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병원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제공(2016)
문서 본문
서북병원 고객중심 의료서비스 제공 |
1 |
| 기 본 현 황 |
|
□ 사업개요 | ||||||
사업기간 | ☑연례반복 | |||||
사업위치 |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로7길 49 시립서북병원 | |||||
총사업비 | 총 | [국비] | [시비] | (보조율) | [구비] | |
사업내용 |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결핵지원센터 구축 및 의료서비스와 보건 복지 서비스 연계를 통한 공동간병인 운영 등을 통해 저소득 환자 및 사회에서 소외되는 결핵환자를 위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진료수준 향상 및 공공의료서비스 만족도 제고 | |||||
| ||||||
사업형태 | ||||||
사업시행주체 |
|
□ 사업 성격 및 사전절차 대상 여부 | |||||||||
신규 | 계속 | 투자심사 | 학술용역 | 기술심사 | 지역보조심의 | 정보화심사 | 공유재산 | 안전예산 | 출자·출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상 | 투자 | ||||||||
☑ | □ |
□ 사업 담당자 | ||||
실․국 | 부서명 | 과 장 | 팀장 | 주무관 |
시민건강국 | 서북병원 원무과 | 김종환 3156-3030 | 김태기 3156-3018 | 고은정 3156-3028 |
2 |
| 예 산 설 명 |
|
□ 예산 총괄 |
| (단위 : 천원) |
구 분 | 증감 (B-A) |
| |||
(B-A)*100/A | |||||
계 | (x133,793) 4,721,121 | (x142,500) 5,513,487 | (x142,500) 6,836,782 | (x-) 1,323,295 | (x-) 24 |
무기계약근로자보수 | (x-)
| (x-)
| (x30,000) 60,000 | (x30,000) 60,000 | (x-)
|
기간제근로자등보수 | (x63,793) 143,512 | (x70,000) 185,838 | (x40,000) 174,243 | (x△30,000) △11,595 | (x△42) △6 |
사무관리비 | (x70,000) 330,541 | (x72,500) 420,484 | (x72,500) 418,570 | (x-) △1,914 | (x-)
|
공공운영비 | (x-) 20,000 | (x-) 20,000 | (x-) 20,000 | (x-)
| (x-)
|
시책추진업무추진비 | (x-) 12,000 | (x-) 12,000 | (x-) 12,000 | (x-)
| (x-)
|
특정업무경비 | (x-) 393,600 | (x-) 393,600 | (x-) 393,600 | (x-)
| (x-)
|
사회보장적수혜금 | (x-) 100 | (x-) 100 | (x-) 100 | (x-)
| (x-)
|
사회복무요원보상금 | (x-) 29,280 | (x-) 29,280 | (x-) 29,280 | (x-)
| (x-)
|
행사실비보상금 | (x-) 30,096 | (x-) 30,096 | (x-) 28,800 | (x-) △1,296 | (x-) △4 |
기타보상금 | (x-) 2,000 | (x-) 2,000 | (x-) 2,000 | (x-)
| (x-)
|
의료및구료비 | (x-) 3,759,992 | (x-) 4,420,089 | (x-) 5,698,189 | (x-) 1,278,100 | (x-) 28 |
과목구분 | 세부 산출내역 | |||||
무기계약근로자보수 |
| |||||
○ | 결핵전담간호사(국비50%) 60,000,000 | = | 60,000천원 | |||
| ||||||
기간제근로자등보수 |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검진요원 44,000,000 | = | 44,000천원 | |||
○ | 결핵전담간호사(국비 50%) 20,000,000 | = | 20,000천원 | |||
○ | 초단시간 근로자 6,263,000 | = | 6,263천원 | |||
○ | 결핵전문지원센터 구축에 따른 전담인력(국비 50%) 60,000,000 | = | 60,000천원 | |||
○ | 301네트워크 사업 추진 사회복지 전담요원 26,980,000 | = | 26,980천원 | |||
○ | 암환자 완화의료 지원사업 전담인력 17,000,000 | = | 17,000천원 | |||
| ||||||
사무관리비 |
| |||||
○ | 저소득환자 재활치료 제고
| = | 23,200천원 | |||
- | 사회적응훈련비 1,500,000*4 | = | 6,000천원 | |||
- | 비약물치료발표회,전시회 4,200,000*1 | = | 4,200천원 | |||
