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추억 소환! 46돌 맞은 '지하철 1호선'의 모든 것

문서 본문

지하철을 탑승하기 위해 표를 건네는 어린이와, 그 표를 확인하는 역 직원의 모습

지하철을 탑승하기 위해 표를 건네는 어린이와, 그 표를 확인하는 역 직원의 모습

1974년 8월 15일 서울역-청량리 구간을 첫 개통한 후, 지금까지 누적 92억 명을 수송한 ‘시민의 발’ 지하철 1호선이 46번째 생일을 맞이했습니다. 1호선은 심훈의 시(詩) ‘그날이 오면’, 손기정기념관과 함께 ‘8월의 미래유산’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46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과 근대화를 상징해 왔기에 그 보존 가치가 높다고 평가받은 것인데요. 첫 개통일인 8월 15일을 맞아 서울 지하철 1호선의 변천사와 이모저모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건설 논의는 일제 강점기 때부터…60년대 본격 검토

서울 지하철 건설이 처음 언급된 것은 일제 강점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0년대 말 서울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서자, 전차와 버스로 도시교통을 감당하기 어려워질 것을 우려해 논의가 시작되었다.

1930년대 말 일제는 본격적인 지하철 건설 계획을 수립한다. 성동역(현 제기동역 인근)~동대문역 구간을 먼저 짓고, 이후 경성역(현 서울역)까지 연장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중?일 전쟁을 시작으로 일제가 철근?시멘트 등 건축자재를 전부 전쟁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제하면서, 지하철 건설은 중단된다.

한동안 멈춰 있던 지하철 건설은 1960년대 본격적인 경제성장과 함께 서울이 발전하기 시작하며 다시 물꼬를 트게 된다. 1961년 철도청이 최초로 지하철 건설 계획을 입안한 이후, 활발한 논의와 현장조사 끝에 1970년 10월 정부가 ‘지하철 1호선 건설계획 및 수도권전철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1971년 4월 12일 착공 당시 모습(좌), 당시 시청역 인근 지하철 공사현장 모습(우)

1971년 4월 12일 착공 당시 모습(좌), 당시 시청역 인근 지하철 공사현장 모습(우)

1971년 착공해 3년 만에 완공…첫 시작은 9개 역?7.8km 구간으로

우여곡절 끝에 1971년 4월 12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첫 착공식이 열렸다. 당시 착공식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과 3만여 명의 시민이 참석했는데, 지하철 1호선이 국가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년이 지난 1974년 4월 12일 서울역~종각역 구간에서 첫 시운전을 무사히 진행하며 모든 준비를 완료한 끝에, 같은 해 8월 15일 광복절에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이라는 이름으로 개통했다. 서울역부터 청량리역까지 9개 역 7.8km 구간을 달린 우리나라 최초의 지하철이다.

같은 날 철도청(현 한국철도)도 경부선(서울역~수원역 41.5km), 경인선(구로역~인천역 27km), 경원선(용산역~청량리역~성북역 18.2km)의 전철화를 완료해,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운행하기 시작했다.

이후 9개 역을 계속 운행해 오다, 지하철 6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지어진 동묘앞역이 2005년 12월 문을 열면서 총 10개 역으로 확장되어 현재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다.

지하철 1호선의 완공 및 개통 당시 사진

지하철 1호선의 완공 및 개통 당시 사진

첫 열차는 6칸짜리 일본제 전동차 10편성, 이후 국산 전동차 제작으로 이어져

개통 당시 전동차는 6칸을 한 편성으로 구성해, 총 10개 편성을 일본 히타치중공업에서 들여왔다. 이른바 ‘1세대 전동차’라 불리는 차량으로, 교?직류 겸용 저항제어 전동차였다. 외관은 폭 3.2m?길이 20m에 선두부 관통문과 출입문 4개가 있었고, 바탕은 크림색, 창틀은 빨간색인 통근형 열차였다. 참고로 철도청 차량은 서울 지하철 차량과 달리 바탕은 군청색, 창틀은 크림색으로 그 색이 서로 달랐다.

개통 당시 도입된 1호선 전동차들. 같은 1호선이지만 서울 지하철 차량(좌)과 철도청(우) 차량은 색이 달랐다

개통 당시 도입된 1호선 전동차들. 같은 1호선이지만 서울 지하철 차량(좌)과 철도청(우) 차량은 색이 달랐다

1977년~78년 사이 대우중공업이 해외 기술제휴를 통해 최초로 국산 전동차를 36칸 제작해 1호선에 도입한다. 1981년에는 한 편성을 8칸으로 늘렸으며, 1989년에는 대우중공업과 현대정공에서 64량을 추가로 도입하고 한 편성을 10칸으로 늘렸다.

