의사소통(20%), 전통적 교육(10%) 추세 ○ 수도, 도로사업 등 대시민 접점에 있는 현장업무 노하우 공유의 어려움 - 순환 전보, 특정분야 업무 기피 등 연속성 단절에 따른 공무원 전문성 결여 - 베이비부머 세대의 대량 퇴직으로 고급 인력의 현장업무 노하우 상실 우려 ??추진방향 ○ 업무수행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현장교육 강화 ○ 전임자가 공석이 되더라도 후임자가 바로 활용 가능한 매뉴얼 제작 ○ 현안업무와 직결된 부서별 자체 직장교육 설계로 학습과 직무성과 연계 ??추진계획 ○ 공무수행 기본인 보고서 작성, 보도자료 작성 등 시청사내 교육 실시 ○ 현장 업무 노하우 암묵지 암묵지란? 학습과 경험으로 체화되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식 또는 노하우를 말함 중 일부 형식지화를 통한 매뉴얼 제작 - 수도사업소 등 현장업무 중 기계작동 방법, 사고다발 지역 및 사고발생 개연성이 높은 상황의 초동대처 방법에 대한 노하우 매뉴얼 제작 ○ 부서별 다양한 교육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직장교육 지원 확대 - 현행 부서당 연간 350만원 지원 자체 직장교육 우수기관 운영예산 추가 지원 - 빅데이터 자격증 등 직무특성에 맞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개인별 교육비 지원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 3 인사와 교육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① 국내·외 장기교육자 유관부서 의무복무 시스템 구축 국내·외 장기교육자가 훈련기간 취득한 지식, 경험, 연구결과 등을 시정에 적극활용할 수 있도록 유관부서 배치 및 의무복무를 강화함으로써 핵심인재 육성 ??현황 및 실태 ○ 국내·외 장기교육생은 소수인원에 한정되어 있으나, 많은 예산이 투입됨 - ‘16년 국내·외 장기교육 운영 현황(연평균 약 240명, 1인 평균 월 318만원 소요) 구 분 인원(명) 교육기관 교육기간 국내 국내 장기위탁교육 과정(2~6급) 40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등 6개기관 10개월 실무전문가 양성과정(6급) 168 인재개발원(상/하반기) 6개월/반기 국외 학위과정(4급이하) 10 해당분야 상위 70위권이내 대학원 2년 특별정책과정(5급이하) 9 영국 버밍엄대 등 3개 대학 1년 직무훈련(7급이상) 15 해외정부, 국제기구, NGO 등 1~2년 ○ 6급 실무전문가 양성과정 및 장기국외훈련은 선발시 훈련분야를 지정하고 복귀 후 유관부서에 배치하고 있으나 체계적 관리 미흡 ※ 최근 장기국외훈련자 복귀연도별 유관보직 부여 현황(’14년~’17.11월말 훈련종료자 기준) (단위 : 명, 유관보직자/훈련종료자) 계 2014년 2015년 2016 2017 115/132 (87%) 31/37 (84%) 28/32 (88%) 32/37 (86%) 24/26 (92%) ??추진방향 ○ 훈련과정별·직급별 유관보직 적용범위를 차등적으로 구분 운영 - 4급 이상은 조직관리자로서 유관보직 적용기준 포괄적으로 운영 - 5급 이하는 실제 훈련분야와 관련된 직무분야 배치 강화 ○ 훈련자의 파견-복귀-유관보직-의무복무 종료까지의 전 과정을 시스템화 ??추진계획 ○ 훈련과정별·직급별 유관보직 운영 기준(제도) 정비 - 국외훈련 : 서울시 국외훈련 운영지침(훈령), 연도별 국외훈련방침 등 - 국내교육 : 국내장기위탁교육 운영방침, 6급 실무전문가양성과정 운영방침 등 ○ 유관보직 전산관리(인사전산시스템) - 교육훈련 분야를 코드화하여 인사전산에 등록하여 체계적 관리 - 교육훈련 분야와 유관보직기준을 연계, 훈련자 유관보직 시스템 관리 훈련 파견시 → 훈련 복귀시 → 유관보직 관리 → 의무복무 종료 훈련분야 전산입력 훈련분야 배치 및 의무복무 전산관리 유관보직 여부 전산통계 관리 의무복무 관리대상 제외 ※ 장기국외훈련자 유관보직 기준 (예시) ○ 3급이상 : 대분류 기준 보직(직군 구분없이 직급운영 적용) ○ 4급 : 중분류 기준 보직(행정?기술 2개 직군으로 직급운영 적용) ○ 5급이하 : 소분류 기준 보직(5개 → 7개 분야로 세분화하되 탄력적 운영)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소관 실?본부?국(유관 분야) 1~3급 4급 5급 이하 기관 단위 행정 / 기술 경 제 경제진흥본부/일자리노동국 (문화본부/관광체육국/지역발전본부) 문 화 문화본부/관광체육국/서울역사박물관/서울시립미술관 (경제진흥본부) 교 통 도시교통본부/교통방송 (기후환경본부/도시기반시설본부/도시계획국) 도시계획 안 전 지역발전본부/도시공간개선단/도시재생본부/도시계획국/주택건축국 (도시교통본부) 비상기획관/기술심사담당관/안전총괄본부/물순환안전국/도시기반시설본부 (상수도사업본부) 복지여성 여성가족정책실/복지본부/시민건강국/어린이병원/서북병원/은평병원 공원환경 푸른도시국/한강사업본부/서울대공원 (도시계획국) 기후환경본부/보건환경연구원/상수도사업본부 (물순환안전국/푸른도시국) 도시행정 서울특별시/대변인/서울혁신기획관/시민소통기획관/기획조정실 감사위원회/행정국/재무국/시의회/민생사법경찰단/신속행정담당관 평생교육정책관/서울시립대학교/인재개발원/정보기획관 예외적용 : 복귀시점에 소관 실?본부?국에 결원이 없을 경우에는 타 실국에 배치하더라도 실제업무 기준 개별 판단하여 유관보직 인정 가능 ??시행시기 - ’18년부터 ② 5급이상 역량평가 결과 승진반영 확대 간부 공무원으로서 자질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팀장급 이상 승진의 신뢰성?공정성을 제고하고 역량 개발을 통한 시정수행능력 향상 ??현황 및 실태 ○ 우리시는 3?5급 승진시 역량평가를 시행하고 승진인사에 반영하고 있음 3급 ← 4급 (’08년 도입) 5급 ← 6급(’08년 도입) 평가기관 인사혁신처 역량평가센터 인재개발원 평가대상 4급 관리자로서 3년 이상 재직자(연 18명 내외) 승진후보자 전원(연 400~600명 내외) 승진반영 역량평가 통과(5점 만점, 2.5 이상)자 승진 원칙 역량30%+서열70% 반영, 역량우수자 50%승진 평가내용 ① 성과지향 ② 변화관리 ③ 문제인식 ④ 전략적 사고 ⑤ 고객만족 ⑥ 조정?통합 ① 성과지향 ② 변화관리 ③ 정책기획 ④ 협의?조정 ⑤ 의사소통 ○ 市 주요정책을 추진하는 핵심 관리자인 4급 승진도 역량평가 추가 도입 필요 - 역량평가 도입 설문결과(1,361명) : 찬성 71.9%(979명), 반대 28.1%(382명) ??추진방향 ○ 3~5급 직위별 서울시의 행정 환경에 적합한 역량모델 수립 ○ 역량평가 결과는 상위 직급으로의 승진 인사에 엄격하게 적용 ??추진계획 ○ 우리 市 특성에 맞는 4급 과장 직위에 적합한 역량모델 수립 : ‘18 - 4급 간부로서 필요한 역량 정의 및 측정가능한 역량별 행정지표 도출(인력개발과) ○ 역량을 타당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과제 개발 : ‘18 - 실제 업무와 유사한 상황을 반영하되, 부서별 유불리가 없도록 개발하여 공정성?형평성 제고 ○ 역량평가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교육 프로그램 운영 : ‘18 - ’19년 4급 역량평가 시행 대비, e-러닝 콘텐츠 및 집합교육과정 기획?운영(인재채용과) ○ 공정한 4급 역량평가 시행 후 승진심사 반영 : ‘19~ - 후보자(년 200명 내외)를 대상으로 년 4회 실시 후 PASS한 자에 한해 승진심사 원칙 ??시행시기 - ’18년부터 ③ 교육협업 네트워크 구축 각 기관·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교육기능 보완 및 정책 실효성 강화 ??현황 및 실태 ○긍정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 수행의 지속적인 강화 필요 - 각 부서별 개별 정책의 연계, 재설계로 시너지 효과 도출 필요 ○교육과 연구의 정책연계 강화 실효성 제고 필요 - 서울연구원 자체연구의 대부분은 요청부서 요구에 한정해 연구, 활용 - 우수한 연구결과는 교육을 통해 시정정책에 활용, 연계 발전 필요 - 연구 성과와 교육기능 보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업 필요 ○교육 개설 요청 후 주관부서 협조 실태 - 개설 요청 시는 교육 필요성을 강조, 실제 교육생모집 및 강사추천은 비협조 - 교육생모집 협조 60%, 강사추천 67.6%(‘17 주관부서 협조 실태 조사) ??