- | 교재 교구등 소모품비등 13,000,000 | = | 13,000천원 | |||
○ | 데이룸 교재 구입 10,000*400 | = | 4,000천원 | |||
○ | 질환별 특화 프로그램
| = | 20,400천원 | |||
- | 결핵병동 및 외래 200,000*4*12 | = | 9,600천원 | |||
- | 노인 및 재활병동 150,000*2*12 | = | 3,600천원 | |||
- | 치매병동 300,000*2*12 | = | 7,200천원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10,820천원 | |||
- | 건강증진병원 네크워크 회비 1,800,000*1 | = | 1,800천원 | |||
- | 주간행사 2,500,000*1 | = | 2,500천원 | |||
- | 환경조성 3,000,000*1 | = | 3,000천원 | |||
- | 교육용 소책자발간(고혈압,당뇨병등_ 505,000*4 | = | 2,020천원 | |||
- | 참석위원 수당 150,000*5*2 | = | 1,500천원 | |||
○ | 진료수준 제고 위탁교육비
| = | 35,320천원 | |||
- | 진료수준 제고 위탁교육비(진료부)) 18,100,000 | = | 18,100천원 | |||
- | 진료수준 제고 위탁교육비(원무과) 2,060,000 | = | 2,060천원 | |||
- | 진료수준제고 위탁교육비(약제부) 3,260,000 | = | 3,260천원 | |||
- | 진료수준 제고 위탁교육비(간호부)) 11,900,000 | = | 11,900천원 | |||
○ | 전공의 보수 교육비 8,000,000 | = | 8,000천원 | |||
○ | 병원품질관리(QI)관리 10,560,000 | = | 10,560천원 | |||
○ | 프로그램운영 강사료 6,500,000 | = | 6,500천원 | |||
○ | 병원감염관리사업
| = | 6,570천원 | |||
- | 감염관리교육 강사수당 150,000*3 | = | 450천원 | |||
- | 직원감염관리 5,220,000 | = | 5,220천원 | |||
- | 감염 역학조사 900,000*1 | = | 900천원 | |||
○ | 전염병감염예방세트 13,256,000 | = | 13,256천원 | |||
○ | 임상검사 신임인증 3,900,000 | = | 3,900천원 | |||
○ | 복약상담지원시스템 정보 이용 유지 보수
| = | 5,544천원 | |||
- | 복약상담지원시스템 462,000*12 | = | 5,544천원 | |||
○ | 셔틀버스 임차 용역사업
| = | 80,000천원 | |||
○ | 학생건강검진 수송 버스 임차
| = | 10,000천원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사업 교육자료 및 홍보물 제작
| = | 5,500천원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판독비
| = | 30,000천원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판독비 20,000,000 | = | 20,000천원 | |||
- | 노숙인 결핵예방서비스 판독비(국비 50%) 10,000,000 | = | 10,000천원 | |||
○ | 301 네트워크사업(보건의료복지연계센터)
| = | 10,000천원 | |||
- | 의료지원위원회 회의 100,000*7*10 | = | 7,000천원 | |||
- | 홍보물 및 평가자료제작 등 3,000,000*1 | = | 3,000천원 | |||
○ | 결핵전문지원센터 구축 사업비(국비 50%) 130,000,000 | = | 130,000천원 | |||
- | 서울시 TB-Net 기반 전산 구축 50,000,000 | = | 50,000천원 | |||
- | 맞춤형 결핵 홍보비 20,000,000 | = | 20,000천원 | |||
- | 학교등 소집단 위기대응 시스템 개발 30,000,000 | = | 30,000천원 | |||
- | 결핵관리 종사자 잠복결핵 실태조사 20,000,000 | = | 20,000천원 | |||
- | 결핵관리심포지엄 10,000,000 | = | 10,000천원 | |||
○ | 민간공공협력결핵관리사업(국비 50%)
| = | 5,000천원 | |||
- | PPM 상담실 운영비 3,000,000 | = | 3,000천원 | |||
- | PPM 사업 간담회비 2,000,000 | = | 2,000천원 | |||
| ||||||
공공운영비 |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검진차량 유류비 및 유지관리비
| = | 20,000천원 | |||
| ||||||
시책추진업무추진비 |
| |||||
○ | 시책업무추진비
| = | 12,000천원 | |||
- | 입원환자 위로행사 등 2,000,000 | = | 2,000천원 | |||
- | 공공의료서비스향상관리 등 2,000,000 | = | 2,000천원 | |||
