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제738차-성수대교 정밀점검 용역-타당성심사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 본 과업대상 시설물인 성수대교는 현장조사에서 파악된 재료의 전반적인 열화상태, 재료시험을 통한 내구성평가, 손상에 대해 정량적으로 평가한 상태평가(B등급), 본 시설물이 갖고 있는 환경 조건(하천 횡단교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성수대교의 안전등급 지정은 『B 등급』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성수대교는 준공 후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보수 및 보강도 이루어져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손상은 조사되지 않았으나, 부재별로 현재의 내구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균열보수, 단면결함 보수, 재도장 등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금회 점검 결과로 작성된 자료에 의해 효과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한다면 시설물의 공용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잠실철교(도로교)는 1979년 준공되어 약 36년간 공용된 1종 시설물로 정밀점검을 실시한 결과, 기 점검시 미 보수된 손상과 균열, 단면손상, 재료분리, 백태, 철근노출, 강재변형, 볼트파단, 볼트체결불량, 도장박리, 박락, 부식, 신축이음장치 솟음, 흉벽 배부름으로 인한 유간부족, 유간내 토사퇴적, 배수구 덮개유실 등의 손상이 조사되었다.
󰋻현장 외관조사 결과와 비파괴시험 결과에 의한 상태평가 결함지수는 0.167로 결함도 범위 “b (0.13≤x<0.26)”로 평가되어 안전등급은「보조부재에 경미한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기능발휘에는 지장이 없으며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일부의 보수가 필요한 상태」인 “B등급(양호)”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본 교량에 대한 중점 유지관리 항목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지관찰을 실시하고 그에 따라 보수 등의 충분한 조치가 이루이진다면 교량의 사용성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738차-성수대교 정밀점검 용역-타당성심사

문서 설명 (목차)

성수대교
제1장 과업의 개요
1.1 과업의 목적 3
1.2 시설물의 개요 4
1.3 과업의 범위 및 내용 5
1.3.1 과업의 범위 5
1.3.2 과업내용 5
1.3.3 과업수행절차 7
1.4 사용장비 및 기기 현황 8
1.5 과업 수행 일정 9
1.6 구조물 기호의 정의 10

제2장 자료수집 및 분석
2.1 자료수집 13
2.1.1 자료수집 현황 13
2.1.2 관련도면 15
2.1.3 성수대교 주요이력 27
2.2 자료분석 29
2.2.1 기존 점검 및 진단 이력 29
2.2.2 보수·보강 이력 31
2.2.3 시설물의 내진설계 여부 33

제3장 현장조사 및 시험
3.1 개요 37
3.1.1 외관조사의 개요 37
3.1.2 부재별, 손상별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39
3.2 외관조사 결과 42
3.2.1 본교 42
3.2.2 북단램프 97
3.2.3 남단램프 136
3.2.4 성수대교 위령비 185
3.2.5 외관조사 결과분석 187
3.3 재료시험 221
3.3.1 개요 221
3.3.2 콘크리트 재료시험 224
3.3.3 강재 품질 조사 및 시험 250
3.3.4 전차 진단 및 점검, 금회 점검의 현장시험 비교 검토 255

제4장 상태평가
4.1 상태평가 기준 259
4.1.1 개요 259
4.1.2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259
4.1.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267
4.2 상태평가 결과 269
4.2.1 상태평가 등급산정 269
4.2.2 상태평가 결과 269
4.2.3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281

제5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5.1 종합평가 287
5.1.1 종합평가 기준 287
5.1.2 종합평가 결과 287
5.2 안전등급 지정 288

제6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6.1 보수·보강 방안 291
6.1.1 개요 291
6.1.2 보수·보강 우선순위 결정 293
6.1.3 보수·보강 방법 293
6.1.4 낙교방지 사이드블록 볼트 풀림에 대한 대책 308
6.1.5 기타 보수·보강 방안 312
6.1.6 보수·보강 방안 비교 313
6.1.7 보수·보강 방안 및 개략공사비 323
6.2 유지관리 방안 336
6.2.1 개요 336
6.2.2 점검의 목적 및 종류 339
6.2.3 구조물 점검항목 및 방법 342
6.2.4 부재별 점검항목 344
6.2.5 중점유지관리 항목 352
6.2.6 중점유지관리 사항 366
6.2.7 부속시설물 현황 369

