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천천히 사색하기 좋은 산책길, 성북동 역사문화마을

문서 본문

가을이 무르익는 길상사 내 주변 풍경 ⓒ김영주

가을이 무르익는 길상사 내 주변 풍경 ⓒ김영주

곱게 물들어가는 가을 단풍과 가장 잘 어울리는 도심 여행지, 역사문화마을 성북동으로 향했다. 가장 먼저 도착한 곳은 길상사다. 본래 그 모습만으로도 멋있는 길상사의 가을은 붉은 단풍으로 물들며 한층 화려해 진 모습다. '길상사'라는 이름의 절은 전국에 산재해 있다고 하는데, 성북구에 위치한 길상사가 가장 유명하다고 한다. 평일 오후라 그런지 사람이 별로 없어 조용했다. 주변 경관이 너무 아름다워 그냥 아무 곳이나 사진을 찍어도 그림이다.

이태준 가옥은 현재 후손들이 '수연산방'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찻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김영주

이태준 가옥은 현재 후손들이 '수연산방'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찻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김영주

이태준 가옥으로 향했다. 이태준은 1904년에 태어난 소설가이며 1925년 조선문단에 <오몽녀>로 작품활동 시작을 시작했고 외에도 <행복> <그림자> <온실화초> <누이> 등 수많은 작품을 집필했다. 현재 이태준 가옥은 그 후손들이 '수연산방'이라는 이름의 전통찻집으로 운영하고 있다. 차와 음식의 맛보다 분위기에 더 취할 정도로 예쁘게 잘 꾸며져 있다.

만해 한용운의 유택, 심우장에는 그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다 ⓒ김영주

만해 한용운의 유택, 심우장에는 그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다 ⓒ김영주

만해 한용운의 유택도 만날 수 있다. 한용운은 1933년 벽산스님이 집터를 기증하고 방응모, 박광 등 지인들의 도움으로 성북동 깊은 골짜기에 방 두칸짜리 집을 지어 '심우장'으로 이름 지었다. 한용운이 심우장에서 기거하던 1930년대 중반 이후는 일본 제국주의의 극성기로 독립운동에 대한 강한 탄압이 이루어지던 시기였다. 최린, 최남선 등이 친일로 변절한 것도 이때의 일이었다. 하지만 한용운은 끝까지 일제와 타협하지 않았으며 그가 기거하던 심우장도 민족자존을 상징하는 공간이 되었다. 한용운은 광복을 1년 여 앞둔 1944년 6월 29일 심우장에서 입적했다.

이종석 별장 ⓒ김영주

이종석 별장 ⓒ김영주

고즈넉한 이종석 별장에 도착했다. 조선 말기 마포강에서 젓갈장사로 부자가 된 이종석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이다. 이 가옥은 크게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구성되었다. 바깥마당 서북쪽으로는 우물이 있으며, 안마당에는 정원이 가꾸어져 있다. 대지 주위로는 회색 전벽돌로 쌓은 영롱담이 둘러져 있는데, 지금의 것은 1997년 다시 쌓은 것이라고 한다.

최순우 옛집. 정갈한 집안의 모습이 보인다 ⓒ김영주

최순우 옛집. 정갈한 집안의 모습이 보인다 ⓒ김영주

우리나라 문화재에 대한 애정과 뛰어난 안목으로 아름다움을 찾고 보존하는데 일생을 바쳤던 최순우(1916~1984) 선생이 살던 근대 한옥에 들렀다. 현재 이곳은 박물관으로 운영하며 전시, 문화강좌, 시민참여 문화 예술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정갈하게 잘 보존된 느낌이다. 소박한 기품이 느껴진다.

길상사를 시작으로 이태준 가옥, 한용운의 유택, 심우장, 이종석 별장, 최순우 옛집까지 하루 동안 모두 둘러볼 수 있는 코스다. 화려한 볼거리가 있지는 않지만 조용히 사색하며 걷는 여행을 원한다면 이곳, 성북동 역사문화마을을 추천한다.


문서 정보

천천히 사색하기 좋은 산책길, 성북동 역사문화마을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시민기자 김영주 생산일 2019-10-31
관리번호 D000003850404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