- | 진료수준제고 주요업무추진 등 2,000,000*4 | = | 8,000천원 | |||
| ||||||
특정업무경비 |
| |||||
○ | 특정업무경비
| = | 393,600천원 | |||
- | 특정업무수행활동비(간호사,의료기사) 150,000*191*12 | = | 343,800천원 | |||
- | 대민활동비 50,000*83*12 | = | 49,800천원 | |||
| ||||||
사회보장적수혜금 |
| |||||
○ | 사회보장적 수혜금
| = | 100천원 | |||
- | 무의탁환자 귀향여비 등 100,000 | = | 100천원 | |||
| ||||||
사회복무요원보상금 |
| |||||
○ | 공익근무요원보상(급량비) 6,000*20*244 | = | 29,280천원 | |||
| ||||||
행사실비보상금 |
| |||||
○ | 자원봉사자 모집 및 활용사업
| = | 28,800천원 | |||
- | 급량비,교통비 6,000*80*5*12 | = | 28,800천원 | |||
| ||||||
기타보상금 |
| |||||
○ | 불시상해대책비 2,000,000 | = | 2,000천원 | |||
| ||||||
의료및구료비 |
| |||||
○ | 의료비
| = | 2,100,518천원 | |||
- | 의약품
| = | 2,001,650천원 | |||
▹ | 의약품(약제부) 1,392,520,000 | = | 1,392,520천원 | |||
▹ | 의약외품(간호부) 95,040,000 | = | 95,040천원 | |||
▹ | 의약품(진료부) 514,090,000 | = | 514,090천원 | |||
- | 환자용지등 구매
| = | 23,268천원 | |||
▹ | 환자용지(약제부) 7,200,000 | = | 7,200천원 | |||
▹ | 환자용지(원무과) 16,068,000 | = | 16,068천원 | |||
- | 진단검사 위탁검사비
| = | 54,000천원 | |||
- | 방사선 영상 위탁판독비
| = | 21,600천원 | |||
○ | 기타환자 피복비 등
| = | 86,140천원 | |||
- | 기타환자 피복비 등(진료부) 28,900,000 | = | 28,900천원 | |||
- | 기타환자 피복비 등(간호부) 57,240,000 | = | 57,240천원 | |||
○ | 입원환자 급식 위탁운영
| = | 1,784,083천원 | |||
- | 환자급식위탁운영
| = | 1,672,722천원 | |||
- | 경관급식등 구매 3,390*30*3*365 | = | 111,361천원 | |||
○ | 저소득환자공동간병인 위탁운영
| = | 798,420천원 | |||
- | 일반병동인건비 및 부대비용 2,687,000*20*12 | = | 644,880천원 | |||
- | 결핵병동인건비 및 부대비용 2,559,000*5*12 | = | 153,540천원 | |||
○ | 301 네트워크 환자 공동간병인 위탁운영
| = | 161,220천원 | |||
- | 인건비 및 부대비용 2,687,000*5*12 | = | 161,220천원 | |||
○ | 완화의료(호스피스)병동 간병인 위탁운영 2,666,000*24*12 | = | 767,808천원 | |||
|
3 |
| 사 업 설 명 |
|
□ 사업목적 | |
○ |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진료수준 향상 및 공공의료 서비스 만족도 제고 |
○ |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사각지대 대상자 발견 및 치료 후 사회 복귀를 지원하여 지역사회내 보건,복지서비스연계를 통한 공공병원의 역할 |
○ |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사고 원인분석에 따른 개선활동을 통하여 환자 중심의 안전한 병원을 만들고자 함 |
○ | 돌봄 가족이 없거나 간병이 어려운 취약계층 및 일반 환자 대상 공동간병서비스지원으로 공공병원의 시회적 보호기능 강화 |
○ | 시민을 대상으로한 중증말기암환자에게 간병인 파견제도를 확대운영함으로써 공공병원의 역할 강화 및 병원운영 활성화, 세입증대에 기여 |
○ | 복약상담지원시스템 운영으로 의료진에 대한 최신의약품 정보제공 및 복약안내문 제공으로 환자 복약순응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
□ 사업근거 | ||
○ | 법령상 근거 | |
- | 의료법 제4조(의료인과 의료기관의 장의 의무) 및 제30조(협조의무) | |
- | 의료법 제30조 제3항, 제58조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20조제3항(보수교육), 제28조 7(급식관리) | |
- | 병역법 제31조 제6항(공익근무요원의 복무 및 보수 등) | |
- | 결핵예방법 제3조 (국가·지방단체 및 의사 등의 의무) | |
- | 서울특별시 자원봉사활동 지원 조례 및 같은 조례 시행규칙 | |
