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역사는 보전, 낙후지는 개발 '맞춤형 도시재생'

문서 본문

도심 지역에서 재정비촉진지구에 해당하는 세운 전자상가 일대ⓒ뉴스1

재정비촉진지구에 해당하는 세운 전자상가 일대

서울시가 도심과 광역중심지 내 상업·준주거지역에 대한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역사·문화적 가치는 보전하고, 낙후된 지역은 정비를 확대·강화하는 방향으로 손질했습니다. 한양도성 내 도심지는 재개발 예정구역이 해제되고, 영등포와 여의도 등은 정비사업 예정구역이 확대되는 등 '지역 맞춤형'으로 정비예정구역이 재편됩니다. 그밖에 달라진 도시계획(안)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 파란색 글자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3개 도심과 7개 광역중심 내 상업·준공업지역 도시정비의 기본이 될 법정계획인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도시환경정비사업부문](안)’이 지난 4일 개최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이번 기본계획은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을 과거 전면 철거 위주에서 보전과 개발, 투트랙(two-track) 체제로 전환해 '지역별 차별화 정비' 전략으로 도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것이 기본 방향입니다.

시가 작년 9월 확정한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주거환경정비분야)`이 주거지역 정비에 대한 법정계획이라면 이번 계획은 상업·준공업지역 정비에 대한 법정계획입니다.

이번 계획의 4대 목표에 따라 도심 재생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중심지별 차별화된 육성전략을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

첫째, 정비예정구역을 재정비해 한양도성 도심은 보전하고 영등포, 용산, 청량리, 가산·대림 등 기타 도심은 중심지별로 전략 육성합니다.

이번에 시가 이에 역사문화중심지 보전을 위해 도시환경정비 예정구역에서 해제하는 110만 ㎡ 구역은 ▲익선동·낙원동 일대 ▲인의동·효제동 일대 ▲종로5가 일대 ▲주교동·오장동·충무로5가 일대 ▲DDP 일대 등으로 다양한 역사·문화적 자산이 풍부한 지역들입니다.

70년대 이후로 지난 40여년 간 4대문 안 도심에 대한 정비사업은 전면철거를 통한 낙후된 환경개선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도시의 역사성과 장소성은 사라지고 획일화된 도시공간을 양산한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습니다.

반면,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준공업지역 등 낙후된 지역의 정비예정구역은 확대합니다. ▲영등포 대선제분공장 일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삼각맨션부지 ▲서대문 충현동 일대 등 이번에 우선 확대되는 정비예정구역 4곳은 기본계획 수립 고시 이후 정비사업이 추진됩니다.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② 역사문화 보전과 도시재생을 통한 '도심 활성화'

둘째, 도심지역 내 신축 건물은 내사산 경관차단 및 인근 건축물과의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역사도심기본계획’을 반영, 최고 높이가 내사산 높이(90m)를 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합니다.

또한, 도심 활성화를 위해 쉐어하우스, 레지던스, 소호(SOHO, Small Office Home Office) 같은 다양한 유형의 도심형 주거 공급을 유도하고, 도로 다이어트, 건물 전면 활성화 등을 통해 보행인구를 확대합니다.

아울러, 사업추진 과정에서 매장 문화재가 발견될 경우를 대비해 '문화재 보존 대응 절차'를 마련, 문화재를 보전하면서도 사업지연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계획입니다. ☞ 공평동 `보존형 정비사업` 사례

③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재생 유도'

셋째, 지역 특성을 살리는 맞춤형 정비를 위해 정비방식의 개념과 용어를 새롭게 정립하고, 한 구역 내에서 여러 정비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혼합형 정비방식'을 도입합니다.

재개발 구역 내 위치하고 있어 철거 위기에 있는 YMCA, 성남교회, 대한체육회관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근·현대 건축자산이 위치한 지역의 경우, '보전 정비형 지구'로 지정해 건물을 보전하면서 정비되도록 유도합니다.

보존정비방식 도입이 가능한 근대건축물 → 보전형 정비 방식 적용 사례

보존정비방식 도입이 가능한 근대건축물 → 보전형 정비 방식 적용 사례

④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계획기준' 제시

마지막으로, 건물을 신축할 때 친환경 건물, 실내형 공개공지, 홍수·화재 예방시설 등을 도입할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기후 등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준도 제시했습니다.

서울시는 이와 같이 확정된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공람한 후 7월 중 고시할 예정이며, 정비구역 지정 등은 고시 이후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확정으로 2030서울플랜 등 그동안 서울시가 내놓은 여러 도시관리 정책들이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게 됐다”며 “기본계획을 통해 보존할 곳은 확실히 보존하고 개발이 꼭 필요한 곳은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 서울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25도시환경정비 기본계획 기자설명회 영상 보러가기

문의 : 도시활성화과 02-2133-4635

문서 정보

역사는 보전, 낙후지는 개발 '맞춤형 도시재생'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6-05-09
관리번호 D0000026064650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