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기회의 땅' 준공업지역, '맞춤형 재생'으로 재정비

문서 본문

영등포구 문래동 철강거리 일대ⓒ뉴시스

영등포구 문래동 철강거리 일대

온수산업단지, G밸리, 문래동, 성수동… 이 장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과거 70년대 서울의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준공업지역’들입니다. 서울시 전체 면적의 3.3%에 불과한 작은 규모지만, 업무기능부터 주거·상업기능까지 폭 넓은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복합공간입니다.
서울시민의 일터이자 삶터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이곳이 최근 산업기반의 쇠퇴와 노후화로 인해 재정비가 요구되고 있는데요. 이에 서울시는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도시재생을 추진해 다시금 서울시의 신성장 동력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내용의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기회의 땅이 될 ‘준공업지역’의 새로운 모습, 궁금하시죠? 지금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서울시 내 ‘준공업지역’ 각 장소별 맞춤형 재생
- 7개 자치구 총 19.98㎢ 대상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案)> 마련
- 기존 산업 유지·강화, 신규 산업 유치, 주거지 재생… 지역경제 활력, 일자리 창출
- 지역별 특성 고려, 산업거점지역, 주거산업혼재지역 등 4개 유형으로 맞춤형 재생 가이드라인 제시
- 시민 대토론회 등 거쳐 12월 중 확정, 관련 법·제도 정비 후 2016년 본격 시행

서울시가 7개 자치구 총 19.98㎢에 지정된 준공업지역을 서울의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기회의 땅으로 재도약시키기 위해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여기에서 '준공업지역'이란 공업지역의 하나로 “경공업과 그 밖의 공업을 수용하되 주거기능·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보완이 필요한 지역”을 말하며, 서울에는 영등포, 구로, 금천, 성동, 도봉, 강서, 양천 등 7개 자치구 내 일부지역이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준공업지역은 서울시 일자리의 10.3%, 특히 제조업(32.6%)과 첨단산업(30.4%)이 집적된 경제핵심지이자, 대규모 부지가 비교적 많아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들도 제조업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공업지역을 재생시켜 도시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 준공업지역 4대 재생유형

지역 특성 준공업지역 내 비율
(100%)
재생 유형 재생 방향
산업거점지역 (향후 선정) 전략재생형 지역의 산업특성과 연계한 새로운 복합거점으로 육성
주거산업혼재지역 30.7% 산업재생형 산업과 주거의 공생공간 창출
주거기능밀집지역 46.9% 주거재생형 직주근접형 주거공간으로 재생
산업단지 22.4% 산업단지 재생형 일자리 거점으로 혁신

이에 시는 각 준공업지역의 물리적·산업적 특성에 따라 ▲전략재생형 ▲산업재생형 ▲주거재생형 ▲산업단지 재생형 등 4개의 재생유형으로 구분하고, 맞춤형 재생 방향을 제시합니다. 각 재생유형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전략재생형 재생방안

준공업지역 중 지역중심지로 기능강화가 필요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해 산업거점지역으로 육성하는 방안입니다. 이 지역의 경우, 용적률 상향(400%→480%) 등의 재생기준 개선과 SH공사의 사업 참여 추진으로 사업실현성을 높입니다. 강서권역, 구로권역, 영등포권역, 금천권역 등 서남권 지역이 이 유형에 해당됩니다.

② 산업재생형 재생방안

공장비율이 10% 이상을 차지하고, 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한 지역이 대상입니다. 이 지역은 정비대상을 현재 대규모 부지(1만 ㎡ 이상)에서 중소규모 부지(3,000㎡ 이상~1만 ㎡ 미만)까지 확대하고,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재생방식을 적용합니다. 성수동과 문래동 일대 등의 지역이 이에 해당됩니다.

산업재생형 재생방안 개요

산업재생형 재생방안 개요

③ 주거재생형 재생방안

공장비율이 10% 미만인 주거화 된 지역이 대상이며, 주거지역에 준하는 재생방안(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주거환경관리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을 확대 적용합니다. 또, 역세권에 임대주택이나 기숙사를 건축하는 경우 용적률을 400%(현재 250% 이하)까지 완화합니다. 특히, 이번 주거재생형은 개발시대에 간과됐던 준공업지역 내 주거지에 대한 구체적인 첫 재생방안으로, 그동안 노후되고 열악했던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영등포구 당산동 일부와 고척동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주거재생형 재생방안 개요

주거재생형 재생방안 개요

④ 산업단지 재생형

준공한지 40년 이상 경과한 G밸리, 온수산업단지는 단지별 특성에 따른 재생 가이드라인을 통해 일자리 거점으로 혁신합니다. G밸리는 전략거점과 특화가로를 조성해 창조경제 중심의 융복합 산업거점을 만들고, 온수산업단지는 토착제조업의 지원 및 육성과 점진적 고도화를 함께 추진하는 식입니다.

전략/선도/보호산업 선정(안)(☞이미지 클릭 크게보기)

전략/선도/보호산업 선정(안)(☞이미지 클릭 크게보기)

한편, 시는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만 6,113개 필지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와 1,918개 업체 관계자를 방문해 실시한 심층면접조사 등을 통해 준공업지역의 실태를 진단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 전문가와 시·구 공무원 등이 참여해 58차례의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습니다.

이번 방안은 오는 15일과 22일 두 차례의 ‘시민 대토론회’와 ‘관련 공무원 토론회’ 등을 거쳐 올해 12월 중 확정되고, 시 계획조례 등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2016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시는 이번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통해 ▲4만 6,000개 일자리 창출 ▲연면적 기준 약 10만 ㎡ 임대산업시설 확보 ▲청년주택 약 2,700호 공급 등의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준공업지역은 서울의 3.3%에 불과한 작은 지역이지만, 서울의 미래를 품고 있는 원석 같은 존재”라며 “이번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통해 준공업지역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미래 서울의 다이아몬드로 연마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문서 정보

'기회의 땅' 준공업지역, '맞춤형 재생'으로 재정비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5-10-13
관리번호 D0000023836927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