- |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 |
- | 공공보건의료에관한 법률 제3조(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제7조(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무), 제17조(공공보건의료수행기관의 준수사항 등) | |
- | 약사법 제15조(연수교육) 및 약사법시행규칙 제5조 | |
- | 약사법 제24조제4항(의무 및 준수사항) | |
- | 의료법 제18조 및 동법시행규칙 제12조, 약사법 제28조 및 동법시행규칙 제18조 | |
- | 국민건강증진법 제1조, 제8조, 제9조(국민의 건강증진, 금연 및 금주 등) | |
- | 국민건강보험법 제63조 | |
○ | 기타 근거(방침, 지침 등) | |
- |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설치운영에 관한 규정 | |
- |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간병인운영위원회 규정 | |
- | 서울시 의료공공성 확대정책으로‘보호자없는 병원’도입 | |
- | 서북병원 65330-31(2003.7.24)호(병원장 방침), `노인,치매병동 개원에 따른 무료공동간병`사업 실시 | |
- | 서북병원원무과-10695(2011.6.24)호(병원장 방침), ʼ공공의료사업 확대ʼ | |
- |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약제부 업무규정 | |
- | 서북병원약제부-302(2010.1.27.), ʼ복약상담시스템 설치계획ʼ | |
- | 서울특별시 서북병원 영양관리규정 | |
- | 서북병원원무과-9663(2013.6.20.)(병원장 방침), `입원환자 급식비 운영방법 개선ʼ 검토 | |
- | 희망플랜 2.0 복지정책관 핵심과제 | |
- | 북부병원 301네트워크사업 시립병원 확산 - 시장 지시사항 |
□ 사업내용 | |||
○ | 진료수준 향상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 | ||
- | 지원대상 : 입원 및 외래 환자 등 병원을 방문하는 고객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1) 의료기관 인증지속관리 | ||
▹ | QI관련 위원회 기능강화, 지속관리를 위한 교육 | ||
▹ | 지표관리 및 QI 활동 강화 | ||
▹ | 인증원 지표관리, 의료 질 향상 활동 강화 | ||
- | 사업내용 : (2) 환자중심의 안전한 병원 만들기(감염관리) | ||
▹ | 환자 안전사고 보고 체계 전산화 활성화 | ||
▹ | 안전지킴이 구성 및 안전점검 활동 | ||
▹ | 안전문화 정책을 위한 ‘환자안전주간’행사 | ||
- | 사업내용 : (3) 진료수준제고 위탁 교육비 | ||
▹ | 직원 전문성 강화 및 공공의료기관의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실시 | ||
▹ | 진료수준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실시 | ||
- | 사업내용 : (4) 전공의 보수교육비 | ||
- | 사업내용 : (5) 셔틀버스 임차용역사업 및 학생건강검진 수송버스 | ||
- | 사업내용 : (6) 데이룸 교제 구입 | ||
- | 사업내용 : (7) 임상검사 신임인증 | ||
- | 소요예산 : 171,606천원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및 병원품질(진료수준) 관리 | ||
- | 지원대상 : 시민(청소년 ~ 어르신)등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지역주민과 연계한 건강교육(심폐소생 및 만성질환관리 등) 실시 | ||
▹ | 건강증진병원 네트워크 구축 및 환경조성 | ||
▹ | 건강증진병원 주간행사 : 흡연예방을 위한 홍보활동, 직원대사증후군 관리운영비 | ||
▹ | 청소년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교육 운영 | ||
▹ | 성인 및 청소년 대상 결핵 등 감영성 질환 예방 교육 소책자 구입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사업 운영 : 교육자료 및 홍보물 제작, 판복비, 차량유지비 등 | ||
▹ | 각종사업을 위한 시책추진업무추진 등 | ||
▹ | 불시상해 대책비 | ||
- | 소요예산 : 114,320천원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
- | 지원대상 : 입원환자 및 보호자, 직원, 인근 지역주민 등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결핵관리프로그램 : 맞춤형운동 및 호흡재활프로그램, 당뇨·금연 ·절주교실, 희망더하기 등 | ||
