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안에 서울

[체험기] 서울 새 명소 예감! 서울로7017

문서 본문

서울로7017에서 바라본 서울역 방향 ⓒ김영배

서울로7017에서 바라본 서울역 방향

우리 주변에 유명한 길이 더러 있다. ‘신사동 가로수길’, ‘이태원 경리단길’, ‘서울대입구 샤로수 길’ 등이다. 여기에 최근 생소한 길이 하나 나타났다. 이름 해서 ‘서울로7017’이다. 옛 서울역 고가가 새로 태어나 붙여진 이름이다.

과거에 낡은 서울역 고가에 차들이 달리던 모습을 지나가며 본 기억이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의지와 상관없이 이곳저곳 탈이 나기 마련이듯, 1970년 완공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서울역 고가도 오랜 시간 제 역할을 톡톡히 한 뒤 휴식기에 들어갔다. 그리고 서울시는 역할을 다한 이 고가를 없애는 대신, 공원으로 바꿔 시민들이 통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 공사에 돌입했다. 이름하여 ‘서울로7017’ 프로젝트다.

시는 종로 창신동, 상도4동 등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을 시도하는 중이다. ‘서울로7017사업’도 도지재생 차원의 사업이다. 낡았다고 해서 그냥 헐거나 파괴해버리기보다 자연스럽게 재생시킴으로써 폐기물도 줄이고, 자원도 재활용하는 등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런 도시재생을 통해 서울의 역사와 기억을 보존함과 동시에 과거와 미래를 공존시키고, 차량 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로 전환시킴으로써, 휴식 공간과 사색 공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 기찻길로 단절된 서울역 일대 동·서를 연결해 경제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서울로7017’은 실제로 어떤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을까?

서울역고가를 둘러보고 있는 시민기자단들 ⓒ김영배, ⓒ방윤희

서울역고가를 둘러보고 있는 시민기자단들

오는 5월 20일, 개장을 앞둔 ‘서울로7017’을 찾았다. 내 손안의 서울 시민기자단을 대상으로서울로7017의 사전 점검이 있었다.

지하철 4호선 회현역 4번 출구를 빠져나와, 새롭게 탄생할 서울역 고가도로가 왜 ‘7017’로 불리는지 불현듯 궁금했다. 궁금증과 기대감이 한껏 부풀어져 걷던 중 도로 한복판에 정비 중인 서울역 고가가 얼굴을 내밀었다. 이후 다른 사전참가자들과 함께 공사 담당 직원의 안내를 받으며 점검 길에 나섰다. 사실, 점검보다는 탐방이라는 말이 어울릴 듯했다. 서울 한복판에 위치한 다리를 걷는다니, 생각만으로도 근사했다. 안전모를 착용하고 고가도로를 걸어나갔는데 마치 무엇이 펼쳐질지 모를 미로 속을 걷는 것 같았다.

서울로7017에서 바라본 서울역의 모습 ⓒ방윤희

서울로7017에서 바라본 서울역의 모습

서울역 고가 보행길인 ‘서울로7017’은 1970년에 만들어진 서울역 고가를 17개의 사람 길로 재탄생시키는 ‘사람 중심’ 도시재생의 시작이다. ‘7017’의 의미 또한 여기에 숨어 있다. 1970년 개통되어 2017년에 다시 태어난다는 것과 차량 길에서 17개 사람 길로의 재탄생한다는 점, 그리고 17m 높이의 길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숫자에 대한 수수께끼가 풀리자 서울로7017을 걷는 걸음이 한결 즐거웠다. 서울로7017에서는 장미(조비베스트), 자작나무, 팥배나무, 사과나무, 소나무, 작약 등의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만날 수 있었다.

서울로 고가에서는 645개의 식물을 만날 수 있다(좌)ⓒ김영배, 원형 화분 속에 저장판 모양의 저류시설과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우)ⓒ방윤희

서울로 고가에서는 645개의 식물을 만날 수 있다(좌), 원형 화분 속에 저장판 모양의 저류시설과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다(우)

도심 속에 펼쳐진 숲속 환경은 이색적이면서도 공원에 와 있는 듯 편안함을 주었다. 입구에서부터 시작된 원형 화분 속 조경 식물은 가나다 순서로 전체 645개의 식물이 자리했다. 식물을 보는 것만으로도 도시의 혼잡함에서 벗어나 숨통이 트는 것 같았다. 눈길을 끌었던 것은 화분을 벤치형으로 조성하여 휴식 공간의 역할도 한다는 점이었다.

