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늦여름의 산행

문서 본문

한쪽으로 기울은 커다란 사모바위는 자연의 신비를 느끼게 해준다

[서울톡톡] 서울 시민이라면 한 번쯤 가봤을 것만 같은 곳. 바쁜 일상 속에 문득 고개를 들고 바라보면 답답했던 마음에 시원한 바람이 부는 듯한 느낌을 주는 공간. 설사 가보지 못했더라도 마음 한 구석에 늘 청정하게 서있는 산이 바로 북한산(옛 이름 삼각산)이다. 해발 836m의 아주 높은 산은 아니지만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수도 서울의 상징이자 수호신으로 우리 민족의 정신세계에 깊숙하게 자리하고 있다. 예로부터 금강산·지리산·묘향산·백두산과 함께 '오악'에 드는 명산으로 꼽혔다. 따가운 햇살아래 살랑살랑 불어오는 선선한 산바람이 불어와 좋은 늦여름날의 산행을 북한산에서 즐겨 보았다.

비봉능선을 향해 오르막 숲길을 열심히 오르는 시민들

서울의 진산답게 북한산엔 여러 산행 코스와 들머리가 있어 좋다. 그 가운데 신라 진흥왕 순수비로 유명한 비봉 능선 코스를 걸어 보았다. '구기동 이북5도청~금선사~비봉~사모바위~대남문~구기동 구기계곡'으로 내려오는 원점회귀 산행코스로(역순으로도 가능) 나무들 울창한 숲길, 장대하고 멋진 바위들이 펼쳐진 암릉길, 맑고 청정한 물이 흘러내리는 계곡길 등 북한산의 진면목을 감상하며 흥미진진한 산행을 즐길 수 있는 북한산길이다. 그렇다고 암벽을 타야하는 험준한 산길은 아니라서 등산 초보자나 남녀노소 누구나 걷기 좋다. 중간에 쉼터이자 약수터이기도 한 운치있고 오래된 산속 사찰은 북한산의 선물같은 존재다. 산행길은 약 7.5km의 거리로 4시간 정도 걸린다.

북한산의 서남쪽 지릉에 해당하는 비봉능선은 다른 능선에 비해 덜 붐비는 편이라 비교적 한갓진 산행을 할 수 있다. 가을장마로 심심치않게 비가 내리더니 이북5도청 앞에서 비봉탐방지원센터를 지나 금선사를 향해 걷는 오르막길 옆으로 이어진 개울물이 청명하고 시원하게 흐른다. 맑은 개울물을 그냥 지나치지 못한 어린이를 동반한 산행 가족들은 물속에 뛰어들어 신나게 물장구치며 노느라 산행을 잊은 듯싶다. 북한산속의 옛 고승들이 수도를 했다는 커다란 바윗돌 속의 깊은 굴 '목정굴(木精窟)'을 지나면 숲속의 사찰 '금선사'가 등산객을 반겨준다. 일주문 입구에서 산의 계곡을 따라 이어져 자리한 사찰이라, 약숫물로 물통을 채우며 절 구경하는 것도 흥미롭다. 고양이 몇 마리가 스님처럼 여유롭게 경내를 돌아다니는 풍경도 이채로웠다.

계곡을 따라 길게 이어진 이채로운 사찰 금선사, 금선사 사찰을 스님처럼 여유로이 돌아다니는 고양이들

울창한 숲속의 몇몇 나무들이 웬 붕대를 칭칭 감고 서있다. 알고보니 요즘 상수리 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과의 나무들이 '참나무 시들음병'으로 고생하고 있어 그 대책으로 북한산국립공원에서 이렇게 붕대를 감아놓았다고 한다. 숲속 동물들에게 맛난 도토리를 제공하는 참나무가 그런 병에 걸리다니 나무도 나무지만 다람쥐, 청설모 같은 산짐승들이 배를 곯것 같아 안됐다.

자주 산행을 하진 않다보니 헉헉~ 숨찬 소리를 내며 오르막 숲속 산길을 오르다보면 비로소 비봉 능선에 닿게 되고 이때부터 족두리봉, 비봉, 사모바위 등 멋들어진 바윗돌 암릉이 펼쳐진 평탄한 산길이 시작된다. 북한산 비봉의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년)이 세운 순수척경비(巡狩拓境碑) 가운데 하나로, 한강 유역을 신라 영토로 편입한 뒤 진흥왕이 이 지역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주변 조망이 멋진 명당자리의 비봉(돌기둥 碑, 봉우리 峰)은 정말 진흥왕이 순수비를 세울만 했다. 그래서인지 중턱까지 올라간 기자와 달리 비석이 있는 전망좋은 비봉 꼭대기까지 무서움을 무릎쓰고 올라가 기념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많다. 진흥왕 순수비의 원형은 안전한 보존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고 한다.

