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재문서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계획 보고

문서번호 토목부-8034 결재일자 2025. 4. 30. 공개여부 부분공개(5) 방침번호 시 민 주무관 토목설계과장 토목부장 시설국장 도시기반시설본부장 장현철 박형재 이동훈 진경식 04/30 안대희 협 조 도시철도국장 최병훈 총무부장 정덕영 건축부장 소영수 방재시설부장 이승우 도시철도사업부장 이철 도시철도토목부장 이재혁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계획 보고 2025. 4. 도시기반시설본부 ( 토 목 부 ) ☞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 ■ ’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 비고 : 필요시 검토내용 기재) 구 분 사전 검토항목 점검 사항 검토완료 해당없음 비 고 일반사항 정책일반 ◆ 제반 법규와 실태, 실제 현장의 의견 등을 검토하였습니까? (법령, 규칙, 통계·빅데이터, 시민의견 등) ■ □ ◆ 정책(사업) 집행의 직·간접적 영향 및 효과성을 분석하였습니까?(갈등, 약자, 일자리, 안전, 탄소 감축 등) ※ 약자 : 하단 세부 검토항목 점검 ■ □ ◆ 정책·계획·전시물·홍보물 등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습니까? □ ■ ◆ 불필요한 외국어·외래어 표현 대신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였습니까? ■ □ ◆ 정책·계획 등의 지속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까?(경제·사회·환경 등) □ ■ 약자와의 동행 목적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가? □ ■ ◆ 주거, 생계, 의료, 교육, 기타 분야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 ■ ◆ 단순지원 사업과 사다리지원 사업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단순 : 어려움 즉시 개선 / 사다리 : 계층 상향 또는 안정 유도) □ ■ ◆ 경제적으로 취약한 약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약자를 배려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였는가? ■ □ 계획수립 ◆ 사업 대상자가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업을 구성하였는가? ■ □ 집행·홍보 ◆ 집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을 고려하였는가?(‘약자’ 낙인효과, 역차별 등) □ ■ ◆ 사업 대상자에게 적절한 홍보 수단을 채택하였는가? ■ □ 평가·환류 ◆ 사업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산출, 과정, 성과 등)는 마련하였는가? 아닐 경우,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대체·보완 수단이 존재하는가? ■ □ 목 차 1 추진근거 및 추진경위 1 2 시범운영 현황 및 시스템 개요 2 3 본부 외국인 근로자 현황 3 4 시범현장 모니터링 및 의견수렴 검토 4 5 확대시행을 위한 보완사항 개선 5 6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방안 7 7 행정사항 및 향후계획 9 붙임 1.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현황 2. 시범현장 모니터링 결과 3. 다국어 통역시스템 개선내용 회신 공문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계획 보고 토목부장:이동훈☎6438-2108 토목설계과장:박형재☎2150 담당:장현철☎2151 '24. 10월부터 본부 건설공사장 4개 현장에서 시범운영중인「다국어 통역시스템」의 확대시행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관리 강화 및 시공품질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자 함 1 추진근거 및 추진경위 □ 추진근거 ㅇ 산업안전보건법 제67조[건설공사발주자의 산업재해 예방조치] ㅇ 통역시스템 시범운영 계획 보고[본부장 방침(토목부-18340, '24.9.23.)] - 시범운영 실시 후 본부 건설공사장 확대적용 검토 □ 추진경위 ㅇ '24.09.23. : 통역시스템 시범운영 계획 수립 ㅇ '24.10. : 통역시스템 시범운영 실시 ㅇ '24.11. : 시범현장 1차 모니터링(설문조사) 실시 ㅇ '24.11.13. : 행정사무감사(현장확인감사) 보고 및 시연 ㅇ '25.02.12. : 시범현장 관계자 의견수렴 및 실무검토 회의 ㅇ '25.02. : 시범현장 2차 모니터링(설문조사) 실시 ㅇ '25.04.03. : 통역시스템 시범운영 모니터링에 따른 보완요청 ㅇ '25.04.05. : 통역시스템 보완요청사항 개선내용 회신 2 시범운영 현황 및 시스템 개요 □ 시범운영 현황 ㅇ 대 상 : 양재대로 구조개선공사 외 3개 건설공사장 - 양재대로 구조개선공사, 국회대로 지하차도 2단계 1공구, 동북선 4공구, 진접선 차량기지 2공구 ㅇ 기 간 : '24. 10월 ~ 확대시행 계획 수립시까지 ************************************************* ********************************* ************** ************************************************* ******** **************************************************************************** ********************************************* ***************************** ************************************************************************************************************************************************************************************** 3 본부 외국인 근로자 현황 □ 외국인 근로자 전체 현황 ㅇ '25. 4월 현재 본부 건설공사장의 외국인 근로자는 1,005명으로 총 근로자(4,531명)의 22% 차지 ㅇ 시범계획 수립 시('24. 9.)에 비해 외국인 근로자 인원 및 비율 증가 - 조사 시기별로 공정 추진상황 등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 인원 수 상이 【 본부 건설공사장 근로자 현황 】 구분 시범계획('24. 9.) 현재 기준('25. 4.) 증·감 비고 총 근로자 2,379명(100%) 4,531명(100%) 증 2,152명 내국인 1,928명(81%) 3,526명(78%) 증 1,598명 외국인 인 원 451명(19%) 1,005명(22%) 증 554명 현장수 30개 현장 39개 현장 증 9개 현장 □ 국적별 상세 현황 ㅇ '25. 