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자료

탄천물재생센터고도처리 시설설치사업 실시설계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문서 설명 (초록)

초록

2009년 물관리국 물재생시설과에서 시행한 용역임.
탄천물재생센터고도처리 시설설치사업 실시설계

문서 설명 (목차)

표지 1|목차 3|제I장 공정 및 공통분야 17| 1. 사업의 개요 18| 1.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18| 1.1.1 사업의 목적 18| 1.1.2 사업추진 기본방향 18| 1.2 사업의 개요 19| 1.2.1 사업의 개요 19| 1.2.2 주요사업내용 19| 1.2.3 계획 및 성능보증수질 19| 1.2.4 우선시공분 공사개요 20| 1.2.5 사업추진경위 및 향후추진계획 20| 1.2.6 처리계통도 20| 1.2.7 시설물 배치도 21| 1.3 사업의 효과 21| 2. 기초자료조사 및 관련계획 검토 22| 2.1 기초자료조사 22| 2.1.1 지역 일반현황 22| 2.1.2 기존시설현황 25| 2.1.3 방류수역 현황 27| 2.2 현장조사 주요내용 28| 2.2.1 현장조사 주요내용 28| 2.2.2 측량조사 30| 2.2.3 현장 및 지반조사 31| 2.2.4 주요재료원 조사 32| 2.2.5 구조물 안전진단 33| 2.2.6 환경질 조사 39| 2.2.7 유량 및 수질조사 42| 2.2.8 하천수질 조사 및 영향 예측 44| 2.3 관련계획 검토 47| 2.3.1 주요검토내용 47| 2.3.2 서울시 4개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건설사업 기본계획(2003년 6월) 47| 2.3.3 서울시 도시기본계획(2006년 4월) 48| 2.3.4 서울시 4개 하수처리장 하수슬러지처리시설 증설기본계획(2006년 6월) 48| 2.3.5 탄천물재생센터 복개공원화(3단계) 기본 및 실시설계(2006년 10월) 49| 2.3.6 일원동 474번지 도로개설공사(2006년 9월) 49| 2.3.7 탄천물재생센터 기술진단(2007년 11월) 50| 2.3.8 서울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변경(안)(2008년) 51| 3. 기본설계검토 52| 3.1 계획 목표연도 및 처리구역 계획 52| 3.1.1 계획 목표연도 52| 3.1.2 계획 처리구역 52| 3.1.3 계획인구 검토 52| 3.1.4 계획하수량 및 고도처리시설 용량계획 검토 53| 3.1.5 계획수질 검토 53| 3.2 기존시설 문제점 분석 및 개보수 적정성 54| 3.2.1 기존 물재생시설 운영현황 분석 및 개량대책 54| 3.2.2 기존 하수처리시설 시설물 현황 및 개선방안 59| 4. 하수처리공정 계획 63| 4.1 수처리 공정 선정 63| 4.1.1 유입 및 방류수질에 따른 처리공정 계획 63| 4.1.2 시설개량 하수처리공정 선정 64| 4.2 고도처리 공법 66| 4.2.1 MLE 공법의 개요 66| 4.2.2 유입조건별 최적운전을 위한 운전조건 계획 67| 4.2.3 기존시설 적용성 및 연계성 67| 4.2.4 동절기 및 부하변동시 처리 안정성 68| 4.2.5 적용실적 및 정상가동 여부 70| 4.3 단위공정 계획 71| 4.3.1 전체 단위공정 계획 71| 4.3.2 주요 시설물 제원 71| 4.3.3 생물반응조 72| 4.3.4 이차침전지 73| 4.3.5 3차처리시설 75| 4.3.6 반류수처리시설 77| 4.3.7 슬러지처리시설 78| 4.3.8 악취저감시설 80| 4.4 처리수 재이용 계획 83| 4.4.1 처리수 재이용현황 83| 4.4.2 하수처리수 재이용계획 83| 4.5 단위공정별 용량계산의 적정성 84| 