추진방향 ○ 긍정문화 조성 협업 필요 프로그램 지정 및 협업체계 구축 ○연구와 교육이 연계 발전되는 전략적 연구·교육시스템 마련 ○ 인재개발원 교육개설 요청 부서는 과정개발?운영지원 의무 협업 ??추진계획 ○ 기관?부서간 협업 필요 프로그램 지정 및 협업체계 구축 - 협업 지정 : 조직배려 필요 대상 프로그램 등 긍정 조직 문화 조성 및 발전을 위한 기관·부서 간 정책과 교육 연계 ?신임자(경력직·임기제 포함), 장애인 대상 지원 정책 및 교육 등 - 교육대상별, 과정특성?목적별 차별화 된 협업 체계 마련 ?조직이해 및 조직적응 : 인사과-인력개발과-인재개발원-자치구/소속부서 협업 ?핵심인재육성 : 인사과-인력개발과-인재개발원-서울연구원-서울시립대 협업 ○ 긍정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인사연계 조직문화 활성화 운동 개시 - 팀리더 주도 감사나눔 운동, 봉사활동, 칭찬활동 등 ?잘한 팀?직원 포상 등으로 인사연계 ○연구와 교육이 연계 발전되는 전략적 연구·교육시스템 마련 - 서울시 인재개발원-서울연구원-서울시립대 연계, 정보교환 추진 체계 마련 ?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 및 공동사업 추진, 전문 인력의 경험과 노하우 공유 및 강의 지원 협조, 교육과정, 교재의 공동연구 및 개발 - 연구결과를 시정정책에 활용, 연계·발전 위한 과정개발·연구·강의 협업 ?융·복합 인재양성을 핵심과제로 협력, 미래역량 강화 교육체계 마련 ?연구 분야별 협업 교육과정 지정으로 분야별 특성화 및 전문화 유도 ?도시사회연구 : 복지과정(사회복지,노인복지 등), 마을공동체 등 ?안전환경연구 : 재난안전실무, 범죄예방디자인, 원전하나줄이기 등 ?도시공간연구 : 도시재생실무, 역사도시서울 등 그 외 글로벌·미래연구, 교통시스템연구, 시민경제연구, 도시경영연구 등 활용 可 ?장기 교육생에게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 전문분야 실제 연구환경 경험 기회 제공 ? 연구자와 교육생 간 상호협력 기반 마련으로 교육과 연구의 질적 향상 도모 ○ 주관부서와의 과정개발?운영지원 의무 협업 -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현업사례 및 교육생정보 인재개발원 제공 의무화 ?과정개발 : 교육생정보(수요, 대상 및 수준), 교육내용, 현업사례 제공 등 ?운영지원 : 교육생모집, 강사추천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2. 소통·융합의 인재양성 ① 인간존중의 교육 강화 ○ 장애공무원 교육환경 구축 ○ 공무원 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 내실화 ○ 퇴직(예정) 공무원 체계적 교육 및 노하우 활용 ② 개인 주도형 학습지원 ○ 개인 맞춤형 역량진단 지원 ○ 신규자, 전직자, 휴직복귀자 등 적응교육 강화 ③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 직급·세대를 통합하는 소통·감성 프로그램 운영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외 위탁교육 개선 1 인간존중의 교육강화 ① 장애공무원 교육환경 구축 장애공무원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및 채용 지원을 강화하여 장애 친화형 교육환경 조성 및 공정한 채용기회 제공 ??현황 및 실태(2016 기준) ○장애공무원 교육인원(연5,767명)은 전체 교육인원(156천명)의 약 2.4% - 집합교육 883명, e-러닝 4,884명 중 ?중증장애인은 1,185명(21%) - 집합 158명, e-러닝 1,027명 - 장애유형별로 지체장애가 62.7%로 가장 많고, 시각장애, 청각장애 순 ※ 서울시 장애인공무원 현황(자치구 포함) (‘16.12월기준) 구 분 계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 기타 계 1,785명 1,060명 (59.4%) 287명 (16.1%) 90명 (5.0%) 78명 (4.4%) 270명 (15.1%) ○ 무장애 학습지원 인프라 개선은 지속 추진, 실제 체감 만족도는 여전히 미흡 - 교육운영 및 시설편의 개선 요청(’17년 신임자 장애교육생 대상 설문조사 및 간담회 결과) ??추진방향 ○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 중 애로사항 해소 방안 마련 ○ 교육 및 채용시 장애인 불편을 최소화하여 장애인 배려 환경 지원 ○ 장애가 아닌 능력 표출을 위한 적극적 교육분위기 조성 ??추진계획 ○ 집합교육 장애인 교육지원 - 장애인 전문기관의 협조를 받아 장애유형별 지원 매뉴얼 제작 - 중증 장애 교육생 현장학습 이동지원 및 대체 프로그램 확대 - 정보통신교육장 학습보조기기 추가 확충 및 수화통역사, 속기사 지원 ○ e-러닝 장애인 교육지원 - 장애교육생의 e-러닝 수료율 제고를 위해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에 따른 차등화 된 평가시간 적용(1.5~1.7배) - 수정보완을 통해 e-러닝 콘텐츠(자체개발) ’19년까지 100% 장애지원 완료 ○ 장애인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 - 장애인 화장실 편의시설 확충, 휴식공간 마련 등 편의시설 확충 - 경사로 개선, 승강기 및 경사엘리베이터 설치 등 이동편의 제공 ○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강화 - 동영상 교육, 장애체험 활동, 장애인 인권 관련 e-러닝 콘텐츠 도입 등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확대 - 인재개발원 직원 대상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정례화 - 장애인과 함께 근무하는 부서 직원 대상 장애친화교육 실시로 장애인식제고 및 갈등예방 ○ 채용시 장애인에 대한 배려 - 면접 시 장애유형별 사전 체크리스트 마련 및 면접시설 개선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② 공무원 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 내실화 공무원 신분이 아닌 서울시 조직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지침을 마련하여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하고 서울시 조직원으로서 자부심 및 소속감 고취 ??현황 및 실태 ○ 공무직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므로 지방공무원교육훈련법 제2조(적용범위)의 교육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나, 교육훈련 요구 증가 추세 - 서울시 공무직 총2,116명(공공안전관 501, 환경정비원등 1,615명 ※‘17.5월) 계 (단위:명) 공 공 안전관 환 경 정비원 일 반 종사원 시 설 정비원 도 로 보수원 시 설 청소원 시 설 경비원 대 민 종사원 2,116 501 443 109 356 75 402 160 70 - 공공안전관 신규자 교육(2주, 경찰청), 실무관(공무직) 공직입문과정(연2회, 인재원), 직장외국어교육 등에 참여중, 장기국외훈련 및 국내학위과정은 참여제한 장기국외훈련 및 국내학위과정은 공무직 직무수행과 관련성이 적고, 의무복무에 적용하기 어려워 이를 제외한 교육훈련은 공무직도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중임(인재개발원교육, 직장외국어교육, 국내단기위탁교육 둥) ○ 서울시 훈령으로 공무직 교육훈련 근거 마련하였으나 교육훈련 지침은 미비 - 근거 : 서울특별시 청원경찰 복무규정, 서울특별시 공무직 관리규정 - 내용 : (인력개발과)교육훈련 총괄, (사용부서)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추진방향 ○ 공무원 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수요를 반영한 교육지침(가이드라인) 마련 ○ 교육지침 마련 후 교육예산 순차적 반영 및 교육 확대 ??