제7장 종합결론
7.1 정밀점검 실시결과 380
7.2 중점유지관리를 위한 점검사항 399
7.3 종합결론 400


잠실철교
제 1 장 정밀점검의 개요 1
1.1 과업의 목적 3
1.2 시설물의 개요 3
1.3 과업의 범위 및 내용 4
1.3.1 과업의 범위 4
1.3.2 과업내용 4
1.3.3 과업수행절차 7
1.4 사용장비 및 기기 현황 8
1.5 과업 수행 일정 9
1.6 구조물 기호의 정의 10

제 2 장 자료수집 및 분석 11
2.1 자료수집 13
2.1.1 자료수집 현황 13
2.1.2 관련도면 14
2.2 기존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결과 21
2.3 보수·보강이력 23
2.4 시설물의 내진설계 여부 26

제 3 장 현장조사 및 시험 27
3.1 개요 29
3.1.1 외관조사의 개요 29
3.1.2 부재별, 손상별 발생원인 및 조사방향 31
3.2 외관조사 결과 34
3.2.1 본교 상류측 34
3.2.2 본교 하류측 95
3.2.3 RAMP-A교 156
3.2.4 RAMP-B교 179
3.2.5 RAMP-C교 204
3.2.6 추가조사 226
3.2.7 외관조사 결과분석 279
3.3 재료시험 292
3.3.1 개요 292
3.3.2 콘크리트 재료시험 294
3.3.3 내구성 평가 결과 요약 308

제 4 장 상태평가 307
4.1 상태평가 기준 311
4.1.1 개요 311
4.1.2 상태평가 항목 및 기준 311
4.1.3 구조형식에 따른 부재별 가중치 318
4.2 상태평가 결과 319
4.2.1 본교 및 램프교 상태평가 319
4.2.2 전체 시설물의 상태평가 결과 322
4.2.3 기 점검 및 진단 결과와의 상태평가 비교·분석 324

제 5 장 종합평가 및 안전등급 지정 325
5.1 종합평가 327
5.1.1 종합평가 기준 327
5.1.2 종합평가 결과 327
5.2 안전등급 지정 328


제 6 장 보수·보강 및 유지관리 방안 329
6.1 보수·보강 방안 331
6.1.1 개요 331
6.1.2 보수·보강 우선순위 결정 333
6.1.3 보수·보강 방법 335
6.1.4 보수·보강 방안 및 개략공사비 347
6.2 유지관리 방안 360
6.2.1 개요 360
6.2.2 진단의 목적 및 종류 363
6.2.3 구조물 점검항목 및 방법 366
6.2.4 부재별 점검항목 368
6.2.5 중점유지관리를 위한 점검사항 375

제 7 장 종합결론 377
7.1 외관조사 결과 380
7.1.1 본교 상류측 외관조사 결과 380
7.1.2 본교 하류측 외관조사 결과 382
7.1.3 RAMP-A 외관조사 결과 384
7.1.4 RAMP-B 외관조사 결과 385
7.1.5 RAMP-C 외관조사 결과 386
7.2 콘크리트 비파괴시험 결과 387
7.2.1 콘크리트 강도시험 결과 387
7.2.2 탄산화깊이 측정시험 결과 387
7.3 종합평가 등급 388
7.3.1 잠실철교(도로교)-상류구간 상태평가 결과 388
7.3.2 잠실철교(도로교)-하류구간 상태평가 결과 388
7.3.3 종합평가 결과 388
7.4 개략공사비 389
7.5 종합결론

문서 정보

제738차-성수대교 정밀점검 용역-타당성심사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등록일, 유형, 생산년도, 분야, 지역,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소요예산, 라이센스
관리번호 D0000024780823 등록일 20160108
유형 정책연구자료 생산년도 2015
분야 건설 지역 성동구,광진구,강남구,송파구
원본시스템 기술용역 제공부서 교량안전과
작성자(책임자) 서성만 생산일 2015-12-11
소요예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