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관리주체 제각각 지하시설물, 서울시가 통합 관리

문서 본문

박원순 시장은 25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박원순 시장은 25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내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과 지하철 같은 도시기능에 필수적인 수많은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그 규모만 해도 총연장 5만 2,697km로 지구를 1.3바퀴 돌 수 있다. 문제는 지하시설물의 관리주체가 제각각이라는 점.

각 관리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 역시 여러 기관, 기업에서 제각각 이뤄지다보니 제대로 된 현황 파악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서울시가 이런 지하시설물의 안전관리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질한다.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지하시설물의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통신?가스?전기 등 지하시설물을 관리하는 각 기관은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공동 참여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작년 아현동 통신구 화재와 목동 열수송관 파열, 최근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같이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과밀화로 인한 문제의 재발을 막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같은 대규모 지하개발로 인한 사고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박원순 시장은 25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박원순 시장과 ?KT(황창규 대표이사) ?한국전력공사(김종갑 사장) ?한국가스공사(채희봉 사장) ?한국수자원공사(곽수동 부사장) ?한국지역난방공사(이경실 부사장) 등 대표 5개 기관이 참여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날 지하시설물의 통합적?선제적 안전관리를 골자로 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을 처음으로 발표, 2023년까지 총 2조 7,087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지하안전 통합체계 구축 ?선제적?체계적 안전관리 ?스마트기술 예방시스템 개발 등 3대 분야에 있어서 10개 추진과제를 시행한다.

① ‘서울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 발족(2019년 하반기)

서울시내 지하시설물의 절반 이상을 타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만큼 긴급상황시 유기적 대응이 필수적. 이를 위해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KT,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 서울지역본부장 및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이 참여하는 ‘서울시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를 올해 하반기 발족한다.

② 안전점검 강화 및 공동(空同)조사 시행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상?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열수송관에 대해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규정 준수 이행여부를 꼼꼼하게 확인한다. 또한 지반침하 예방을 위해 서울시 관리도로를 5개 권역으로 나눠 2022년까지 5년간 1,222㎞(178개 노선)에 대한 공동(空同)조사를 시행한다.

③ 정기 합동훈련 등 복합재난 대응력 강화

지하시설물 사고로 인한 복합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관련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합동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유사시 활용되는 ‘초기대응매뉴얼’은 SNS를 통한 실시간 재난상황 공유, 현장 연락관 파견 같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 보완?개선한다.

④ 기존 도심 ‘소형 공동구’ 도입 검토…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 수립

기존 도심에 전력구, 통신구, 상수도관을 공동 수용할 수 있는 ‘소형 공동구’ 도입을 검토한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서울시 공동구 기본계획’을 2020년까지 수립한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등으로 구성된 공동구 연구단에서 ‘소단면 터널식 공동구 기술’을 개발 중에 있으며, 기본계획을 통해 경전철 사업 등과 연계한 소형 공동구 도입방안 등을 검토한다.

⑤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 구축

기존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지하공간 정보시스템과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재난발생시 입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정보 분석시스템’을 2020년 구축한다.

⑥ 노후 불량 지하시설물 조기투자 및 정비

노후 상?하수관로, 노후 열수송관 등 70~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돼 노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지하시설에 2023년까지 예산 2조 4,699억 원을 조기 투입, 정비를 추진한다.

⑦ 생애주기적 관점의 선제적 관리로 전환하여 지하시설물 장수명화 추진

유지보수와 사후관리에 방점이 찍혀있던 시설물 관리를 미래를 대비한 중장기적?선제적 대응방식으로 전환한다. 올 연말까지 기반시설별로 유지관리 이력 및 성능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2020년까지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해 중장기 투자계획과 재정확보방안을 마련한다.

⑧ 굴착공사시 지하수 유출 최소화 등 ‘지하개발 안전가이드라인’ 마련

GTX, 도시철도망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계획 중인 만큼, 안전한 지하개발과 체계적인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하개발 안전가이드라인’ 마련에도 나선다. 우선 지하 굴착공사장에서 유출되는 지하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기술적 종합대책을 2020년까지 수립하고, 지하개발시 지열파이프 등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관련 정보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간다.

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반시설 노후화 예측시스템 개발

지하시설물의 세부이력을 DB화하고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시설물의 상태변화, 유지관리비용 등을 예측?분석해 최적의 보수보강 시점을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을 연내 개발한다.

⑩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활용 등 스마트 관리체계 구축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으로 인력 위주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리 사각지대 해소에도 나선다. 대표적으로 은평공동구에 연내 설치 예정인 궤도주행 로봇은 공동구 천정에 약 2.4km의 레일을 설치하고, 관측 장비가 24시간 레일을 타고 다니며 열 변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질소 등 내부 상황을 실시간 수집해 본부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지하치설물 통합 안전관리를 위한 협약식에 인사말 중인 박원순 시장

지하치설물 통합 안전관리를 위한 협약식에 인사말 중인 박원순 시장

박원순 시장은 “지하시설물은 한번 사고가 발생하면 복합재난의 원인이 되므로 철저한 예방활동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면서 “서울의 지하시설물 중 절반 이상은 서울시 이외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바 서울시가 컨트롤타워가 돼 통합관리하고 각 기관과 협력하여 서울의 지하안전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안전총괄과 02-2133-8024

문서 정보

관리주체 제각각 지하시설물, 서울시가 통합 관리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19-07-26
관리번호 D0000041753638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