4.5.1 설계조건 및 설계기준 설정 84| 4.5.2 단위공정 시설별 용량계산의 적정성 84| 4.5.3 물질수지도 86| 4.6 공사 중 하수처리방안 90| 4.6.1 생물반응조 고도처리 개량 시공계획 90| 4.6.2 공사단계별 방류수질 예측 시뮬레이션 90| 4.7 기본설계 대비 실시설계 변경사항 91| 4.7.1 공정분야 91| 4.7.2 토목분야 91| 4.7.3 건축분야 91| 4.7.4 기계분야 92| 4.7.5 전기 및 계측제어분야 93| 4.7.6 조경분야 93|제II장 토목분야 94| 1. 토목공사 개요 95| 1.1 사업의 목적 및 기본방향 95| 1.2 사업의 개요 95| 1.3 주요시설물 개요 96| 2. 시설물 배치계획 97| 2.1 사전검토사항 97| 2.2 전체배치계획 및 동선계획 97| 2.2.1 전체배치계획 97| 2.2.2 동선계획 97| 2.3 단위시설물 배치계획 98| 3. 시설물 계획 99| 3.1 기본방향 99| 3.2 주요시설물 용량계산 99| 4. 기존시설 개량방안 100| 4.1 공정변경 및 기능개선에 따른 개량계획 100| 4.1.1 시설물별 주요현황 및 개선방향 100| 4.1.2 고도처리 관련 생물반응조 개량계획 101| 4.1.3 주요시설물 개량계획 103| 5. 부대시설계획 105| 5.1 기존 구조물 시공이음 처리 및 방수·방식 계획 105| 5.1.1 신·구 구조물 시공이음 처리계획 105| 5.1.2 신설 구조물의 방수·방식 적용 검토 105| 5.2 구내배관계획 106| 5.2.1 관종선정 106| 5.2.2 주요배관 부설계획 106| 5.3 우·오수 배제계획 107| 5.4 용수공급계획 109| 6. 수리계획 110| 6.1 기본방침 110| 6.2 부지계획고 계획 110| 6.3 계획하수량 110| 6.4 수리계산 공식 111| 6.5 수리종단도 113| 7. 토질 및 기초계획 115| 7.1 토질조사 115| 7.1.1 조사개요 115| 7.1.2 지반조사 결과 및 분석 117| 7.1.3 설계지반정수 산정 143| 7.2 구조물 기초설계 161| 7.2.1 구조물 기초형식 선정 161| 7.2.2 구조물 기초 안정성 검토 162| 7.2.3 관거 기초설계 165| 7.2.4 내진 설계 172| 7.3 지반굴착공법 선정 및 안정성 검토 175| 7.3.1 굴착공법 선정 175| 7.3.2 굴착공법별 안정성 검토 176| 7.4 시공중 인접구조물, 지장물 보호 및 처리대책 182| 7.4.1 인접구조물 및 지장물 보호대책 182| 7.4.2 인접구조물 안정성 검토 182| 7.4.3 지반 및 인접구조물 계측관리 계획 183| 8. 토목구조 계획 185| 8.1 구조계획 185| 8.1.1 구조물 개요 185| 8.1.2 설계방향 185| 8.1.3 중점고려사항 검토 185| 8.2 구조설계 기준 186| 8.2.1 적용기준 186| 8.2.2 사용재료 186| 8.2.3 사용재료 186| 8.2.4 내진설계 188| 8.2.5 사용성 설계 189| 8.2.6 하중조합 및 강도감소 계수 190| 8.2.7 신축이음 계획검토 191| 8.3 구조해석의 적정성 192| 8.3.1 구조물 개요 192| 8.3.2 구조해석 흐름도 192| 8.3.3 기초형식 및 경계조건 선정 193| 8.4 구조안전성 검토 194| 8.4.1 제1처리장 3차처리시설 194| 8.4.2 제2처리장 3차처리시설 196| 8.4.3 스컴집수조 198| 8.4.4 급수동 밸브실 200| 8.5 안정성 검토 202| 8.5.1 구조물 기초검토 202| 8.5.2 시공단계별 부력검토 개요도 202| 8.5.3 부력에 대한 안정성 검토결과 202| 8.6 내구성 설계 203| 8.6.1 탄산화(중성화)에 대한 대책 203| 8.6.2 동결융해 대책 203| 8.6.3 내구성 설계 203| 8.7 수화열 해석 204| 8.7.1 수화열 및 온도응력 해석결과 204| 8.7.2 해석결과 요약 204| 8.8 진동기기 기초설계 204| 8.8.1 검토대상 구조물 기기 선정 204| 8.8.2 진동기기 검토 204|제III장 건축분야 205| 1. 