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안전최우선' 서울지하철이 바뀐다!

문서 본문

지하철ⓒ라성민

서울시는 지하철안전보강대책을 발표하고, 시설물·인력·시스템에 대한 안전 기능을 보강했다.

서울지하철이 3월 8일 안전보강대책을 발표하며 ‘안전지하철’로의 탈바꿈을 선언했다. 서울지하철은 개통 이래 40여년을 강조해온 ‘정시성(定時性)’이라는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에 종지부를 찍고, ‘안전’으로 그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① 전동차 610량 노후시설 교체, ‘스마트통합관제’ 구축

먼저 21년 이상 장기사용 전동차 중 2~3호선 610량(2호선 460량, 3호선 150량)을 8,370억 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신규 차량으로 교체한다.

신규 전동차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자동 연동되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자동열차운전장치) 시스템이 적용된다.

개통 후 40여년이 경과된 1~4호선의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 2,000억 원을 투입해 개량하고, 120개 노후역사 리모델링도 지속 추진한다.

또한, 장애고장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도 주요 부품의 교체주기를 정립하고, 정밀안전주기를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한다.

내진보강 사업은 작업구간 대부분이 고가·터널임을 감안해 무리한 공기단축보다는 공사장 안전관리 확행을 최우선으로 실행한다.

또한, 양공사 통합과 연계해 안전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을 2023년까지 구축하여 유사시 한층 더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② 안전인력 확충하고 역무실은 ‘안전센터’로 개편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을 ‘안전센터’로 개편해 안전관리부서로 운영한다.

안전관리 인력도 대대적으로 확충한다.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확대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충원하며, 통합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한다.

또한 기관사 및 지원인력 104명을 추가 확보해 1인승무로 운영 중인 7호선 일부구간에 2인 승무제를 시범 실시하여 기관사의 근무환경 개선도 추진한다.

③ 운영시스템도 ‘안전최우선’으로, 비상매뉴얼 개정

차량고장 시에는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실시하고, 단전 시에도 승객안내가 가능한 무정전 방송장치를 2020년까지 2,942량에 확대 도입하는 한편, 비상시 대피절차·요령을 담은 ‘시민안전 행동매뉴얼’을 제정한다.

‘시민안전행동매뉴얼’은 시민참여 기반의 오픈 매뉴얼 형태로 제정하여, 픽토그램, 동영상 등으로 알기 쉽게 제작해 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확산시킬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지하철안전지킴이’ 앱을 업그레이드해 관제·역무실에 연결되는 비상버튼을 추가하고,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팝업창을 띄워 상황정보와 행동요령을 안내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의 실시간 작동 현황 정보와 이를 반영한 최단 이동경로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지하철 안전지킴이 앱 화면

지하철 안전지킴이 앱 화면

④ IoT 기반 스마트안전지하철 구현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하여 안전강화를 비롯해 서비스 품질 및 운영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을 3월부터 수립한다.

서울지하철은 이미 2015년부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해 승강?배수설비 자동제어, 시설물 온도 및 소음 감지, 전동차 등 시설물 정비이력관리 등 시설물 유지보수 차원에서 활용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시설물 정보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수준을 넘어 감지된 정보를 기 축적된 빅데이터에 접목시켜 상황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특히 안전강화를 위해 ▲지능형 CCTV ▲객차혼잡도 안내 ▲부정승차 자동단속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동차 정비 및 유지보수 시간확보를 위해 지하철 심야 연장운행시간 조정도 검토하고 있다.

⑤ 안전예산 확보방안 마련

서울지하철의 노후전동차 교체 등 안전시설투자에만 2030년까지 총 7조 8,066억원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반면에 무임수송손실 등으로 양공사 누적손실은 약 13조원(2016년)에 달하는 등 재정위기가 심각한 상황인 만큼 범정부차원의 안전재원 확보방안을 마련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도시철도법’ 개정을 통해 노인 등 무임수송손실 국비지원과 노후시설보강을 위한 국비지원(40%)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아울러, 도시철도공채 판매금액 배분 방식을 변경하여 양공사에 더 많이 배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 발행이 가능하도록 행자부에 발행기준의 개선을 요청할 방침이다.

지하철 양공사도 계속해서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경비를 절감하는 등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자구노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하면서, 지하철의 공공성을 감안해 지하철 이용자가 교통복지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총 수입의 원가보전율을 90~95% 수준으로 설정해 운영할 계획이다.

문서 정보

'안전최우선' 서울지하철이 바뀐다!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7-03-08
관리번호 D0000029329934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