추진계획 ○ 공무직 교육훈련 수요조사 실시 및 교육지침 마련 : ‘18년 - 수요조사(인사과협조) 및 요구분석, 법적 가능한 범위내 교육지침 마련 ○ 공무직 교육훈련 예산 반영 및 시행 : ‘19년 ~ - 서울시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가치교육 실시로 시정핵심가치 공유 - 공무직 고유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직무교육 및 법정교육 실시 ??시행시기 - ’18년부터 ③ 퇴직(예정) 공무원 체계적 교육 및 노하우 활용 효과적인 퇴직준비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제2인생 설계를 지원하고, 퇴직공무원 우수인력 자원풀의 체계적 관리를 통해 공직 경험과 경륜을 사회에 환원하도록 지원 ??현황 및 실태 ○ 베이비부머(58년생~62년생)의 대거 퇴직 예정이나 퇴직준비 프로그램 미흡 - ’18∼’22년까지 현원(자치구 포함 42,443명, ‘17. 6월)의 18%인 7,534명 정년퇴직 예상 -「인생이모작 준비」과정 : 시,구 퇴직 잔여 5년 이내자 대상 (5일, 4회, 240명), 기수별 재취업/창업, 귀농귀촌/사회공헌으로 특화 운영 ○ 현행 공로연수는 본인의 의지보다는 인사의 선순환 등을 위한 형식적인 제도운영 - 공로연수기간(6개월~1년)중 합동연수(2주)를 제외하면 개인별로 자율학습 ※ 행복한 미래설계과정(2주) : 은퇴이후 준비하기, 현장체험, 국내문화탐방 ○ 전문성과 노하우를 가진 퇴직자의 시정활용 인프라 취약 - 단순 현장·시정모니터링 위주로 활용 ??추진방향 ○ 개인별 적성, 관심 등을 고려한 1:1 맞춤형 미래계획 설계 지원 - 퇴직자 관심 주제를 중심으로 재취업, 창업, 사회공헌 등 특화과정 확대 및 구체적 미래계획 수립을 위한 전문 컨설팅 지원 등 ○ 퇴직예정 5년, 3년이내, 공로연수자 등 단계별로 중장기적 교육 지원 - 개인수요에 따라 노후생활 설계지원과 본인의 경험과 경륜을 활용하여 사회 봉사활동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공헌교육프로그램 지원 ○ 주요 정책분야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 정책 이해도를 갖춘 퇴직공무원을 정책자문 등에 활용하여 시정수행 역량 제고 - 퇴직공무원으로서의 자긍심과 소속감 부여를 위해 명예연구위원 구성·운영 ??추진계획 퇴직예정자 ○ 연차별 추진계획 수립, 교육생 요구 및 직렬별 유망분야 등 조사 : ’18년 - 전문컨설턴트 1:1 경력상담을 통한 커리어코칭 확대 - 5년전, 3년전 등 단계별 코칭, 적성과 보유역량 등을 고려한 중장기적 경력 설계 지원 <준비 : 5년 전> ? <도약 : 3년 전> ? <실천 : 1년 전> 제2 인생설계 방향설정 및 탐색 (1:1 상담) 희망분야 전문교육 (전문기관 연계) 실천준비 구체화 리스크 점검 ○ 공로연수 관련 전문교육기관과 협업을 통한 사회공헌교육 실시 : ’18년 - 50플러스재단, 공무원연금공단(은퇴설계 교육), 귀농귀촌 종합센터 등 퇴직자 ○「서울시 명예연구위원(가칭)」위촉하여 인적자원 체계적 관리 - 대 상 : 퇴직공무원 중 분야별 전문가(매년 20명 내외) - 방 법 : 서울연구원 소속 명예연구위원으로 위촉(무보수 명예직) - 활 용 : 각종 위원회 위원, 자문위원, 전문강사 등으로 활용 - 선발절차 : 서울연구원 주관 시행 명예연구위원 신청서 접수 ? 연구위원 신청대상 통보 ? 연구위원선발 (서울연구원) ? 명예연구위원 위촉(2년) ○ 서울시 명예연구위원 정기교육 : 연 2회 ??시행시기 - ’18년 이후 2 개인 주도형 학습지원 ① 개인 맞춤형 역량진단 지원 직급·직렬에 기반한 역량수준을 진단하고 육성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안내서 배포 및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개인별 자기개발학습 환경 구축 ??현황 및 실태 ○ 공통역량과 부서 직무 중심의 진단문항으로 직급·직렬에 적합한 진단에 한계 - 만족도 조사결과 역량진단영역(24%), 자기개발계획작성(19%) 개선 의견 ○ 역량진단과 교육과정 추천 연계성 부족으로 진단결과 왜곡현상 발생 ??추진방향 ○ 직렬·직급 단위 역량진단 도구 개발로 역량육성 경로 제시 ○ 본인, 상사, 동료(부하)의 360도 진단을 통한 실효성 제고 ○ 부족한 역량개발을 위한 가이드 및 학습콘텐츠 제공으로 자기개발지원 ??추진계획 ○ 직급·직렬에 적합한 역량육성경로 제시할 수 있는 간단·명료한 진단도구 개발 - (현행) 부서단위 역량진단 → (개선) 직렬·직급 단위 역량진단 ○ 360도 진단으로 객관화된 개인별 강·약점 인식과 강화·보완 계획수립 지원 - (현행) 본인+상사 진단 → (개선) 본인+상사+동료(부하) 진단 ○ 역량개발을 위한 직급별 역량 하위요소 수준의 학습콘텐츠 목록 제공 - (현행) 교육과정 → (개선) 교육과정, 도서, 아티클, 영상 제공 ○ 직급별 역량개발 가이드를 통해 강점기반 자기개발 계획서 작성 지원 - 역량개발 실천계획서를 통해 역량개발 과정 점검 및 관리 지원 - 역량개발에 도움이 되는 활동, 자료 등 다양한 학습정보 지원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 부터 ② 신규자, 전직자, 휴직복귀자 등 적응교육 강화 고졸경력경쟁채용자, 장애인, 전직자 등 다양한 공무원 채용이 늘어남에 따라 그에 특화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보다 빠른 공직 적응 유도 ??현황 및 실태 ○ 사회적 약자의 공직 진출 확대, 전직자, 장기휴직 후 복직자 등으로 다양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적극적인 조직적응 교육 미흡 (단위 명, 서울시 최초임용기준, ‘17.9월 기준) 구분 계 ’13년 ’14년 ’15년 ’16년 ’17.9월 고졸공무원 96 2 17 35 42 - 장애공무원 62 5 22 31 4 - 전직자 630 - - 340 172 118 ○ 신규자의 행정경험 부족으로 인한 업무 미숙, 직무 가능 범위 협소, 부서에서의 배치 기피 등으로 조직 적응에 어려움 호소 ??추진방향 ○ (대상별) 고졸경력경쟁채용자, 신규자, 장애인, 경력직, 전직자, 장기휴직 복직자 등 대상별로 필요한 교육 실시 ○ (내용별) 실무사례 중심, 현장체험 교육,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교육, 공직핵심가치 및 시정비전 등 마인드 제고 교육실시 ??추진계획 ○ 고졸경력경쟁채용자, 신규자 등의 공직적응을 위한 교육의 내실화 - 공직사회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신규교육 확대 ?동기간 소통의 시간 충분히 부여, 조직적응을 위한 사전교육 강화 - ‘잘 가르쳐 주지 않는, 그러나 알아야 할’ 실질적 교육 실시 ?사무실에서의 호칭, 에티켓, 업무처리절차, 민원응대 절차, 승진 및 인사실무 등 - 시정방향·조직·제도 및 공직자로서의 직업윤리 등 공직가치관 교육 - 신속한 업무적응을 위한 공문서작성, 예산?회계실무 등 기본 직무능력 교육 ○ 직렬별 차별화된 커리큘럼 구성으로 신속한 업무적응 능력 배양 - 사회복지직 : 기초생활보장사업, 분야별 복지사업, 민원상담기법 등 - 토목·건축직 : 공사관리실무과정 연계 교육으로 전문성 제고 - 공통교육 : 행정시스템 활용, 보고서 작성, 예산?회계 등 기본실무 ○ 전직자 대상 실무사례 중심 교육 강화 - 직종개편, 직무변화 등의 역할변화에 따른 대응능력 및 공직목표 재설정 - 직렬별 실무적응 필수 직무과정을 선별·구성하여 집중교육 실시 - 보도자료 작성법, 공문서 작성법, 시의회 요구자료 작성법 등 실무사례중심의 실습?