공사개요 206| 1.1 계획의 주안점 206| 1.2 계획의 기본방향 206| 1.3 설계개요 206| 2. 사전조사사항 207| 2.1 주요 현황 분석 207| 2.2 기존건축물 현황조사 207| 3. 건축계획 208| 3.1 계획의 목적 및 기본방향 208| 3.2 동별건축계획 208| 3.2.1 관리동 208| 3.2.2 제1처리장 주전기실 210| 3.2.3 탈수기동 210| 3.2.4 제2처리장 주전기실 211| 3.2.5 고도처리용 전기실 211| 4. 세부공정계획 212| 4.1 공사수행 계획 212| 4.1.1 품질관리 212| 4.1.2 시공관리 212| 4.1.3 안전관리 212| 4.2 건축물 유지관리계획 212| 5. 건축기계설비 계획 213| 5.1 시스템선정의 적정성 213| 5.1.1 냉방계획 213| 5.1.2 환기계획 213| 5.1.3 소방계획 213| 6. 건축구조 계획 214| 6.1 건축구조계획의 적정성 214| 6.1.1 구조일반사항 214| 6.1.2 구조물 안전성 검토 215|제IV장 기계설비분야 216| 1. 공사개요 217| 1.1 공사개요 217| 1.2 처리공법 217| 1.3 기계공사 범위 217| 1.3.1 제1처리장 218| 1.3.2 제2처리장 218| 1.4 설계기준 219| 1.5 처리계통도 219| 2. 설비 배치계획 220| 2.1 기계설비 배치계획 220| 2.1.1 제1처리장 단위시설별 기계설비 배치계획 220| 2.1.2 제2처리장 단위시설별 기계설비 배치계획 220| 2.2 작업동선 및 장비 반·출입 계획의 적정성 221| 2.2.1 작업 및 장비 반·출입계획 221| 2.2.2 유지관리 및 차량동선 221| 2.3 운전 및 보수계획 222| 2.3.1 유지관리 용이성을 위한 설계반영 222| 2.3.2 농축기 및 탈수기동 유지관리 용이성 확보 222| 3. 주요처리 설비계획 223| 3.1 기존 제1,2처리장 설비별 주요현황 및 설비계획 223| 3.2 입찰안내서 특별요구사항 개선방안 224| 3.3 기존설비 보완 및 활용방안 225| 3.3.1 수처리설비 보완 및 대책 225| 3.3.2 슬러지 처리설비 보완 및 대책 226| 3.3.3 탈취설비 보완 및 대책 226| 3.4 기본설계 주요 변경사항 226| 3.4.1 수처리 설비 226| 3.4.2 슬러지처리 설비 227| 3.4.3 악취저감 및 탈취 설비 227| 3.5 기초자료조사 및 현장조사 228| 3.5.1 기초자료조사 228| 3.5.2 현장조사 228| 3.6. 설비규모 및 기기선정의 적정성 230| 3.6.1 설비규모의 적정성 230| 3.7 주요설비 처리계획 231| 3.7.1 유입펌프장 설비 231| 3.7.2 생물반응조 및 송풍기 설비 235| 3.7.3 이차침전지 설비 241| 3.7.4 3차처리시설(우선시공분) 246| 3.7.5 슬러지 악취저감 시설 250| 3.7.6 반류수 처리시설(우선 시공분) 251| 3.7.7 슬러지 농축 및 탈수설비 254| 3.7.8 약품투입설비(우선시공분) 260| 3.7.9 탈취설비 262| 4. 설비의 내구성 및 안정성 265| 4.1 설비의 내구성 265| 4.1.1 주요설비의 내구성 및 성능 265| 4.2 설비의 성능 및 안정성 265| 5. 