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해외 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 매주 공개…시민 안전 확보

문서 본문

서울시는 매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의 안전성 검사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는 매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의 안전성 검사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소비자 안전과 함께 국내 중소제조업 보호 나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제품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4월 8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은 품목을 매주 선정해 안전성 검사 실시 후 결과를 시민에게 공개하고 있다.

그간 5차례에 걸쳐 78개 제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했고 이 중 31개 제품(39.7%)에서 유해성이 확인되었으며, 어린이 점토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CMIT(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와 MIT(메틸이소치아졸리논) 성분이 검출되기도 했다.

해외 구매 품목 안전성 검사 결과
4.8.(1차) 4.26.(2차) 5.2.(3차) 5.9.(4차) 5.16.(5차)
31개 중 치발기 등 어린이제품· 생활용품 8개 22개 중 신발 장식품 등 기타어린이제품 11개 9개 중 어린이 점토 등 완구·학용품 5개 9개 중 슬라임 등 완구·학용품 5개 7개 중 머리띠·시계 2개
※ 78개 중 31개 유해성 확인

안전성 검사는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가 많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가기술표준원 인증기관에서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 → 분야별정보 → 경제 → 소상공인 지원 → 공정경제 사업 → 소비자권익보호 페이지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에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 안전성 조사 부적합 제품 결과

또한, 해외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불만 사항은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2133-4896) 또는 120 다산콜로 전화 상담하거나 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시 소재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는 어린이제품 KC 인증 비용을 100% 지원키로 했다. 또 정부 부처간 과도하고 중복적인 안전성 검사에서 오는 행정의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해 관세청과 협의하여 검사대상?검사 시기 등 안전성 검사계획을 사전 공유하는 등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 안전성 검사결과 확인

서울시 누리집 → 분야별정보 → 경제 → 소상공인 지원 → 공정경제 사업 → 소비자권익보호 페이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
☞해외 온라인 플랫폼 안전성 조사 부적합 제품 결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피해 신고센터

○ 위치 : 서울시청 서소문 1청사 14층(전자상거래 센터 내)
○ 문의 : 2133-4896

문서 정보

해외 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 결과 매주 공개…시민 안전 확보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24-05-21
관리번호 D0000050818437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