토론 방식의 현장 교육 운영 ○ 장기휴직 후 복귀자에 대한 변화적응 교육 실시 - 핵심가치, 조직문화 등에 대한 재교육으로 공직 마인드 제고 - 업무시스템 사용방법 등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재교육으로 자신감 부여 ○ 조직 조기적응 지원을 위한 멘토링 제도 활성화 - 신규자(임기제포함), 장애공무원, 전직자, 휴직복귀자 멘토링 참여 의무화 - 멘토링 데이 운영, 1박2일 워크숍 등 멘토-멘티 소통 강화의 장 마련 - 코칭프로그램 운영으로 멘토링 역량강화를 통한 효과성 제고 - 멘토링 활동지원금 확대(반기 7만원→10만원) - 우수 멘토-멘티에 인센티브 부여(국외연수·장기교육 신청시 가점부여 등) ??시행시기 - ’18년 하반기 3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① 직급·세대를 통합하는 소통?감성 프로그램 운영 소통하고 상생하는 조직문화 확산 및 감성 역량 공유를 위해 전 직급?세대를 아우르는 유연한 프로그램 운영, 폭 넓은 지혜와 통찰 공유 ??현황 및 실태 ○전 직급?세대가 함께 원하고 참여할 수 있는 소통 프로그램 부족 - 전 직원을 아우르는 서울시 직원만의 공동가치 및 상호 신뢰성 회복 필요 ○사람-업무 중심의 교육에서 사람-사람의 관계로의 가치 전환 필요 - 새로운 조직 문화 변화에 맞는 상생과 배려의 가치를 감성적으로 접근 ??추진방향 ○전 직원 대상 직급과 세대를 아우르는 재미+의미+공감의 장 마련 ○창의, 혁신, 문화 등 지혜와 통찰을 통해 조직과 개인에 긍정에너지 확산 ??추진계획 ○전 세대의 공동가치와 긍정에너지의 발견 ‘다독다독 서울’ 운영 - 전 직원이 공감하고 자존감을 찾을 수 있는 실용적인 행사로 대표 브랜드화 ○세대 간 통합 및 신세대 문화 이해를 위한 역(逆)멘토링 도입 - 신세대의 생각과 문화의 공유를 통해 세대간 융합 및 통합 사고역량 배양 ○수평?수직 소통과 통섭을 위한 실험형 프로그램 운영 - 민간 사례 분석을 통해 세대간 공동가치를 발견하는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 (예) 포스코 ‘톡톡캠프’ : 신세대 직원과 간부직원의 공동연수를 통해 세대간 소통 모색 ○직원스트레스 해소 및 심리안정 지원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 다양화 - 힐링센터 ‘쉼표’ 상담확대, 런치특강으로 웃음치유, 1박2일 힐링캠프 운영 ○실·국·본부 단위 소통교육 프로그램 개설·운영 - 전 직급이 참여하는 실·국·본부 단위별 소통과 통합의 장 마련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②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외 위탁교육 개선 국내·외 위탁교육에 미래대응 관련 학문적 연계를 강화하여 전문역량과 글로벌마인드를 갖춘‘T자형 인재’(통섭형 인재) 한가지 분야가 아니라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지식과 기술력, 통찰력을 모두 가진 인재 (조철선. 2007. T자형 인재 ) 육성 ??현황 및 실태 ○(국내·외) 신기술 및 융복합 학문에 대한 과제연구 부족 - 일부 전통적인 분야위주(행정, 사회복지, 도시공학 등) 전공 편중 ○(국내) 석사학위과정 지원율 지속적 하락 추세 - ’15년 경쟁률 1.9:1 → ’16년 경쟁률 1.3:1 → ‘17년 경쟁률 0.8:1(미달) - 지원율 하락 원인 : 학위취득의 난이도 증가, 업무과중 등(교육 접근성 강화 필요) < 학위과정 운영현황 > ○ 교육과정 : 국내 대학 학사과정, 국내 대학원 석사과정·단기정책과정 ○ 선발규모 : 연 200여명(대학, 대학원, 계약학과) ○ 지원내용 : 석사(5학기 내, 학기당 350만원), 학사(8학기 내, 학기당 250만원) ○ 의무사항 : 이수학점(학기당 15학점) 및 평점(B이상) 훈련기간 1/2복무의무 ○(국외)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 학위훈련 인원 감소, 직무훈련 인원 확대 추세 -학위 : ‘12년 20명 → ’13년 13명 → ‘14년 12명 → ’16년 10명 (50% 감소) -직무 : ‘12년 14명 → ’13년 18명 → ‘14년 22명 → ’16년 25명 (56% 증가) ??추진방향 ○미래 행정수요 증가분야 훈련과제 및 훈련기관 발굴 확대 - ICT, 인공지능 등 4차산업 분야, 보건, 복지 등 행정수요 증가 공공서비스 분야 ○융·복합 학위과정 학비지원 한도액 확대로 핵심인재 유인 ??추진계획 국내학위과정(학사·석사)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한 4차산업 관련 훈련과제 개발 및 전공 연계 - 기존의 부서별 훈련과제 수요조사와 병행하여 시립대, 서울연구원 과제개발 요청 - 신기술, 4차 산업 관련 훈련과제와 전공학과를 명시하여 실질적 전문성 강화 ○계약학과 신설 및 접근성 강화 - 빅데이터, 스마트융합학과, 미래도시융합공학 등 4차산업관련 계약학과 신설 - 석사과정 참여자의 업무시간외 수업참여 시간 보장 ○융·복합 학위과정 학비지원 한도액 확대 - 융·복합전공 학위과정 진학 시 학비지원 한도액 확대(300만원→500만원/학기) 국외훈련(직무·학위) ○ 미래 4차 산업분야 관련 프로그램 확대 및 지원 강화 - ICT·빅데이터·인공지능·바이오·신기술 등 4차산업 분야 지원자 우선 선발 - 학자금 지원한도액 상향 조정($18,000→$23,000/1년 검토) ○ 국가별·분야별 특화된 특별정책과정 구성·운영 - (기 존) 버밍엄대(英), 포틀랜드대(美), 리콴유스쿨(싱)은 모두 공공행정과정 - (변경안) 버밍엄대(사회정책, 복지·보건), 샌프란시스코대(IT,신기술), 포틀랜드대(공공행정) ○ 영미위주에서 비영어권으로 파견 강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 (기 존) 영어권 87%, 비영어 13% - (변경안) 영어권 80%미만, 비영어권 20%이상 비율 유지 되도록 비영어권 지원자 우선선발, 사전예고제, 사전어학비 지원 등 인센티브 부여 ○ 단기연수 프로그램 운영 다변화를 통한 다각적 문제인식 역량 제고 - 자매우호도시 공무원(전문가)과 합동연수 추진으로 비교학습 효과 제고 (예 : 밴쿠버시-UBC대-서울시 협업 추진)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3. 미래지향 플랫폼 구축 ①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확충 ○ 지능형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 미래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 공정·투명한 시험관리를 위한 채용·평가센터 설립 ② 상시학습의 확대 ○ 유연한 교육문화 확산의 상시학습제도 운영개선 ○ 참여형 학습지원을 통한 스마트러닝 활성화 ③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대응 역량 강화 ○ 미래대응의 장기교육과정 확대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 확대운영 1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확충 ① 지능형 학습관리 시스템 구축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학습정보 제공 및 재미요소를 가미하여 학습 촉진을 지원하는 스마트 학습관리 시스템 구축 ??현황 및 실태 ○’07년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개편에 따라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운영 - 역량진단, 자기개발계획 수립, 교육현황관리, 상시학습시간 인정 등 ※ ’12년 서울시·자치구 학습관리시스템 통합 추진(광역화사업) <현 학습관리시스템 업무 체계도> ○(학습자) 역량진단 후 교육과정 연계서비스 미흡, 단편적 교육서비스 제공 ※ 서울특별시 인재개발원 교육과정(집합/사이버)만 제공 ○ (교육담당) 교육관리를 위한 수작업 업무가 많아 업무 효율성 저하 ※ 기관교육 신청/이수, 직장교육 관리 등 연간 3만건 수기처리 ○ (관리자) 교육 결과, 성과물 공유 및 교육지원 한계 <민간기업 사례 : IBM> ?