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2단계 추진

문서 본문

전경ⓒ뉴시스

서울시가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을 추진합니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 마중물사업에 4~5년에 걸쳐 100~500억 원의 공공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시는 이번에 처음으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에 앞서 약 1년간의 ‘사전 준비단계’를 도입해 주민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13곳의 `서울형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첫 선정했지만, 주민의 자발적 공감대나 추진역량이 성숙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다소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12월 도시재생 법정계획인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통해 준비단계를 새롭게 도입하고 ‘시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준비→계획→실행→자력재생)를 시작합니다.

주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주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2025 서울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대상지 선정은 도시재생 파급 범위에 따라 ▲경제기반형(광역차원)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도심활성화거점) ▲근린재생 일반형(노후 저층주거지) 등 3개 유형으로 구분해 이뤄집니다.

구분 경제기반형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근린재생 일반형
계획방향 새로운 경제기능 도입,
기존기능의 경쟁력 강화
업무, 상업, 역사, 문화,
관광 등 중심시가지 활성화
주거개선 및 골목상권 활성화,
지역 공동체 회복
지역특성 도시 및 국가 차원의 이전부지,
철도시설 등 핵심시설과 주변지역
도심지역의 재활성화 및
지역 중심으로 잠재력 있는 지역
인구감소 등으로 쇠퇴하나,
문화 등 잠재력이 있는 지역
마중물 예산 상한 500억 200억 100억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은 광역 차원의 신경제거점 형성, 도심 활성화 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이 각각 대상입니다. 유사한 개념이지만 ‘경제기반형’이 미치는 파급력이 더 광범위합니다. 오는 4월부터 자치구의 제안을 받아 심사위원회를 통해 후보지를 확정하고, 이후 시민 아이디어 공모 등 공론화 과정(사전 준비단계에 해당)을 거쳐 도시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사전에 형성할 계획입니다.

‘근린재생 일반형’은 쇠퇴했지만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주거지역 및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선정합니다. 주민 공모를 통해 희망지를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가동한 후 주민역량이 갖춰진 대상지를 최종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내년 상반기)할 계획입니다.

근린재생형 희망지 추진일정

근린재생형 희망지 추진일정

아울러, 원활한 준비단계 추진을 위해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 중간지원조직과 지역활동가, 행정과의 민관 협치체계를 구축하여 희망지 사업 초기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종합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한 공동체전문가, 지역활동가 등의 역량강화를 위해 재생활동가 100명 양성을 목표로 포럼을 구성·운영하고 주민과 함께 현장 속에서 역량강화 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입니다.

올해 이러한 준비단계(공론화과정, 희망지 사업)를 거쳐 신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2017년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을 통해 확정됩니다.

한편 시는 오는 28일,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과 관련해 25개 자치구 통합 설명회를 개최해 세부내용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서울형 도시재생의 틀이 마련되고, 활성화지역 지정 이전부터 도새재생에 대한 공감대형성 및 주민역량강화가 이루어지면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지역 활성화도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문의
○ 경제기반형, 근린재생 중심시자기형 : 재생정책과 02-2133-8620, 8623
○ 근린재생 일반형 : 주거재생과 02-2133-7617, 1585

문서 정보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2단계 추진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6-01-21
관리번호 D000002491944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