갖가지 모양의 암름위를 걷는 기분이 특별하다

갖가지 모양의 암릉위를 걸으며 비봉을 지나면 신기하게 한쪽으로 기운 재미있는 모양의 사모바위가 나타난다. 저 커다란 바위가 갸우뚱 위태롭게 서있게된 자연의 조화가 궁금하게 하는 자태의 바위다. 이 바위는 옛날 남자들의 혼례식때 머리에 쓰던 사모(私募)처럼 생겨 그런 이름이 붙었다한다. 사모바위에서도 저멀리 최고봉인 백운대, 만경대(일명 국망봉), 인수봉 등 북한산의 봉우리과 능선이 펼쳐져 장관을 보여준다. 이 대표적인 세 봉우리를 일컬어 북한산은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렸던 산이었다. 강북구청은 북한산이 일제 강점기 때 붙여진 이름이라며 삼각산으로 부르자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

사모바위가 자리한 평평한 지대는 비봉능선의 백미로, 주변 풍광까지 좋아 많은 등산객들이 자리를 펴고 앉아 간식을 먹고 담소를 나누며 쉬어가는 곳이기도 하다. 비봉능선길엔 이외에도 바위가 만들어낸 자연돌문도 빼놓을 수 없다. 이 돌문을 통과하면 또 새로운 풍경의 세계가 펼쳐질 것만 같다. 오랜 세월을 거치며 비바람에 의해 기기묘묘하게 형성된 크고 작은 암봉, 암벽, 암석들이 저마다의 특색을 자랑하고 있어 산행의 즐거움을 더해주었다.

북한산성의 남쪽 대문 `대남문`은 산행 쉼터이기도 하다

북한산에 있는 북한산성의 남쪽 대문 '대남문'을 향해 걷다보면 청수암문이 먼저 나타난다. 암문(暗門)은 말그대로 산성 성곽 후미진 곳이나 깊숙한 곳에 적이 알지 못하게 만든 비밀 출입구로, 군사들과 주민들이 이용하던 토끼굴 같은 작은 문이다. 북한산성 성터엔 인조임금이 청나라의 침략에 피난을 갔던 남한산성과 달리 행궁이나 유물 같은 것들이 다 사라지고 터만 남아있어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게 했다.

구기계곡 하산길에 TV로만 보았던 멧돼지를 3마리나 보게 되었다

대남문에서 잠시 쉬며 또 다른 풍경의 북한산 주변을 감상하다가 성문 밖으로 이어진 구기계곡으로 내려오면 이제 하산길이다. 여름장마는 끝났지만 심심치 않게 비가 내린 덕분에 물이 콸콸~ 속시원한 소리를 내며 흐르는 숲속의 구기계곡길은 무릉도원이 따로 없었다. 구기계곡에서 더 놀라웠던건 멧돼지를 그것도 3마리나 보게 된 것. TV에서나 보았던 멧돼지는 탄탄한 몸매, 산비탈에서도 재빠른 동작, 단단해 보이는 긴 주둥이. 한 눈에 봐도 강한 생존력이 느껴졌다. 산 들머리에 '멧돼지 조심'이라고 써있는 현수막이 과장이 아니었다. 참고로 현수막에 써있는 멧돼지 주의사항이 요긴할 것 같아 공유해본다.

- 새끼를 동반한 멧돼지를 자극하지 마세요.
- 멧돼지에 돌을 던지거나 비명을 지르지 마세요.
- 갑자기 등을 보이고 뛰어가지 마세요.
- 샛길은 위험하니 탐방로를 이용하세요.

■ 교통편
○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로 나와 0212번 버스 - 종점인 구기동 이북5도청 하차.
○ 3·6호선 불광역 2번 출구로 나와 7211번 버스 - 구기삼거리에서 하차해 10분쯤 오르면
이북5도청이다

간편구독 신청하기 친구에게 구독 권유하기

문서 정보

늦여름의 산행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시민기자 김종성 생산일 2014-08-28
관리번호 D0000041753794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