설비의 경제성 및 합리성 266| 5.1 유지관리의 편리성 및 경제성 266| 5.1.1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위한 설비계획 266| 5.1.2 주요설비 유지관리 계획 266| 5.1.3 주요 설비별 유지관리 점검내용 267| 5.1.4 기기별 장·단기 점검 계획 268| 5.1.5 운전관리 계획 268| 5.1.6 주요 설비의 고장 조치계획 269| 5.1.7 비상시 운전 및 유지관리 계획 270| 5.1.8 초음파스케일 방지장치를 이용한 배관 스케일 방지계획 270| 5.2 에너지 절감대책 271| 5.2.1 고효율 모터적용에 의한 에너지 절감 271| 5.2.2 기자재선정에 의한 에너지 절감 271| 5.3 소음·진동 방지대책 271| 6. 세부공정 계획 272| 6.1 공정관리 추진방향 272| 6.2 공정관리 조직 및 주요업무 272| 6.3 공정관리 시스템 구성 272| 6.4 기본공정 계획 수립 272| 6.5 기계공사 주요 공정관리 계획 273| 6.5.1 기본사항 273| 6.5.2 공정관리 계획 273| 7. 예비품, 소모품 및 특수공구 274| 7.1 예비품 274| 7.2 소모품 274| 7.3 특수공구 274| 8. 채용기기 일람표 275| 8.1 제1처리장 275| 8.1.1 침사지설비 275| 8.1.2 유입펌프장설비 276| 8.1.3 일차침전지설비 277| 8.1.4 생물반응조설비 277| 8.1.5 송풍기설비 278| 8.1.6 이차침전지설비 279| 8.1.7 염소접촉지설비-우선시공분 279| 8.1.8 반류수처리시설 및 혼합슬러지저류조 설비-우선시공분 280| 8.1.9 소화조 설비 282| 8.1.10 소화슬러지저류조 설비 284| 8.1.11 탈수설비 284| 8.1.12 급수설비 287| 8.1.13 방류펌프동설비 288| 8.1.14 소화가스 발전설비 289| 8.1.15 탈취 설비 290| 8.1.16 생슬러지저류조 설비 291| 8.1.17 슬러지농축설비 291| 8.1.18 여과설비-우선시공분 293| 8.1.19 약품주입설비-우선시공분 293| 8.1.20 악취저감설비 293| 8.2 제2처리장 294| 8.2.1 침사지설비 294| 8.2.2 유입펌프장설비 295| 8.2.3 일차침전지설비 296| 8.2.4 생물반응조 설비 297| 8.2.5 송풍기설비 298| 8.2.6 이차침전지설비 299| 8.2.7 급수설비 300| 8.2.8 방류펌프동설비 301| 8.2.9 여과설비-우선시공분 302| 8.2.10 약품주입설비-우선시공분 302|제V장 전기·계측제어분야 303| 1. 공사개요 304| 1.1 사업개요 304| 1.2 공사범위 304| 1.3 적용법규 및 규칙 305| 1.4 관련법규 적용검토 305| 1.5 기본방향 306| 1.6 기자재 사양 307| 1.6.1 전기분야 307| 1.6.2 계측제어분야 308| 2. 전기설비 계획 및 규모의 적정성 310| 2.1 수변전설비 계획 310| 2.1.1 설비개요 310| 2.1.2 제1처리장 주변전실 단선결선도 310| 2.1.3 제2처리장 주변전실 단선결선도 311| 2.1.4 제1처리장 고도처리용 단선결선도 312| 2.1.5 제2처리장 고도처리용 단선결선도 312| 2.2 설비의 구성과 방식 313| 2.2.1 전력설비 감시제어계획 313| 2.2.2 전력설비 주요 감시항목 313| 2.2.3 수전방식 314| 2.2.4 MOF 이중화 구성 314| 2.2.5 전압강압 방식 315| 2.2.6 변압기 구성방식 316| 2.2.7 주변압기 접지방식 316| 2.2.8 동력제어설비 구성과 방식 316| 2.2.9 역률개선 방식 317| 2.2.10 직류전원 공급 설비 318| 2.2.11 배관 및 배선 계획 318| 2.2.12 저압모터 기동반 구성 319| 2.2.13 현장조작반(LOP) 구성 319| 2.2.14 운전 및 조작의 우선 순위 319| 3. 주요기기 용량 및 부하계산서 320| 3.1 주요기기의 용량 320| 3.2 변압기 용량계산3. 변압기 용량계산서 321| 3.2.1 계산기준 321| 3.2.2 설비별 수요율 321| 3.3 변압기 용량검토(제1처리장) 322| 3.3.1 제1처리장 322| 3.3.2 제2처리장 324| 3.3.3 부하계산(상용부하[kW]) 327| 4. 