4월 현재 외국인 근로자 출신국적 현황조사 결과 총 9개국으로 대부분 태국·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및 중국 출신임 - 외국인 근로자 중 동남아시아 출신 65%, 중국 출신 34% 차지 【 외국인 근로자 국적별 현황 】 구 분 계 중국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기타 시범계획 ('24. 9.) 451명 (100%) 76명 (17%) 248명 (55%) 50명 (11%) 71명 (16%) 3명 (0.5%) 3명1) (0.5%) 현재 기준 ('25. 4.) 1,005명 (100%) 340명 (34%) 299명 (30%) 150명 (15%) 128명 (13%) 75명 (7%) 13명2) (1%) ※ 1) 기타('24.9.) : 스리랑카 3 ※ 2) 기타('25.4.) : 튀르키예 1, 우즈벡키스탄 6, 러시아 4, 카자흐스탄 2 4 시범현장 모니터링 및 의견수렴 검토 □ 시범현장 모니터링 현황 ㅇ 모니터링 개요 - 조사시기 : 2024. 11. 6. ~ 7.(1차) / 2025. 2. 16. ~ 21.(2차) - 조사방법 : 시범현장 외국인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조사 - 응 답 자 : 총 79명(1차 35명, 2차 44명) 구분 합계(명) 태국(명) 캄보디아(명) 미얀마(명) 비 고 계 79 32 25 22 1차 35 9 13 13 2차 44 23 12 9 ********** ******************************************** **************************************** *************************************** □ 시범현장 관계자 의견수렴 회의 개최결과 ㅇ 일 시 : '25. 2. 12.(수) 14:00 / 도시기반시설본부 12층 회의실 ㅇ 참석자 : 시범현장 공사관리관 및 현장관계자 9명 ******** *********************************** ****************************************** ************************************ □ 모니터링 및 의견수렴 검토 결과 ㅇ 다국어 통역시스템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 만족도는 우수한 편이나 ㅇ 건설용어 통역오류 개선 및 현장소음 간섭 방지, 일부 시스템 보완 필요 다국어 통역시스템의 확대시행을 위하여 보완사항 개선 필요 5 확대시행을 위한 보완사항 개선 □ 다국어 통역시스템 주요 개선내용 ㅇ 시범현장 모니터링 결과 및 현장의견을 반영한 보완사항 발굴 ㅇ 다국어 통역시스템 개발사 협의 및 보완요청 등을 통한 개선방안 마련 【 주요 보완사항 및 개선내용 】 시범운영 결과 주요 보완요청사항 ? 개 선 내 용 ① 전문 건설용어의 통·번역 정확도 향상 ② 통역 중 현장소음 간섭 배제 ③ 문서 번역 및 전달기능 추가 ④ 통역기록 저장 및 복사기능 필요 ① 전문 건설용어에 대한 다국어 DB 구축 ② 골전도 헤드셋을 통한 소음간섭 최소화 ③ 문서 번역 및 전달기능 도입 ④ 통역기록 저장 및 복사기능 추가 □ 세부 적용사항 ① 전문 건설용어에 대한 다국어 DB 구축 - 건설 전문용어 약 9,000건에 대한 다국어 DB 구축 완료(도시기반시설본부‘건설공사장 안전관리지침’활용) - 단순 문장직역이 아닌 용어의미 기반 다국어 매칭 AI 알고리즘 적용 ※ 태국, 중국 등 본부 외국인 근로자 주요 국가언어에 대한 통·번역 우선 적용 ********************************************************************************************************************************************************************************************************************************************************************************************************************************************************************************************************************************************************************************************************************************************************************************************************************************************************************************************************************************************************************************************************************************************************************************************************************************************************************************************************************************************************************************************************************************************************************************************************************************************************************************************************************************************* ② 골전도 헤드셋을 통한 소음간섭 최소화 - 음성인식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골전도(Bone Conduction) 헤드셋(발화자용)’도입 - 통역시스템과 연계한‘골전도(Bone Conduction) 헤드셋’사용 시 주변 현장소음 간섭 최소화 ***************** ************************************************************************************************************************************************************** ③ 문서자료 번역 및 전달기능 도입 - 작업지시서 및 안전교육 자료(PDF, 엑셀) 등 업로드 및 다운로드 기능 도입 - 등록 자료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 모국어로 전달 ***************************** ********************************************************************************************** ④ 통역기록 저장 및 복사기능 추가 - 통역기록 실시간 저장(PDF) 및 다운로드 기능 추가(음성→Text 실시간 변환) ※ 요일별 저장기능 추가로 과거 통역기록 확인 가능 - 저장기능을 활용하여 One-PMIS 등 외부 시스템 첨부 및 공유 가능 6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방안 【 추 진 방 향 】 ◈ 실효성있는 다국어 통역시스템 운영을 통한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의사소통체계 확립 및 안전관리 강화 다국어 통역시스템 적용현장 대상기준 마련 조기정착 유도 및 운영효율 제고 방안 수립 다국어 통역시스템 적용현장 대상기준 마련 ㅇ 의무대상 : 2개 국적 이상 또는 1개 국적 10명 이상 외국인 근로자 투입 현장 - 적용현장('25. 