세계 최대의 컴퓨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제조판매회사 IBM은 인공지능(Watson)을 활용하여 직원 학습 플랫폼 시스템 구축·운영 - Expert Manager, Your Learning, Open Badge 등 (붙임 참고) ??추진방향(개념도) ??추진계획 ○역량진단 결과 및 학습정보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학습자료 제공 - 학습 충족현황, 역량진단 결과에 기반한 학습정보 추천, HRD 정책 수립 지원 - 감성리더십을 위한 코칭역량 배양에 필요한 성격진단도구 기능 추가 - 개인의 학습패턴과 성향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및 맞춤 지식(콘텐츠) 서비스 ○교육업무 및 학습자 관리 업무 지원을 위한 시스템기능 확대 - 위탁교육운영, 학습시간인정, 회계처리 등 교육업무 전 과정 전산화 - 교육훈련기관 및 내부 업무시스템 연계를 통한 오픈시스템 구축 ○비정형학습을 위한 협업 플랫폼, 재미요소를 가미한 빅데이터 기반의 학습포털(모바일 겸용) 구축 - 공직사회의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공유할 수 있도록 소셜기반의 학습 체계 마련 - 멘토링, 학습동아리 등 학습 커뮤니티 활성화로 자발적 학습참여 유도 ○빅데이터 툴을 적용한 시기·내용·대상별 통계 및 성과분석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 참고 > IBM의 학습플랫폼‘마이카’(MYCA; My Career Advisor) ○ 인공지능(AI) 활용한 학습플랫폼 ① Expert Manager : 인공지능이 개인의 모든 정보(SNS, 이메일, 경력 등)를 분석하여 역량수준 파악, 맞춤형 학습로드맵 제시 ② Your Learning : 언제 어디서나 웹·모바일로 필요한 컨텐츠에 접속, 스스로 필요한 콘텐츠를 수강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 ③ Open Badge : 과정이수자, 자격증 취득자 등 에게 배지수여, 인트라넷에 공지하여 직원 자긍심 고취하고 승진과 연계 - MYCA (마이카; My Career Advisor) 구성 개요 - ② 미래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증가하는 교육규모와 공무원 채용규모 횟수 등 늘어나는 신규 업무 수행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육 시설을 확충하여 미래교육 수요에 맞는 환경조성 ??현황 및 실태 ○ 1979년 인재개발원 준공 이후 38년 경과하여 시설 노후화 심각 - 옥상 누수, 악취 발생, 균열 심화 등으로 보수 유지 한계 도달 ○ 교육 증가에 따른 편의시설 및 교육 시설의 부족 현상 발생 - 강의시설 등 노후화 및 부족에 따른 교육만족도 저하 ○ 매년 직장교육은 증가하고 있으나 청사내 강의실은 턱없이 부족 - ‘16년 총 5,277회 21,027명 실시, 사용가능한 소회의실은 5개에 불과 ※ 주요 직장교육 증가 추세 - 청사내 직장외국어 강좌 : ‘15년 6개언어 1,190명 → ‘16년 7개 언어 1,311명 - 청사내 계약학과 운영 : ‘15년 88명 → ‘16년 154명 - 부서별 직장교육 : ’15년 44부서 69개 과정 → ‘16년 49부서 90개 과정 ??추진방향 ○ 미래 교육·채용 수요에 맞춰 인재개발원 시설 확충 ※ 미래 인구감소 추세를 반영하여 가까운 외부시설 연계, 임대사용 방안도 추가검토(연간 교육장 가동률 표를 만들어 체크) ○ 청사내 회의실, 유휴공간을 모아 변형이 가능한 공간 조성으로 활용도 제고 ??추진계획 인재개발원 ○ 배움관 확대 신축하면서 교육생 편의시설 통합이전 배치 - 창의관 3층 강의실, 다솜관 식당, 도서실 등 이전 수용 - 현 지상3층 6,408㎡의 2배 규모 13,342㎡로 확대 신축(650억원 소요예상) ※ 정보통신교육장 (데이터센터 내) 이전 재배치 : 1,240㎡ 규모 ○ 다솜관은 현 시설을 리모델링하여 시설 활용도 향상 - 교육장이나 면접시험에 적합한 형태로 구조 변경 ○ 배움관 신축 및 다솜관 리모델링 공사기간 중 임시교육시설 대책 마련 - 배움관 신축 및 다솜관 리모델링 공사는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주차장 부지에 가설건축물 3,500~4,000㎡ 규모로 축조하여 공사기간 운영 ※ 소방학교(’18.8월경 소방행정타운 이전예정)으로 배움관 신축기간 임시교육장 활용 등 검토 시청사 ○ 시청사내 직장교육 전용시설 확충 및 유휴공간 활용 - 소그룹 형태의 10~20~100~200명 가변형(무빙월) 강의실 설치 ?음향시설, 메시지 전달 등을 위해 직장교육시설로 적합성 여부 검토 - 벽면 부착형 화이트 보드 설치, 1인용 책상 비치 등 교육기자재 확충 - 복도 등 유휴공간 벽면에 보드 설치하여 토론, 교육의 장으로 활용 (예시) 가변형 강의실 설치 화이트보드 화이트보드 화이트보드 화이트보드 화이트보드 무 빙 월 무 빙 월 무 빙 월 무 빙 월 (예시) 다양한 형태의 소형 회의실(강의실) 및 유휴공간 활용 사례 ? 10인이내 소형 회의실 (IBM) ? 다용도 회의실 (NHN) ? 복도 벽면에 설치된 보드(IBM) ? 복도 활용 사례 (NHN) ??시행시기 - ’18년부터 ③ 공정·투명한 시험관리를 위한 채용·평가센터 설립 공정한 시험·평가관리를 위해 서울시의 전 시험(공개채용,경력채용,4~5급 역량평가)을 총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전담 채용·평가센터를 설립 ??현황 및 실태 ○ 공개채용 및 경력채용 규모 증가 - 공개채용(’13년 2회 → ’16년 8회), 경력채용(’14년 16회 → ’16년 26회) ○ ’19년 4급으로의 승진대상자 역량평가 실시 및 승진반영 - 기 실시중인 5급으로의 승진대상자 외에 4급으로의 승진대상자 역량평가 실시, 향후 전직급 확대 ○ 안정적인 운영관리를 위한 별도의 상시 채용·평가 업무공간 확보 - 일반 교육장과 분리·차단된 전용 시험평가 공간 필요 ??추진방향 ○ 증가되는 채용·평가수요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조직 및 인력보강 ○ 채용·평가 전과정의 체계적인 진행 및 보안관리를 위한 시설 확보 - 인근 데이터센터 부지 등에 별도 시설 신축 ??추진계획 ○ 채용·평가센터 신설 - 5개과 40명 규모(전문경력관 등 전담인력 확충) 채용·평가센터(4급) 인력기획과 ·각종시험 및 평가관련 업무 기획 ·시험면접기법 등 연구 역량평가과 ·4∼5급 승진대상역량평가 채용관리과 ·시험계획수립 ·공고, 접수, 채점, 합격자결정 등 시험관리 경력채용과 ·임기제,전문 경력관 등 경력경쟁채용 시험출제과 ·문제출제 ·문제공개 및 이의제기 처리 ·문제은행관리 5명 8명 10명 8명 9명 ??시행시기 - ’18년부터 2 상시학습의 확대 ① 유연한 교육문화 확산의 상시학습제도 운영 개선 유연하고 확장가능한 상시학습제도 운영을 통해 교육훈련을 승진 수단으로만 인식하는 왜곡 현상을 방지하고 공유와 참여를 촉진하여 협력적 조직 문화 형성 ??현황 및 실태 ○’08년부터 5급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상시학습제도 운영 - 집합교육(14시간), 공직가치 필수과정(리더십 14시간 등)등 80시간 의무 이수 ※ 근거 : 지방공무원 교육훈련법 시행령 제7조(교육훈련 이수시간의 승진반영 등) ○교육훈련 인정범위 확대, 의무이수 시간 조정 등 개선 필요성 대두 - 교육이 ‘승진요건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 -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업무환경에 유연한 대응을 위한 제도 개선 필요 ??추진방향 ○적정 상시학습 시간에 대한 직원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개선 - 적정시간, 의무과정 및 집합교육 이수 비율 등 개선사항 도출 ○학습 바우처 및 마일리지 제도 운영으로 자발적 학습참여 유도 - 세부 운영지침 수립, 시범 운영 후 미비점 보완 후 본격 시행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의 학습시간인정 범위 확대 - 70(일터학습):20(코칭과 멘토링):10(전통적 형식학습)의 학습 추세를 고려하여 집단지성, 소셜 러닝 등 다양한 학습유형에 대해 상시학습 인정 - 다양한 형태의 학습조직 발굴·운영(문제해결형 및 시민협치형 학습조직 등) ??