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주요질문

봉수대란 무엇인가요? (서울의 5개 봉수대)

문서 본문

봉수대란?

 ▣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함.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음.

남산(목멱산)봉수대

 ▣ 종목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4호
 ▣ 명칭 : 목멱산봉수대터
 ▣ 수량/면적 : 237.27㎡ (연대5개)
 ▣ 소재지 : 서울 중구  예장동 8-1
 ▣ 남산 봉수대는 조선 태조 3년(1394)에 도읍을 한양으로 옮긴 뒤 설치하여, 갑오경장 다음해까지 약 500년간 사용되어 왔음.
     남산의 옛 이름을 따서 목멱산 봉수대라 하기도 하고, 서울에 있다하여 경봉수대라 부르기도 함.
     평상시에는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경계에 접근하면 3개, 경계를 침범하면 4개, 경계에서 아군과 전투를 벌이면 5개의
     불을 올리도록 하였음. 남산 봉수대는 전국의 봉수가 도달하게 되는 중앙 봉수대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던 곳임.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각 남산봉수대에는 봉수군(烽燧軍)과 그들을 감독하는 오원(五員)을 배치하여 항시 관리하였으며,
     봉수대의 관장기관인 병조(兵曹)는 매일 새벽 승정원에 보고하여 국왕에게 알렸음.
     동쪽에서부터 서쪽으로 향하여 5개소가 있었다 하는데, 현재 봉수대는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음. 전해지는 기록이 없어
     정확한 자리를 확인할 수는 없는데, "청구도" 등의 관련자료를 종합하여 남산정상에 1개소를 복원함.
     봉수대의 시설인 연대(煙臺)는 조선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높이가 7.5m, 둘레가 21m이며, 연대의 아래 4면은 각 9m임.
     봉수대 주변에는 목책(木柵)을 쌓아 적의 침입을 막고, 봉군(烽軍)을 보호함.

아차산봉수대

 ▣ 종목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5호
 ▣ 명칭 : 아차산봉수대터
 ▣ 수량/면적 : 114.5㎡
 ▣ 소재지 : 서울 중랑구 묵동 산46-19
 ▣ 조선시대의 문헌에 아차산 주봉에서 북쪽으로 벗어난 능선의 서쪽 봉우리에 있다고 표시되어 있어, 이곳이 아차산 봉수대 터
     임이 밝혀짐. 함경도 경흥에서 시작하여 강원도를 거쳐 온 연락을 남산에 최종적으로 보고하던 곳임.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1994년 모형을 설치함.
     남산 제1봉수대와 연결되어 함경도, 강원도 방면으로 통하는데, 직봉(直烽)이 120곳, 간봉(間烽)이 60곳임. 봉화산은 불암산과
     용마봉으로 이어지는 중간지점에 위치함. 200m가 안 되는 낮은 산이지만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전망이 좋음.
     현재는 봉화산봉수대라고 함.

천림산봉수대

 ▣ 남산 제2봉수대와 연결되어 경상도, 충청도 방면으로 통하는데, 직봉(直烽)이 40곳, 간봉(間烽)이 123곳이다.
     위치상 양재동에 속하며, 경기도와의 접경이자 서울의 최남단으로 현재의 청계산이다.
     봉수가 있던 자리를 망경대(望京臺)라고 한다. 현재 복원되어 있지 않다.

무악봉수대

 ▣ 종목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3호
 ▣ 명칭 : 무악산동봉수대터
 ▣ 수량/면적 : 381㎡
 ▣ 소재지 :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산1
 ▣ 무악산에 있는 이 봉수대터는 조선시대 봉수체제가 확립되었던 세종 24년(1438)에 무악산 동.서에 만든 봉수대 가운데
     동쪽 봉수대터임. 평안북도 강계에서 시작하여 황해도, 경기도 내륙, 고양 해포나루, 무악동봉, 남산 훈도방으로 연결되는
     봉수를 남산에 최종적으로 연락하는 곳임.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동봉수대만 1994년에
     복원하였음. 무악 동봉수대는 남산 제3봉수대와 연결되어 평안도, 황해도 방면의 육로로 통하는데, 직봉(直烽)이 78곳,
     간봉(間烽)이 22곳임. 반면 무악 서봉수대는 남산 제4봉수대와 연결되어 평안도, 황해도 방면의 해로와 통하는데,
     직봉(直烽)이 71곳, 간봉(間烽)이 35곳임.

개화산봉수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산153-1 / 개화동 산91-4
 ▣ 남산 제5봉수대와 연결되어 전라도, 충청도 방면의 해로를 통하는데, 직봉(直烽)이 60곳, 간봉(間烽)이 35곳임.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방원중학교에서 북서쪽으로 난 길(개화산 등산로)을 따라 북쪽으로 850m 정도 올라가면
     군부대 초소가 나오는데 여기서 초소를 통과하여 동쪽에 있는 2봉으로 이동하여 128.4m 삼각점 좌표가 설치된 곳으로
     오르면 주변이 봉수대임. 군부대 내에 위치하여 일반인의 접근이 쉽지 않음. 현재 복원되어 있지 않으며, 터만 확인됨. 



문서 정보

봉수대란 무엇인가요? (서울의 5개 봉수대) - 문서정보 : 원본시스템, 제공부서, 작성자(책임자), 생산일, 관리번호, 분류
원본시스템 다산콜센터 제공부서 120다산콜센터
작성자(책임자) 120다산콜재단 생산일 2007-04-16
관리번호 D0000020275096 분류 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