▹ | 치매환자 프로그램 : 잘돌봄프로그램, 회상치료, 효잔치, 크리스마스행사 등 | ||
▹ | 재활·노인환자 프로그램 : 비타민 건강교실, 재활자조모임, 보호자 희망날개 달아주기 등 | ||
▹ | 간호부 직원 직무교육 :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환자 간호를 위한 전문지식 습득 및 사례관리 공유 | ||
▹ | 프로그램 운영 강사료 | ||
- | 소요예산 : 26,900천원 | ||
○ | 결핵안전망 구축(국비 50%) | ||
- | 사업대상 : 결핵환자, 의사, 간호사, 결핵유관기관 등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서울시 TB-NET(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구축사업 | ||
▹ | 서울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결핵환자 발생 예측모형 개발 | ||
▹ | 결핵국제심포지엄 개최 | ||
▹ | 맞춤형 결핵홍보 동영상 및 소집단 결핵발생대응 매뉴얼 제작 | ||
▹ | 결핵환자, 중단환자관리 및 접촉자 검진까지 관리 | ||
- | 소요예산 : 285,000천원 | ||
○ | 복약상담지원시스템 정보이용 및 유지보수 | ||
- | 복약상담지원 시스템 정기 업데이트 및 장애 발생시 복구를 통한 안정적 운용 및 복약상담업무 지원을 위한 원활한 정보 이용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복약안내문, 약품검색 및 허가기준 등 정보제공 | ||
▹ |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의 실물사진, 용법, 효능, 주의사항이 기재된 복약지도문 출력기능 | ||
▹ | 복약상담지원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유지보지 용역비 지급 | ||
- | 소요예산 : 5,544천원 | ||
○ | 의료비 및 구료비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약품 (의약품, 의약외품) 구매 | ||
▹ | 사업내용 : 결핵, 치매, 노인병 환자를 중점적으로 진료하는 특수병원으로 환자진료에 필요한 의약품, 의약외품등 구매 | ||
▹ | 소요예산 : 2,001,650천원 | ||
- | 환자용지 등 구매 | ||
▹ | 사업내용 : 환자에게 교부되는 원외 처방전 및 투약에 필요한 약봉투 및 입원환자 인식을 위한 팔찌등을 인쇄 제작하여 원활한 업무 수행 | ||
▹ | 소요예산 : 23,268천원 | ||
- | 환의 및 입원생활 용품 구매 | ||
▹ | 지원대상 : 입원환자 | ||
▹ | 사업내용 | ||
▹ | (1)병동환자 치료 및 간호에 필요한 주사기 등 의료용품·위생재료·기타 진료재료 등 구매 | ||
▹ | (2)입원생활에 필요한 환의 및 린넨류 구매 | ||
▹ | (3)노숙인 및 저소득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입원생활물품 구매 | ||
▹ | (4)병원 감염 예방을 위한 보호 장비 및 소독제 구입 | ||
▹ | 소요예산 : 86,140천원 | ||
- | 진단검사 위탁 검사비, 방사선 영상 위탁 판독비 | ||
▹ | 소요예산 : 75,600천원 | ||
○ | 저소득환자 및 301네트워크 공동간병인 위탁운영 | ||
- | 돌봄 가족이 없거나 간병이 어려운 취약계층 대상 공동간병서비스 지원으로 공공병원의 사회적 보호기능 강화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제한경쟁(실적제한)을 통한 용역업체 선정, 협상에 의한 계약 | ||
▹ | 파병간병인을 통한 안전한 간병서비스 제공(파견 간병인 교육, 감독, 관리, 평가) | ||
▹ | 매월 활동실적에 따른 용역비 지급 | ||
▹ | 간병인 운영위원회 및 정기 간담회 실시 | ||
- | 소요예산 : 959,640천원 | ||
○ | 완화의료(호스피스) 병동 간병인 위탁운영 | ||
- | 취약계층 대상 중증말기암환자 무료 공동간병 서비스 제도뿐 아니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중증말기암환자에게 간병인 파견제도를 확대 운영함으로써 공공병원의 역할 강화 및 병원운영 활성화, 세입증대에 기여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완화의료병동 간병서비스 23병상 운영 | ||
- | 소요예산 : 767,808천원 | ||
○ | 저소득 환자 재활치료 제고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재활의학과와 신경과의 뇌졸중 및 치매등의 환자를 위해 치료와 검사에 사용하는 각종 교재교구 및 소모품과 교육동기 유발품목, 프로그램운영, 발표회, 전시회, 세미나개최 | ||