추진계획 ○공무원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의무교육 지정, 집합·사이버교육의 의무비율 및 교육훈련 대상자별 의무학습시간 적용기준 차별화 - 의무시간 적정성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한 직급/직무별 시간조정(행안부 건의) - 현장 근무자의 학습시간 조정 등 업무환경을 고려한 적용기준 개선 ○능동적 교육참여를 위해 학습 바우처(가상화폐) 및 마일리지 제도도입 - 학습바우처 제도를 통하여 교육이 의무가 아닌 권리라는 인식의 전환 유도 학습바우처 지급 (가상화폐) ? 학습콘텐츠 수강 ? 과정이수자 뱃지 획득 ? 리더보드 등극 (성과마일리지지급) - 마일리지 제도 운영을 통한 자발적 학습참여 유도 및 성과제고 기반 마련 학습성과물 게시 커뮤니티 참여 등 ? 마일리지 지급 ? 누적마일리지 ? 상시학습시간전환 표창,지식왕 등 보상체계 ○기존의 집합·사이버 교육 뿐 아니라 커뮤니티 활동, 소셜러닝 등 학습시간 인정 유형의 다양화(무형식 학습의 학습시간 인정 확대) - 공직사회 경험/노하우 등 집단지성 활용 현안문제 해결,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지식습득 및 공감대 형성 ??시행시기 ○상시학습 의무시간에 대한 의견조사 및 제도 개선 요구(→행안부) : ’18년 ○무형식 학습의 학습시간 인정을 위한 기준(안) 마련 및 적용 : ’19년 ○학습 바우처 및 마일리지 제도(안) 마련 및 시범 적용 : ’20년 ○학습 바우처 및 마일리지 제도 운영 : ’21년 ② 참여형 학습지원을 통한 스마트러닝 활성화 급변하는 행정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러닝 스마트러닝(Smart Learning) : 스마트폰, 테블릿 PC, e-book 단말기 등 스마트기기와 이러닝 신기술이 융합된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방법 기반 마련으로 맞춤형, 참여형 학습 지원 ??현황 및 실태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콘텐츠 확대 및 교육방법 다양화 필요 -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e-러닝 콘텐츠 적시 제공 - 직무역량, 문제해결·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방법 도입 필요 ○맞춤형·참여형 학습지원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고도화 필요 - 교육통합시스템(LMS) 고도화 1,2단계 사업 추진으로 PC/모바일 통합기반 마련 - 1,2단계에 이어 지속적·연속성 있는 사업추진으로 스마트캠퍼스 스마트캠퍼스(Smart Campus) : 기존 PC 버전의 홈페이지를 모바일에 최적화시킨 모바일 버전의 교육전용 홈페이지로, 강의 수강과 각종 공지사항 및 커뮤니티 메뉴까지 이용 가능토록 설계 구축 완료 ??추진방향 ○학습자 맞춤형 e-러닝 콘텐츠 적시 제공을 통한 상시학습 지원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균형감있는 교육과정 설계 운영 ○참여형 학습기반 조성으로 공공기관 최고 수준의 스마트 캠퍼스 구축 ??추진계획 ○ 학습효과 제고 및 몰입도 향상을 위한 콘텐츠 확충 및 다양화 - 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콘텐츠 지속개발 및 품질관리 - 마이크로러닝 기반의 짧은 콘텐츠, AR/VR을 활용한 생동감있는 콘텐츠 제작 - 특강 등 우수강의의 실시간 생중계가 가능한 인터넷 방송 운영 ○ 효과적 교육방법을 통해 문제해결력 향상 및 협력학습 제공 - 플립러닝 기반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 온라인을 통한 선행학습 후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교수와 토론식 강의를 진행하는 「역진형 수업방식」을 의미함 e-러닝 콘텐츠 운영 확대를 통한 교육 효과성 제고(연 10개 내외) - 학습자 스스로 해결하는 문제해결 기반 플립러닝 시범운영 및 확대 추진 (’18년 시범 운영, ’19년부터 정규과정 운영) - 문제해결 기반 교육 운영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연 10개 내외 연차별 확대) ○ 공공기관 최고 수준의 스마트 캠퍼스 구축 - 참여형 스마트러닝 운영을 위한 교육 전/중/후 단계별 서비스 지원 - 교육생과 강사 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등 상호작용 기능 강화 - 지능형 학습통합관리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개인 수준별 학습 제공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3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대응 역량 강화 ① 미래대응의 장기교육과정 확대운영 서울시 조직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차세대 공무원의 장기교육과정을 신설 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전문지식을 갖춘 융합·통섭형 미래 인재로 양성 ??현황 및 실태 ○미래과정이 단편적 특강위주 신기술 소개 및 소양 교육수준에 그침 - 인재개발원「인문·미래학 특강」(1일, 4회, 800명),「일상속 혁신」(1일, 3회, 90명)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인재양성을 위한 차별화된 장기교육과정 부재 - 민간 및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으로 다변화, 다양한 계층과의 교류확대 필요 [장기교육 운영 현황] ?과 정 명 : 6급 실무전문가양성 ?교육대상 : 연 180명 내외(6급 일반직공무원) ?교육기간 : 6개월(상·하반기 각 90명) ?교육기관 : 서울시 인재개발원 ?교육목표 : 조직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분야별 핵심리더 양성 ?교육과정 : 국내반(복지행정, 도시재생, 문화경제), 국제반(영어, 제2외국어) ??추진방향 ○미래인재 집중양성을 위한 6급이하 장기교육과정 선발 인원 확대 -『시·도별 6급이하 장기교육 선발인원 범위』를 자치단체별 6급이하 정원에 맞춰 조정 ○현장 체험형 협치 역량강화를 위해 위탁교육기관 다변화(1개→3개 이상) - 민간 및 대학 등으로 다양화, 학습자의 교육선택권 확대로 핵심인재 유인 - 전문성을 가진 통섭 인재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 디자인싱킹 기법 등을 통한 혁신적 아이디어 발굴 및 실무활용도 제고 -「미래반」시범운영 후 교육기관 및 교육대상 년차별 확대 운영 ?추진계획 6급 실무전문가 양성과정(개선) ○교육기관 : 인재개발원 ○과 정 명 : 6급 실무전문가양성 ⇒ 미래인재양성(변경) ○인원확대 추진 : 연 180명 내외 ⇒ 연 240명 내외 - 자치단체별 정원대비 형평성에 맞도록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운영지침 조정 건의 - 자치구 3명 수준의 참여율(평균3.5%)을 10% 이상으로 조정하여 자치구 팀장급(6급)의 전문성 강화 ○ 교육중점 : 분야별 전문가 양성 ⇒ 미래행정 선도인재 양성(변경) 미래반과정(신설) ○ 교육기관 : 서울소재 대학교, 민간기관 등 외부위탁 ※ 타 공공기관 및 공무원 교육기관과 개발할 사항이 있는지 여부 검토?