기기선정 및 배치계획 329| 4.1 제1처리장 전기실 기기배치 329| 4.2 제2처리장 전기실 기기배치 329| 4.3 고도처리시설에 따른 기존설비 변경 및 연계방안 330| 4.3.1 고도처리시설에 따른 기존설비 변경사항 330| 4.3.2 기존설비와 연계방안 331| 4.3.3 주변전실 전자화 배전반 선정 332| 4.3.4 변압기 절연 열화감시 온라인 시스템 선정 333| 4.3.5 전자식무효전력보상장치(SVC) 선정 334| 4.3.6 변압기 선정 335| 4.3.7 기타 기기 선정 335| 4.3.8 무정전을 위한 시공 계획 336| 5. 계측기기 선정의 적정성 337| 5.1 중점사항 337| 5.1.1 계측기기 설계기준 337| 5.1.2 계측기기 선정기준 337| 5.1.3 설계 적용 사항 337| 5.2 주요 계측기기의 선정비교 338| 5.2.1 반류수 유량계 선정 비교 338| 5.2.2 응집제 공급 유량계 선정 비교 338| 5.3 공정별 주요 계측기기 선정 339| 6. 운전제어방식 341| 6.1 계측제어설비의 개요 341| 6.1.1 기본방향 341| 6.1.2 설계기준 342| 6.2 감시제어 설비 343| 6.2.1 중점사항 343| 6.2.2 감시제어설비 구성도 343| 6.2.3 감시제어설비 계획 344| 6.2.4 감시제어설비 배치계획 344| 6.3 기존감시제어설비 개선 및 연계방안 345| 6.3.1 중점사항 345| 6.3.2 기존 감시제어설비의 개선 345| 6.3.3 감시제어설비 연계방안 346| 6.4 감시제어 시스템 347| 6.4.1 감시제어시스템의 주요기능 347| 6.4.2 주요기능 347| 6.5 자동 운전제어 방식 348| 6.5.1 주요설비 운전제어방식(5개년 계획과 연계 구성) 348| 6.6 운전범위 및 운전유형 349| 6.6.1 운전범위 349| 6.6.2 운전유형 349| 6.7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350| 6.7.1 중점사항 350| 6.7.2 UPS 설치 비교 350| 6.7.3 기존 및 신규 UPS 설치 현황 350| 6.8 CCTV 설치 351| 6.8.1 중점사항 351| 6.8.2 주요기기사양 및 설치 현황 351| 6.9 경보관리 및 시설유지관리 계획 352| 6.9.1 중점사항 352| 6.9.2 Alarm 발생시 실시간 데이터 수집 352| 6.9.3 경보의 종류 및 분류 352| 7. 건축전기설비 계획 353| 7.1 전등설비 353| 7.2 전열설비 353| 7.3 접지 및 피뢰설비 353| 7.3.1 피뢰설비 353| 7.3.2 접지설비 354| 7.4 전력에너지 절감 계획 354| 7.4.1 신재생 에너지 적용 354| 7.4.2 역률개선 설비 354| 7.4.3 절전형 조명기구 354| 7.4.4 인버터를 이용한 펌프 가변속 제어 354| 7.5 신재생 에너지 추가적용 방안 검토 355| 7.5.1 태양광 시스템의 적용 및 운영계획 355|제VI장 조경분야 356| 1. 조경개요 357| 1.1 조경공사개요 357| 1.1.1 공간적범위 357| 1.1.2 내용적범위 357| 2. 사전조사사항 358| 2.1 입지여건 358| 2.2 현황분석 358| 2.3 관련계획 및 관련법규 검토(그린에너지체험장) 358| 3. 계획 및 방침 359| 3.1 기본방향 359| 3.2 수종선정기준과 생태적 특성 359| 3.3 조경시설물개요 359| 3.4 지역별조경계획 360| 3.4.1 관리동 그린에너지체험장계획 360| 3.4.2 제2처리장 3차처리시설 식재 및 이식계획도 360| 4. 