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친구서울

이제 그림을 읽으세요 ‘안데르센 상’ 수상 이수지 작가

문서 본문

한국 최초로 아동문학계 노벨상이라 불리는
‘안데르센 상’을 수상한 이수지 작가를 어린이기자들이 서면으로 만나 보았다.

여름이 온다 책 표지

글의 첫 페이지를 시작할 때 어떤 생각을 하시나요?

항상 시작할 때는 마음이 간질간질해요. 얼른 쓰고 얼른 그리고 싶어서. 내 마음에 품은 것들을 종이 위에 풀어놓고 싶어서 신나지요. 내가 나에게 기대해요. 이번에는 내 속의 어떤 생각들이 어떻게 발전될까? 그게 궁금하고 신나면 계속 그리거나 쓸 수 있어요.

김수인(봉현초 6)

작가님 그림책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그림+책이라는 점이겠죠? 글 없이 오로지 그림만으로 이야기가 전달되는 책이 많아요. 그리고 저는 태블릿도 전자책도 영상도 아닌 ‘종이’에 글과 그림이 인쇄되어 하나로 묶여있는 ‘책’이라는 물건이 할 수 있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아요. 마지막으로, 그림책에서 음악이 흐른다는 특징도 있겠죠?

이지윤(동교초 5)

<여름이 온다>는 글이 거의 없어서 신기했어요. 글을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해 그림을 많이 넣으셨나요?

글을 읽기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한 것도 맞아요. 꼭 글이 없어도 얼마든지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답니다. 우리도 가끔 눈빛만으로 통할 때가 있잖아요?

박우진(공연초 4)

악보를 배경으로 그림책을 쓰셨던데 그림을 그리는 자신만의 비법은 무엇인가요?

저는 음악을 잘 모르지만 좋아해요. 그 좋아하는 마음을 자신 있게 표현하는 것이 저만의 비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오선과 그 위에 얹힌음표가 물방울 같고 또로롱 또로롱 아름답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악보 위에서 천둥이 치고 빗방울이 떨어지고 아이들이 오선에서 뛰노는 것을 그린 책이 <여름이 온다>라는 책이랍니다.

김아윤(송중초 5)

그림책을 더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글씨가 없으면 일단 읽을 게 없죠? 그럼 이제 그림을 읽으세요. 그림을 읽으면 마음속에서 의문이 생겼다가 풀리고 스스로 묻고 답하면서 읽을 때마다 다른 이야기가 생겨날 거예요. 그렇게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

강서현(금양초 3)

<검은 새>에서 저는 검은 새를 친구에게 도움을 주는 아이로 생각했어요. 작가님은 검은 새를 어떤 친구에 비유하고 싶으세요?

말은 별로 없는데 마음이 외로울 때 돌아보면 항상 옆에 있는 친구 있잖아요. 특별히 크게 위로해 주는 것도 아니면서 또 그냥 옆에 있으면 마음이 편해지는 친구랄까요. 저도 누군가에게 그런 친구가 되고 싶어요.

최시아(개운초 4)

<파도야 놀자>에서 아이와 파도가 겁을먹고, 겁을 주는 장면을 어떻게 상상할 수 있었나요?

바닷가에서 사람들을 관찰하며 모든 사람이 파도와 쫓고 쫓기는 놀이를 한다는 것을 알게되어요. 일단은 사람들을, 세계를 관찰하면서 재밌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골라서 나의 경험과 연결해 그 방향으로 나아가 보는 거죠. 상상력은 즐거운 거예요.

안서아(용두초 4)

안데르센 상 수상 작가가 되었을 때 기분을 색깔로 표현한다면 어떤 색일지 궁금해요.

무지개색일 것 같네요. 안데르센 상은 작가의 모든 작품을 보고 심사해서 주는 상이거든요.
여태껏 작업해 온 많은 시간과 여러 사람의 도움이 여러 가지 색처럼 눈앞에 펼쳐지는 것 같았답니다. 하늘에 커다랗게 뜬 무지개를 실제로 보았을 때 기분 알죠? 딱 그 기분이었답니다.

윤여준(북가좌초 5)

그림책 작가로 불리는 이수지 작가의 작품에는 비발디의 사계 중 ‘여름’을 그림으로 옮긴
<여름이 온다>, 소녀가 거울을 마주하며 춤을 추는 <거울 속으로>, 파도와 쫓고 쫓기는 놀이를 하는
<파도야 놀자>, 그림자와 그림자극을 벌이는 <그림자새로운 그림을 그릴 땐 놀이> 등이 있다.

새로운 그림을 그릴 땐 이야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골라 어떤 느낌으로 그릴지 생각해요.

문서 정보

이제 그림을 읽으세요 ‘안데르센 상’ 수상 이수지 작가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친구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이지현 생산일 2022-05-16
관리번호 D0000045391533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