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골목길 사이로 세월을 산책하다 '북정마을'

문서 본문

북정마을 꼭대기, 오랜 세월이 느껴지는 듯한 북정카페를 만났다

북정마을 꼭대기, 오랜 세월이 느껴지는 듯한 북정카페가 보인다

‘북정마을’은 한양도성 밖 성곽마을이다. 구릉 지형의 저층 주택들이 마을 경관을 이루는 체험마을이자 마을축제 등 지역공동체 활동이 활발한 마을이다. 북정마을로 향하기 위해 지하철 4호선 한성대역에서 하차, 03번 마을버스에 올랐다. 골목길에서 소꿉놀이를 하던 세대이기에 북정마을로 향하는 길이 작게 설렜다.

북정마을로 향하는 길에 나오는 여성안심귀갈길, 마을버스 정류장이 아니어도 하차를 원하면 정차해준다.

북정마을로 향하는 길에 나오는 여성안심귀갈길, 밤길에는 마을버스 정류장이 아니어도 하차를 원하면 정차해준다.

버스는 한동안 구불거리는 가파른 길을 올랐고, 어느 정도 오르니 그곳이 ‘여성 안심 귀갓길’임을 알렸다. 꼭 정류장이 아니어도 하차를 원할 경우 정차를 해 준다고 했다. 반가웠다. 밤길의 골목길이 얼마나 무서운지 다녀봐서 안다.

거의 꼭대기로 보이는 북정마을 노인정역 앞에서 내리니 보이는 것은 개발의 손길이 닿지 않은 날 것 그대로의 풍경이었다. 하늘 아래 낮은 집, 슬레이트 지붕, 전봇대, 문을 닫은 듯 보이는 허름한 북정카페는 오랜 세월을 지내 왔음을 말해 주고 있었다.

북정마을의 공용 화장실, 북정 해우소

북정마을의 공용 화장실, 북정 해우소

멀리 한양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는 성곽도 보였고, 주위를 둘러보니 다채로운 색으로 장식한 화장실도 눈에 띄었다. ‘북정 해우소’라는 팻말이 붙여진 그곳은 많은 사람들이 이 마을을 찾고 있음을 전하고 있었다.

만해 한용운이 거주했던 심우장

만해 한용운이 거주했던 심우장

성북구는 유독 문화예술인들이 많이 거주했던 동네다. 북정마을 역시 ‘님의 침묵’이란 시로 알려진 독립운동가 만해 한용운의 자택 ‘심우장’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심우장 가는 길’의 안내 표지판이 멀지 않은 곳에 있어 쉽게 눈에 들어왔다.

비둘기 조형물의 담벼락. 북정마을은 김광섭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 시가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비둘기 조형물의 담벼락. 북정마을은 김광섭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 시가 탄생한 곳이기도 하다.

표지판을 따라 내리막 골목길을 걷기 시작했다. 조금 걸으니, 비둘기가 날아오르는 그림이 담벼락을 가득 채운 공원과 마주했다. 마을버스에서 내렸을 때부터다. 군데군데 보이는 비둘기 그림은 이 동네의 상징과 같았으니, 김광섭 시인의 ‘성북동 비둘기’가 탄생한 동네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심우장 내부 모습

심우장 내부 모습

가지를 치듯 뻗어나간 좁은 골목길 사이를 걷다보니 어느새 만해 한용운의 거처였던 심우장이 보였다. 조선총독부를 등지기 위해서 북향 터를 잡았다고 하니 투철한 저항정신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심우장은 1933년 한용운이 직접 집을 지어 1944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11년 간 거주한 집이다. 시를 쓰고 잠을 자고 밥을 짓기 위해 움직였을 부엌을 들여다보니 조국의 독립을 위한 우직한 마음이 느껴지는 듯했다.

심우장에서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의 작품을 둘러볼 수 있다

심우장에서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의 작품을 둘러볼 수 있다

지난 달, 문화재청은 서울시 기념물 제7호인 ‘만해 한용운 심우장’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항일유산의 문화재 지정은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다.

조선시대 궁중에 바치는 메주를 만들기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북적북적’ 거려 이름 붙여졌다는 북정마을도 이제는 한적한 모습이다. 마을버스를 타고 올랐던 길을 천천히 걸어 내려왔다. 주민들이 모여 앉아 두런두런 얘기를 나눴을 팔각정을 지나니 아담한 건물의 경로당이 있고, 해바라기와 오리 그림을 그려 넣은 집과 구멍가게 사이로 새로 지은 건물이 보이기도 했다.

조선시대 의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선잠박물관

조선시대 의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선잠박물관

아래로 내려올수록 이색적인 느낌의 건물이 자주 눈에 띄었다. 성북동은 역시 문화 예술인의 동네였다. 쌍다리역에서 조금 걸으면 볼 수 있는 ‘성북구립미술관’과 지난해 개관해 조선시대 의복문화를 엿볼 수 있는 ‘선잠박물관’도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다. 맞은편에는 동네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해 놓은 ‘성북동 작은 갤러리’도 있으니 가벼운 마음으로 둘러보기에 좋다.

성북구립미술관

성북구립미술관

도시재생에 앞장서는 서울시는 북정마을 일대의 재개발 구역을 신월곡1구역(미아리텍사스)의 고밀개발과 결합해 보존하기로 했다. 북정마을의 경우, 전면 철거 정비 방식이 적용되는 대신 주민이 자율적으로 신축·개량할 수 있는 개별 정비지구로 나눠 재개발한다는 얘기다.

애초 서울시는 성북2구역을 전면 철거해 한옥과 저층 테라스하우스를 건립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2015년 도시계획위원회가 마을 원형 유지를 위해 정비 유형을 전면 철거형에서 수복형으로 바꾸면서 계획을 변경했다. 이는 지난해 7월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 공동정비지구 경계와 규모를 축소하는 등의 조정과정을 거쳐 지난 3월 14일 고시됐다.

북정마을의 골목길에는 여전히 밥 짓는 소리가 들리고, 기분 좋게 마른 빨래가 삶이 흐르고 있음을 전하고 있다. 이제는 사라져 가는 서울의 풍경이 존재하는 곳. 세상의 속도와 무관하게 존재하는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북정마을의 개발이 주민들에게 보다 나은 삶으로 안내하길 기대해 본다.

문서 정보

골목길 사이로 세월을 산책하다 '북정마을'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시민기자 박은영 생산일 2019-04-24
관리번호 D0000036104639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