그러다 궁금증 한 가지가 생겼다. 1.2m의 높이에서 화분에 물을 주면 물이 다시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 아닐까? 정답은 ‘아니다’ 였다. 화분 속에 과학이 숨어 있었다. 저장판 모양의 저류시설이 화분 속에 설치되어 골고루 물을 흡수하며, 단열재가 들어 있어 식물이 여름과 겨울을 견딜 수 있었다. 이것은 시민에게 항상 푸르른 자연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식물은 감상을 넘어 정서적으로도 마음의 안정을 찾고, 자연학습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서울역 고가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역사보존구간이다 ⓒ방윤희

서울역 고가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역사보존구간이다

걸음을 몇 발짝 옮기자 발아래 도로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구멍이 나타났다. 이곳은 역사보존 구간이었다. 서울역 고가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과거와 현재의 공존이다. 46년 동안 서울의 역사와 함께 한세월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로7017에서 바라보는 남·북·동·서의 서울 모습은 장관 그 자체다. 서울역사(驛舍)의 아름다운 녹색 돔과, 남산기슭, 숭례문, 멀리 비치는 도봉·인왕산 봉우리, 색색의 고층 건물군과 조화로운 도시 풍경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30여명의 시민기자단 일행은 하나같이 탄성을 지르기도 했다.

아름다운 서울, 그 곳을 중앙에서, 높은 곳에서, 안전하게 떡하니, 편안히 바라 볼 수 있는 행운을 한껏 누릴 수 있다. 공중정원 길은 흔치 않은 풍경이다. 각 지점으로 출입하는 통로가 여러 개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좋다. 이후 생활 속에 뿌리내리게 되면 시민들의 가장 아름다운 쉼터로 자리매김함은 물론, 세계적 화제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체험공간과 공공미술 작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방윤희

다양한 체험공간과 공공미술 작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서울로7017에는 자연과 소통의 공간 외에도 18개의 편의시설과 휴식 공간, 어디에서든 쉽게 연결되는 17개 보행 길이 마련됐다. 또한, 오감을 사로잡을 수 있는 편의시설(정원 교실, 장미 무대, 전망카페, 서울로 전시관, 공중자연 쉼터, 서울로 안내소 등)은 사람을 모으고, 머물고, 스며들게 한다.

노약자와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도 갖추었는데, 주요 연결지점 6곳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이동을 편리하게 하였다. 화장실 사용은 보행길과 연결된 주변 건물(대우재단, 호텔마누)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직접 화장실을 두지 않은 건, 고가 도로의 특성상 오수처리가 힘들기 때문이다. 화장실 이용뿐 아니라 보행길 주변 빌딩을 직접 연결하여, 시민들의 접근성을 제고 했다. 또한, 서울역 고가에서 주변 건물을 거쳐 남산공원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다.

홍보 열차도 운행 중이다. 지하철 1·4호선에 각 1편성을 하였고, 열차 양 끝 2량에서 8월 2일까지 약 3개월간 ‘서울로7017’ 홍보 열차를 만나볼 수 있다. 열차 운행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다.

오는 20일 개장을 앞둔 ‘서울로7017’. ‘사람 중심’의 보행길로서 서울역 일대 지역이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시민 모두가 행복을 전하고, 나누는 길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 ‘서울로7017’이 세계적인 도시재생의 한 사례로써 활력 있고, 매력적인 서울의 상징이 되었으면 한다.

문서 정보

[체험기] 서울 새 명소 예감! 서울로7017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내손안에서울 제공부서 뉴미디어담당관
작성자(책임자) 시민기자 방윤희, 김영배 생산일 2017-05-18
관리번호 D0000030142546 분류 기타
이용조건타시스템에서 연계되어 제공되는 자료로 해당기관 이용조건 및 담당자와 협의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