실행 ○ 개설시기 : ’19년 시범실시 후 년차별 확대 ○ 교육대상 : 연 20명 내외(6급, 7급 일반직공무원, 재직 6년 이상) ○ 교육기간 : 6개월(상·하반기 각 10명) ○ 교육과정(안) 구분 교육분야(안) 기간 교육기관 관련직무군 미 래 반 빅데이터융합 6개월 (24주) 시립대학교 등 대학?민간기관 전직군 미래도시공학 도시안전(재난회복력) ○ 교육절차 분야별 교육생 선발 인력개발과 위탁기관 선정 학습 환경조성 전문지식·기술 학습성과물 제작·공유 인력개발과 위탁교육기관 개인별 ??시행시기 - ’19년 상반기 ②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 확대운영 미래환경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혁신적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4차 산업혁명 대응 미래교육 강화 ??현황 및 필요성 ○(인재개발원 과정) 일회적·단편적 특강 중심, 전문 심화과정 부족 - 미래학 이해 :「인문·미래학 특강」과정(4회, 800명), 신임·승진자 등 8개 과정에 미래학 과목 편성(22회, 3,558명) - ICT 기본기술 :「손에 잡히는 빅데이터」등 5개 과정(8회, 145명) ○(단기위탁교육) 일반 소양과정에 비해 4차 산업기술 분야 등 과정 부족 - 4차 산업 등 신기술 분야 역량 개발 교육기관 및 과정 위탁교육 확대 필요 ??추진방향 ○(인재개발원) 전직원 대상으로 미래변화 트랜드 인식제고 교육을 확대하고, 전문가 대상으로는 심화전문교육을 강화하여 대상별 차별화된 교육 실시 ○ (국내위탁교육) 인재개발원에 개설되지 않은 신기술 및 융합·통섭, 재난· 안전 관련 위탁교육훈련 기관 확대, 심화 전문교육 위주의 위탁교육 확대 ??추진계획 ○(인재개발원) 전 직원 대상의 인식제고 교육 확대 : ‘18년~ - 현재 운영 중인「인문·미래학 특강」과정을 미래학 내용 중심으로 재편 - 관리자 마인드 제고를 위해 ‘직위·직급별 리더십 과정’에 미래변화 이해 과목 편성 - ‘신임·승진자과정’, ‘6급장기과정’ 등에 미래변화 이해 과목 편성 확대 ○(인재개발원) 미래대응 역량 향상을 위한 전문교육 강화 : ’18년~ - 미래 핵심이슈를 중심으로 우리시에 미치는 영향, 대응전략 등을 토론을 통해 논의하는「서울 미래 연구」과정 신설 - 5세대 이동통신, 인공지능, 빅데이터, 신소재 등 4차 산업혁명시대 필수역량인 ICT기술 이해를 위한 전문과정 확대 편성 - 도시계획, 교통, 환경 등 주요 직무과정 내에 직무분야 관련 4차산업 신기술 접목을 통한 미래변화 예측 및 대응전략 관련 내용 추가 편성 - 도시기반 노후화에 대응할 도시재난 회복력강화 직무과정 신규편성 ○ (단기위탁교육) 4차 산업 대응 관련 위탁기관 및 과정 확대운영 - 전 직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래 지향적인 교육과정 수요 파악 - 4차산업 및 기술교육과정에 전문화 되어 있는 신규 위탁교육기관 발굴 - 모바일, VR,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신기술 분야의 교육과정 위탁 확대 - 도로시설물, 교량 등 노후기반시설의 선제적 유지관리 교육과정 위탁 확대 ? 재난 및 위기관리과정, 재난대응 협업기능 과정, 도시재생 전문과정 등 ??시행시기 - ’18년 상반기부터 Ⅵ 추진일정 및 예산투자계획 1 연차별 추진계획 추 진 과 제 추진부서 연차별 추진계획 2018 2019 2020 2021 2022 1. 봉사·협업의 가치기반 조성 ①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 시민중심 핵심가치 교육 실시 인재개발원 -핵심가치인식 수준조사분석 -프로그램개발 -핵심가치실천 방법매칭 -핵심가치 교육편성 운영 -핵심가치 교육보완개선운영 -핵심가치 교육보완개선운영 -핵심가치 교육보완개선운영 ○ 감성 리더십 교육 강화 인력개발과 디지털 콘텐츠 구매 감성리더십교육 4급이상 간부직 공유 4급이상 간부직 공유 4급이상 간부직 공유 4급이상 간부직 공유 인재개발원 -리더십 교육과정 편성운영 -리더십 교육보완개선운영 -리더십 교육보완개선운영 -리더십 교육보완개선운영 -리더십 교육보완개선운영 ○ 직급·직렬별 필수과정 지정을 통한 전문성 강화 인력개발과 필수과목 지정 대상직렬 선정 전직렬 로드맵 개발 필수이수 과정 승진반영 로드맵 리뉴얼 로드맵 리뉴얼 ② 노하우 공유를 위한 현장교육 강화 ○ 실본부국별 직무교육 책임제 도입 인력개발과 교육설명회개최 교육담당교육 시범부서 지정 교육체계 수립 전 기관 확대실시 운영성과 분석 기관평가 반영 ○ 일상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교육 활성화 인력개발과 시범교육지정 교육계획수립 전 기관 확대실시 전 기관 확대실시 운영성과 분석 전 기관 운영정착 ③ 인사와 교육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 국내·외 장기교육자 유관부서 의무 복무시스템 구축 인사과 인력개발과 -운영기준 정비시행 -유관보직 전산관리 -유관보직 전산관리 -유관보직 전산관리 -유관보직 전산관리 -유관보직 전산관리 ○ 5급이상 역량평가결과 승진반영 확대 인사과 역량평가결과 3?5급 승진반영 역량평가 결과 3?4?5급 승진반영 인재개발원 평가과제개발, e-러닝콘텐츠 및 사전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시범운영 4급 역량교육 및 역량평가 실시 ○ 교육협업 네트워크 구축 인재개발원 연구교육 협업 체계 구축 등 과제분석 및 협업분장, 협업과제 시행 공동미래 사업 과정개발 및 공동연구 추진 교육지원의무화 시범운영 및 전문 시행 추 진 과 제 추진부서 연차별 추진계획 2018 2019 2020 2021 2022 2. 소통?융합의 인재양성 ① 인간존중의 교육 강화 ○ 장애공무원 교육환경 구축 인재개발원 -장애인 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장애인식개선교육 확대 -이러닝 웹 접근성강화 -장애인편의 시설확충 -시험편의 제공 ○ 공무원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 내실화 인력개발과 수요조사 실시 및 지침 마련 지침적용 및 교육시행 ○ 퇴직(예정) 공무원 체계적 교육 및 노하우 활용 인사과 교육수요 조사 교육계획 수립 경력개발을 위한 개인별 커리어 코칭 개선 및 운영계속 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운영 정착 인력개발과 교육수요 조사 및 과정개발 편성 교육운영 및 성과분석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운영 정착 ② 개인 주도형 학습지원 ○ 개인 맞춤형 역량진단 지원 인력개발과 역량과 교육과정 연계 역량개발 가이드 개발 역량개발 가이드 리뉴얼 역량개발 가이드 리뉴얼 역량개발 가이드 리뉴얼 ○ 신규자, 전직자, 휴직복귀자 등 적응 교육 강화 인력개발과 멘토링 제도개선 및 운영 멘토링 운영 및 성과분석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운영 정착 인재개발원 교육수요 조사 및 과정개발 편성 교육운영 및 성과분석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개선 및 운영계속 교육운영 정착 ③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 직급?세대를 통합하는 소통?감성 프로그램 운영 인력개발과 다독다독 서울 연 4회 개최 다독다독 서울 연 4회 개최 다독다독 서울 연 4회 개최 다독다독 서울 연 4회 개최 다독다독 서울 연 4회 개최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외 위탁교육 개선 인력개발과 과제개발 수요조사 계약학과개설, 융·복합전공자 학비지원 한도확대 계약학과 운영 계약학과 졸업 및 관련부서 복무 계약학괴 신설 국외훈련개선방향설정 및 과제개발 신규기관 섭외 및 프로그램구성운영 신규과정 파견 및 피드백 신규과정 파견 및 피드백 신규과정 파견 및 피드백 추 진 과 제 추진부서 연차별 추진계획 2018 2019 2020 2021 2022 3. 