공정별 실시설계 361| 4.1 조경식재설계 361| 4.1.1 식재기반조성 361| 4.1.2 환경지표수 계획 361| 4.1.3 식재계획평면도 361| 4.2 조경시설물 및 포장 설계 362| 4.2.1 조경시설물 설계 362| 4.2.2 주요시설물 설계 362| 4.2.3 포장설계 363| 4.2.4 시설물 및 포장계획도 363| 5. 유지관리 364| 5.1 기본방향 364| 5.2 조경식재관리 364| 5.2.1 수목관리 364| 5.2.2 잔디관리 364| 5.3 조경시설물관리 364|제VII장 유지관리 및 종합시운전계획 365| 1. 운영 및 유지관리 계획 366| 1.1 기본방향 366| 1.2 기존 운영 관리인원 및 조직계획 366| 1.2.1 기존처리장 기구조직 및 인원현황 366| 1.2.2 운영관리 인원의 적정성 검토 367| 1.3 운영관리계획 368| 1.3.1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계획 368| 1.3.2 하수처리공정 운영 및 유지관리 계획 370| 1.3.3 운전제어방식 374| 1.3.4 처리공정별 운전제어 계획 375| 1.4 유지보수계획 377| 1.4.1 일반유지보수계획 377| 1.4.2 분야별 유지보수계획 377| 1.4.3 유지관리 편의성을 위한 설계 반영사항 381| 1.4.4 실험실 장비 382| 1.5 유지관리비 산정 383| 1.5.1 유지관리비 산정기준 383| 1.5.2 유지관리비 산정 383| 1.5.3 유지관리비 세부내역 384| 1.5.4 유지관리비 산정의 적정성 검토 385| 1.5.5 유지관리비 절감방안 386| 2. 종합시운전 및 기술이전계획 387| 2.1 시운전계획 387| 2.1.1 입찰안내서 내용 검토 387| 2.1.2 시운전 개요 387| 2.2 시운전 일정계획 389| 2.2.1 성능확인 389| 2.2.2 계열별 시운전 389| 2.2.3 종합시운전 389| 2.3 기술이전 계획 390| 2.3.1 기술이전 흐름도 390| 2.3.2 기술이전 세부 계획 390| 2.3.3 기술이전 일정계획 390| 2.4 교육훈련 계획 391| 2.4.1 교육훈련 계획 391| 2.4.2 교육훈련 세부 계획 391| 2.4.3 교육훈련 일정 계획 391|제VIII장 공사관리계획 392| 1. 사업수행계획 393| 1.1 사업관리계획 수립 393| 1.1.1 종합적 공사관리계획 393| 1.1.2 현장 시스템 운영계획 393| 1.1.3 사전조사사항 394| 1.2 설계 및 인.허가 관리계획 396| 1.2.1 단계별 설계관리계획 396| 1.2.2 인·허가 사항 396| 1.2.3 공사 중 인·허가 사항 396| 1.3 하도급 관리계획 397| 1.3.1 기본방향 397| 1.3.2 하도급 선정 흐름도 397| 1.3.3 주요하도급 대상공종 397| 1.4 우선시공분 공사계획 398| 1.4.1 가설계획 399| 1.4.2 공사 중 교통운영계획 400| 1.4.3 토공사 401| 1.4.4 철거공사 401| 1.4.5 구조물공사 402| 1.4.6 관거공사 402| 1.4.7 기계공사 403| 1.4.8 전기 및 계측제어설비 404| 1.4.9 건축 및 조경공사 405| 1.4.10 포장공사 405| 1.4.11 예상문제점에 대한 대책의 적정성 406| 1.4.12 공사여건 변화에 따른 대처방안 408| 2. 직원투입계획 411| 2.1 직원투입계획 411| 2.1.1 조직구성의 원칙 411| 2.1.2 공사수행 조직도 411| 2.1.3 투입인원 선발기준 411| 2.2 교육훈련 계획 412| 2.2.1 직원교육 계획 412| 2.2.2 협력업체 교육계획 412| 2.2.3 기능공 교육계획 412| 3. 