4월 기준) : 본부 건설공사장 총 57개 중 21개 현장 **************************************************************************************************************************************************************************************************************************************************************************************************************************************************************************************************************************************************************************************************************************************************************************************************************************************************************************************************************************************************************************************************************************************************************************************************************** ㅇ 의무 미대상 : 다음 조건 해당 시 다국어 통역시스템 도입 가능 ? 신규 인력투입에 따라 2개국 이상 또는 10명 이상 외국인 근로자 작업 시 ? 기존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사용능력 고려 시 필요한 경우 등 ㅇ 현장적용 시 고려사항 - 다국어 통역시스템 현장투입 시 구매일로부터 1년 의무사용(1년 단위 사용라이센스 구매 방식) - 공사규모 등 현장여건에 따라 비콘 수량 일부 상이 가능 조기정착 유도 및 운영효율 제고 방안 수립 ㅇ 다국어 통역시스템 사용에 따른 통역기록 One-PMIS 등록 - TBM(Tool Box Meeting) 및 안전교육사항 등 다국어 통역시스템을 통한 외국인 근로자 지시·전달내용 기록보관 - 통역기록 저장기능(PDF)을 활용하여 One-PMIS의‘작업일보’등록 시 첨부 ※ 향후 One-PMIS 시스템 개편을 통해 통역기록 별도 저장위치 신설 검토 ㅇ 주기적 모니터링 및 이행실태 확인 등 실효성 제고 - 연 2회(상·하반기) 모니터링 추진을 통해 만족도 조사 및 현장의견 수렴 - 현장별 다국어 통역시스템 사용실태 확인을 통해 추가 개선방안 마련 ㅇ 다국어 통역시스템 운영 교육 실시 구 분 사전 교육(1차) 현장별 맞춤교육(2차) 비고 대 상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대상 21개 현장 시 기 통역시스템 현장투입 전 ('25. 5월 중) 통역시스템 현장투입 이후 (현장별 일정 조율) 장 소 도시기반시설본부(집합) 확대시행 현장(방문) 내 용 시스템 개요 및 사용방법 등 현장별 효율적 운영방안 등 ※ 추가 확대시행 현장 발생 시 별도교육 추진 7 행정사항 및 향후계획 ******************* ******************************************************* *********************************************** ㅇ 예산 집행방법 ① 안전관리비(건설기술진흥법) 예산 활용(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제5항라목 적용) ※ 민자사업의 경우 향후 총사업비 변경을 통해 안전관리비로 계상 ② 시설비 예산을 활용하여 관급구매(조달구매) 후 현장 지급 □ 업무분장사항 부서 추진업무 비고 총무부 · One-PMIS 통역기록 저장 위치 신설 검토 토목부 · 통역시스템 구매 예산 검토 및 집행 · 모니터링 및 이행실태 확인, 교육 추진 토목부 현장 확대시행 현장 확대시행 현장 발주부서 · 통역시스템 구매 예산 검토 및 집행 · 현장 사용여부 수시확인 및 현장의견 수렴·제출 각 부서 해당현장 □ 향후계획 ㅇ '25. 05. : 현장별 다국어 통역시스템 구매 및 예산집행 ※ 비콘수량 산정 등을 위하여 시스템 업체 현장방문 예정 ㅇ '25. 05. : 다국어 통역시스템 운영 교육(확대시행 21개 현장) ㅇ '25. 10. : 외국인 근로자 대상 모니터링 및 이행실태 확인 붙임 1.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근무현황 1부. 2. 시범현장 모니터링 결과 1부. 3. 다국어 통역시스템 개선내용 회신 공문 1부. 끝.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첨부된 문서

  • 결재문서본문.hwpx (251.52 KB)

      PDF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

  • 1.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현황.xlsx

    비공개 문서

  • 2. 다국어 통역시스템 시범현장 모니터링 결과.hwpx

    비공개 문서

  • 3. 다국어 통역시스템 시범운영 결과 개선내용 회신 공문.pdf

    비공개 문서

문서 정보

본부 건설공사장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다국어 통역시스템 확대시행 계획 보고 - 문서정보 : 기관명, 부서명, 문서번호, 생산일자, 공개구분, 보존기간, 작성자(전화번호), 관리번호, 분류정보
기관명 서울시 부서명 도시기반시설본부 시설국 토목부
문서번호 토목부-8034 생산일자 2025-04-30
공개구분 부분공개 보존기간 3년
작성자(전화번호) 장현철 (02-6438-2151) 관리번호 D0000053355597
분류정보 행정 > 일반행정지원 > 과공통일반사무 > 일반관리(서무) > 일반업무관리같은 분류 문서보기
이용조건Creative Comoons License(저작자표시-변경금지) 3.0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