미래지향 플랫폼 구축 ①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확충 ○ 지능형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인력개발과 시스템 구축 시범운영 교육훈련기본게획 단계별 적용 교육훈련기본게획 단계별 적용 교육훈련기본게획 단계별 적용 ○ 미래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인재개발원 교육시설 신축 타당성 용역 조사 투자심사 신축설계 착공 및 시공 총무과 직장교육 시설 확충 계획수립, 예산반영 직장교육 전용시설 설치 직장교육 전용시설 운영 ○ 공정?투명한 시험관리를 위한 채용? 평가센터 설립 인재개발원 기본 추진계획 수립 부지 확보 및 기본 설계 센터 신축 채용·평가 센터 운영 센터 정착 ② 상시학습의 확대 ○ 유연한 교육문화 확산의 상시학습제도 운영 개선 인력개발과 제도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무형식학습 기준(안) 마련 및 적용 학습바우처 및 마일리제 제도(안) 마련 , 적용 운영 운영 ○ 참여형 학습지원을 통한 스마트러닝 활성화 인재개발원 e-러닝 콘텐츠 신규개발(연도별 10개내외) 및 수정보완 PBL시범 운영 문제해결 과제개발 연도별 10개 내외 LMS 고도화 3단계사업 추진 집합교육 서비스 강화 유지보수 유지보수 유지보수 ③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대응 역량 강화 ○ 미래대응의 장기교육과정 확대운영 인력개발과 교육과정 수요조사 및 교육과정 대학 매칭 추진계획 수립 및 연1회 운영(시범) 연2회 운영(확대) 연2회 운영 연2회 운영 인재개발원 교육과정 개선 후 운영 연2회 운영 연2회 운영 연2회 운영 연2회 운영 ○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 확대운영 인력개발과 신규교육 과정수요 조사실시 4차산업 등 신기술 교육과정 증설(기존위탁기관) 4차산업 등신기술 관련전문 교육기관 발굴 단기위탁교육훈련 기관현황재정비 추진(신규 및기존) 재편된 국내단기위탁교육훈련과정운영실시 인재개발원 연차별 기본 계획 수립 과정·과목 편성 운영 과정·과목 편성 운영 과정·과목 편성 운영 과정·과목 편성 운영 2 과제별 예산 투자계획 추 진 과 제 계 연차별 투자계획 2018 2019 2020 2021 2022 148,937 16,033 16,977 19,281 79,392 17,254 1. 봉사?협업의 가치기반 조성 15,161 2,489 2,948 3,198 3,248 3,278 ①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편 7,295 1,325 1,440 1,510 1,510 1,510 ○ 시민중심 핵심가치 교육 실시 1,220 220 250 250 250 250 ○ 감성 리더십 교육 강화 6,005 1,105 1,150 1,250 1,250 1,250 ○ 직급·직렬별 필수과정 지정을 통한 전문성 강화 70 - 40 10 10 10 ② 노하우 공유를 위한 현장교육 강화 1,160 140 200 260 280 280 ○ 실본부국별 직무교육 책임제 도입 830 140 150 180 180 180 ○ 일상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교육 활성화 330 - 50 80 100 100 ③ 인사와 교육 협업을 통한 전문성 강화 6,706 1,024 1,308 1,428 1,458 1,488 ○ 국내·외 장기교육자 유관부서 의무복무시스템 구축 0 - - - - - ○ 5급이상 역량평가결과 승진반영 확대 4,950 990 990 990 990 990 ○ 교육협업 네트워크 구축 1,756 34 318 438 468 498 2. 소통?융합의 인재양성 52,643 10,213 10,590 10,450 10,640 10,750 ① 인간존중의 교육강화 5,282 962 1,040 930 1,120 1,230 ○ 장애공무원 교육환경 구축 1,065 335 340 130 130 130 ○ 공무원신분이 아닌 직원의 교육 내실화 190 - - - 90 100 ○ 퇴직(예정) 공무원 체계적 교육 및 노하우 활용 4,027 627 700 800 900 1,000 ② 개인주도형 학습지원 10,838 1,968 2,240 2,210 2,210 2,210 ○ 개인 맞춤형 역량진단 지원 70 - 40 10 10 10 ○ 신규자, 전직자, 휴직복귀자 등 적응교육 강화 10,768 1,968 2,200 2,200 2,200 2,200 ③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36,523 7,283 7,310 7,310 7,310 7,310 ○ 직급?세대를 통합하는 소통?감성 프로그램 운영 2,547 507 510 510 510 510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국내?외 위탁교육 개선 33,976 6,776 6,800 6,800 6,800 6,800 3.미래지향 플랫폼 구축 81,133 3,331 3,439 5,633 65,504 3,226 ① 온-오프라인 교육플랫폼 확충 66,789 813 651 2,675 62,475 175 ○ 지능형 학습관리시스템 구축 1,689 513 651 175 175 175 ○ 미래교육 수요에 대비한 교육시설 확충 65,100 300 - 2,500 62,300 - ○ 공정·투명한 시험관리를 위한 채용·평가센터 설립 ② 상시학습의 확대 3,434 630 671 691 711 731 ○ 유연한 교육문화 확산의 상시학습제도 운영 개선 0 - - - - - ○ 참여형 학습지원을 통한 스마트러닝 활성화 3,434 630 671 691 711 731 ③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대응 역량강화 10,910 1,888 2,117 2,267 2,318 2,320 ○ 미래대응의 장기교육과정 확대운영 8,769 1,619 1,750 1,800 1,800 1,800 ○ 4차 산업혁명 대응과정 확대운영 2,141 269 367 467 518 520 (단위 :백만원) Ⅶ 행 정 사 항 ?? 과제별 세부시행계획 수립 및 추진 ? 총괄 진행관리 : 인력개발과 ? 담당부서별 과제추진 - 인력개발과,인사과, 인재개발원:소관교육사업 신설·개편 운영 - 총무과 :청사내 직장교육시설 확충 ? 기본계획 추진관련 조직신설 및 정원조정 : 조직담당관 - 채용·평가센터 설치 등 ? 과제별 추진예산 반영 : 예산담당관, 재정관리담당관 - 예산담당관 : 2018년 일부 예산반영, 미반영분은 2019부터 반영 - 재정관리담당관 :중기지방재정계획 반영 ?? 기본계획 지속추진을 위한 민·관·학 거버넌스 구성·운영 ? 구성·운영 개요 - 위원 : 전문가 5명 내외(기존 교육훈련 자문위원 포함), 노조 2명 - 개최 : 반기 1회, 필요시 수시 개최 ? 주요기능 - 인재개발원, 서울시, 외부교육기관별 비전, 역할, 협력분야 정립 - 교육훈련기본계획 세부과제 추진상황 공유·진단, 보완·발전방안 마련 - 지속가능한 교육훈련기본계획 실행을 위한 인적기반 마련 등 ? 운영방식 추진상황 보고 위원회 피드백 피드백 결과 보고 ?과제별 추진 상황 보고 ※ 주요과제 중심으로 보고 ?추진상 애로사항 집중 보고 ?보고내용 관련 토론 및 자문 ?보완?발전방안 제시 ?장애요인에 대한 대안 모색 ?직전 피드백 반영 결과 재보고 (향후 위원회 개최 시) ?추가 발전방안 논의 ?? 성과관리 ? 평가대상 : 세부추진과제 ? 평가주기 : 연2회(반기별) ? 평가내용 : 연차별 추진계획 대비 추진성과 평가 ? 평 가 자 : 자체평가 및 자문단 평가 병행 ? 결과조치 : 부진사업에 대해 문제점 및 원인분석, 대책마련을 통한 실행력 제고 # 붙임 : 교육훈련기본계획 수립 추진체계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정보

서울시 공무원 교육훈련 기본계획(2018-2022)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행정국 인력개발과
문서번호 인력개발과-26449 생산일자 2017-12-19
공개구분 공개 보존기간 5년
작성자(전화번호) 은진아 (02-2133-5754) 관리번호 D0000032403844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인사 > 공무원능력개발 > 교육훈련계획일반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