공정관리계획의 적정성 413| 3.1 공정관리개요 413| 3.1.1 공정관리 수행절차 413| 3.1.2 기본공정계획 수립 413| 3.1.3 공정관리시스템 413| 3.2 공정관리 운영계획 414| 3.2.1 공정관리조직 414| 3.2.2 EVMS(공정/공사비 통합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계획 414| 3.2.3 현장적용계획 414| 3.3 공정관리를 위한 코드분류체계 415| 3.3.1 사업 분류체계 415| 3.4 진도관리 및 부진공정관리계획 416| 3.4.1 진도관리 체계 416| 3.4.2 진도관리항목 416| 3.4.3 공정 부진시 관리기준 416| 3.4.4 공기 지연시 만회대책 416| 3.4.5 공정지연요소 발생 요인 417| 3.4.6 공사불능일 및 작업가능일수 산정 417| 3.4.7 예정공정표 418| 3.4.8 공기준수 방안 420| 3.4.9 주요공정 공기분석 420| 4. 품질관리계획 421| 4.1 품질관리계획의 적정성 421| 4.1.1 품질경영 방침 및 목표 421| 4.1.2 품질보증 사이클 및 운영계획 421| 4.1.3 단계별 품질관리 활동계획 421| 4.2 품질관리 운영계획 422| 4.2.1 품질관리조직 422| 4.2.2 품질관리 교육계획 422| 4.2.3 품질관리 중점 활동 422| 4.3 현장 품질관리계획 423| 4.3.1 시설물별 품질관리 현황 423| 4.3.2 공종별 품질관리계획 424| 4.3.3 품질확보를 위한 시험실 운영계획 424| 4.3.4 취약 공종 품질관리 425| 4.3.5 부실시공방지계획 426| 4.3.6 시공실명제 및 부실시공 신고센터 운영계획 426| 5. 안전관리계획 427| 5.1 총괄안전관리계획 427| 5.1.1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용 427| 5.1.2 안전교육계획 427| 5.1.3 안전점검계획 427| 5.1.4 비상시 대응계획 427| 5.2 건설현장 주변지역 및 공종별 안전관리계획 428| 5.2.1 건설현장 주변지역 안전관리계획 428| 5.2.2 사고유형별 분석 및 공종별 안전관리계획 428| 6. 환경관리계획의 적정성 429| 6.1 친환경 현장 구현을 위한 환경관리계획 429| 6.1.1 환경 시스템 운영체계 429| 6.1.2 환경관리 조직 및 업무 429| 6.1.3 환경영향 흐름도 429| 6.2 환경관리계획 430| 6.2.1 환경 인·허가계획 430| 6.2.2 공정별 점검계획 430| 6.2.3 환경교육계획 430| 6.3 환경영향 및 주변 환경피해 최소화계획 431| 6.3.1 주변 환경피해 최소화계획 431| 6.3.2 환경영향요인별 저감대책 431| 6.4 폐기물 관리계획 432| 6.4.1 폐기물 관리방안 432| 6.4.2 폐기물 처리계획 432| 6.5 예상민원에 대한 대처방안의 적정성 433| 6.5.1 민원관리계획 수립 433| 6.5.2 민원 발생시 처리계획 433|제IX장 사업시행계획 434| 1. 소요사업비 산정 435| 1.1 기본방향 435| 1.2 공사비 총괄 435| 1.3 단계별 투자계획 435| 1.4 재원 조달계획 435|■ 참여기술자 명단 436|■ 첨부 439| 1. 기본설계 지적사항 440| 2. 우선시공분 지적사항 460|

문서 정보

탄천물재생센터고도처리 시설설치사업 실시설계 - 문서정보 : 관리번호, 등록일, 유형, 생산년도, 분야, 지역,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소요예산, 라이센스
관리번호 D0000024077642 등록일 20151103
유형 정책연구자료 생산년도 2009
분야 건설 지역 서울시 전체
원본시스템 기술용역 제공부서 기술심사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임복섭 생산일 2015-10-30
소요예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3.0 마크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