1세대 전동차의 사용 내구 연한은 25년이었다. 공사는 1999년 개통 시 도입한 60칸을 모두 폐차하고 최신 VVVF 전동차로 전량 교체했다. 부식 방지를 위한 스테인리스 강판?승차감 개선을 위한 고무스프링?실내온도 자동조절장치 및 객실 내 안내표시기 등 안전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적용된 모델이다.

현재 1호선 전동차는 10칸을 1편성으로 구성하였으며, 16편성이 있다. 총 전동차 수는 160칸이며, 철저한 유지보수를 통해 큰 문제없이 관리하고 있다.

승차권을 갖고 입장하는 승객들. 자동화기기가 도입되기 전에는 역 직원이 일일이 표를 검사했다.

승차권을 갖고 입장하는 승객들. 자동화기기가 도입되기 전에는 역 직원이 일일이 표를 검사했다.

승차권 표 파는 곳. 공사는 1986년 4월부터 자동화기기를 도입, 마그네틱 방식의 승차권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1회용 교통카드 시스템이 전면 도입되며 지하철 매표업무는 무인화되었다.

승차권 표 파는 곳. 공사는 1986년 4월부터 자동화기기를 도입, 마그네틱 방식의 승차권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2009년에는 1회용 교통카드 시스템이 전면 도입되며 지하철 매표업무는 무인화되었다.

“지구 2,275바퀴” 기록으로 보는 지하철 1호선

지하철 1호선은 오랜 기간 달려온 만큼 다양한 기록도 남겼다. 개통 이후 2019년까지 46년간 1호선이 달려온 총 운행거리는 약 9,100만 km다. 지구 둘레가 약 4만 km이니, 환산하면 1호선은 지금까지 지구를 총 2,275바퀴 돈 셈이다.

열차 운행횟수 역시 첫 해 2만 회를 기록하였는데,→ 2019년 기준 59만 회로 크게 늘어났다. 누적 운행횟수는 총 2,300만 회인데, 직결운행하는 코레일 차량의 운행횟수까지 합치면 3,200만 회다.

1974년 첫 해 1호선 수송인원은 약 3,177만 명, 일평균 8만 7,060명이었으며→ 2019년 총 1억 7236만 명, 일평균 47만 2,246명을 수송할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누적 수송인원만 해도 92억 4천만 명이다. 명실상부한 ‘시민의 발’로 자리 잡은 셈이다.

지하철 운임도 변화했다. 개통 첫 해 기본운임은 30원이었으나, 현재는 1,250원으로 약 40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1호선 운수수입도 첫 해 7억 6천만 원, 일평균 200만 원에서→ 2019년 856억 원, 일평균 2억 3천만 원으로 증가했다. 증가한 승객 및 운행횟수 대비 운수수입이 크게 늘지 않은 것은 어르신 등 무임 이용객 영향이 크다.

과거 전동차에는 지금과 같은 냉방장치가 없었고, 천장에 달린 선풍기를 가동하는 식이었다.

과거 전동차에는 지금과 같은 냉방장치가 없었고, 천장에 달린 선풍기를 가동하는 식이었다.

노후화 시설 리모델링…1호선은 변신 중

서울 중심부를 46년 간 한 번도 쉬지 않고 달려온 지하철 1호선이기에, 그만큼 시설물도 노후화되어 있다. 1970년대에 지은 시설물이 여전히 남아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기적인 안전 점검을 통해 이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 확인됐지만, 미관상으로는 낡고 오래된 것처럼 보인다.

다른 호선 대비 65세 이상 어르신 승객들이 많다는 특징도 있다. 특히, 인근에 약령시장이 위치한 제기동역은 연간 이용객 746만 명 중 어르신 승객이 356만 명으로 절반에 육박(2019년 기준), 서울 지하철 역 중 가장 높은 어르신 이용 비율을 기록했다.

1호선 동대문?종로5가?신설동역은 현재 리모델링 중으로,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대문역 리모델링 완성 예상 사진들.

1호선 동대문?종로5가?신설동역은 현재 리모델링 중으로,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대문역 리모델링 완성 예상 사진들.

공사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1호선 역사를 단계적으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시청역의 리모델링이 2014년 완료되었으며, 올해는 ‘문화예술철도’ 사업의 일환으로 동대문?종로5가?신설동역의 리모델링이 진행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지금도 서울 도심에서 하루 50만 명 가까이 수송하는 황금 노선이자, 국내 지하철의 역사가 그대로 담겨있는 역사적 유물이기도 하다.”라며,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을 통해 100년 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힘쓰겠다” 라고 말했다.

문의 : 서울교통공사 02-6311-9416 ,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하기
▶ '코로나19 서울생활정보' 한눈에 보기
▶ 내게 맞는 '코로나19 경제지원정책' 찾아보기

문서 정보

추억 소환! 46돌 맞은 '지하철 1호선'의 모든 것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내 손안에 서울 생산일 2020-08-15
관리번호 D0000040608023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