▹ | 노령화사회로 인한 전문재활병원 및 치매병원 체계구축을 위해 필요한 치료프로그램 운영 | ||
- | 소요예산 : 23,200천원 | ||
○ | 시민누구나 참여가능한 열린 자원봉사 모집 및 활용 | ||
- | 자원봉사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하여 자원봉사자들의 만족도 향상 방안 마련, 서울 시민 누구나 우리 병원에서 자원봉사에 참여토록 열린 서북병원 자원봉사센터를 운영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자원봉사자 지원(교통비, 식비, 유니폼, 예방접종 지원 등) | ||
- | 소요예산 : 28,800천원 | ||
○ | 301 네트워크사업 운영(301 보건복지의료연계 네트워크 사업) | ||
-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자를 적극 발굴하고, 의료적 치료뿐만 아니라 원활한 지역사회 복귀를 돕는 보건·복지 자원 연계를 통해 의료·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지원 | ||
- | 지원대상 : 의료취약계층(국민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최저생계비 200%이하)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사업내용 | ||
▹ | 의료서비스 : 방문·외래·입원진료, 각종검사, 타의료기관 연계 등 | ||
▹ | 의료비지원 : 본인부담금의 최대 70%까지 지원 | ||
▹ | 무료공동간병 지원 : 간병해 줄 수 있는 보호자가 없는 경우 | ||
▹ | 지역사회자원 연계 : 주거개선, 도시락배달, 기타 물품 지원 등 | ||
▹ | 홍보물 및 사례집등 제작 | ||
- | 소요예산 : 36,980천원 | ||
○ | 입원환자 급식 위탁운영 | ||
- | 지원대상 : 서북병원 입원환자 | ||
- | 사업기간 : 2016. 1 ~ 2016. 12 | ||
- | 규 모 : 일평균 제공식수 360명 | ||
- | 사업내용 : 법정전염병(결핵) 및 일반, 노인·치매 환자에게 급식 제공 | ||
▹ | 일반식 및 치료식 등 치료목적에 맞게 처방된 식사 제공 | ||
▹ |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있어 처방된 경관급식 제공 | ||
▹ | 치료효과 증진을 목적으로 처방된 영양보충식품의 제공 | ||
- | 소요예산 : 1,784,083천원 | ||
▹ | 일반식 환자 : 4,260원*180명*3식*365일=839,646,천원 | ||
▹ | 치료식 환자 : 5,000원*150명*3식*365일=821,250천원 | ||
▹ | 경관급식 등 구매 : 3,390원*30명*3식*365일=111,361천원 | ||
▹ | 경관급식 관리비 : 360원*30명*3식*365일=11,826천원 | ||
○ | 기간제근로자등 보수 외 기타 잡비 | ||
- | 사업내용 | ||
▹ | 기간제근로자등 보수 지급 | ||
▹ | 특정업무수행활동비 | ||
▹ | 무의탁환자 귀향여비 | ||
▹ | 공익근무요원 보상(급식비) | ||
- | 소요예산 : 446,243천원 |
□ 추진경위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
- | 지속적인 질환별 비약물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환자 치료율 향상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 2003년부터 시행되는 지속적인 사업 | |
○ | 저소득환자 301 공동간병인 운영사업 | |
- | 서울시 의료공공성 확대정책으로 ‘보호자없는 병원’ 도입 | |
- | 서북병원원무과-106950(2011.6.24.)호(병원장 방침), ʼ공공의료사업 확대ʼ | |
○ | 301네트워크사업 운영 | |
- | `15.5. : 서북병원 301네트워크 사업 추진계획 수립 | |
- | `15.5~6 : 인프라 및 지역네트워크 구축 | |
- | `15.7 : 의료지원위원회 구성 및 지원 방침 수립 및 본격시행 |
□ 중점추진사항(사업추진의 필요성) | |
|
|
□ 사업추진절차 | |||
○ | 집행절차 | ||
- | 의약품 구매 | ||
▹ | 서울시 의약품 등 통합단가 결정 → 구매 → 경비지급 | ||
- | 저소득환자 및 301네트워크 공동간병인 위탁운영 | ||
▹ | 예산편성 → 예정가격 계약심사 요청(계약심사과) → 입찰공고(재무과) → 입찰공고 → 적격심사 및 업체계약 → 간병서비스 지원 | ||
- | 입원환자 급식위탁운영 | ||
▹ | 처방에 따라 환자 급식 제공 후 제공급식 수량에 대한 급식비 및 경관 구매비용을 월별로 집행 | ||
▹ | 일반식 및 치료식 급식 : 공개경쟁 입찰에 의한 급식용역 운영 | ||
▹ | 경관급식 및 영양보조식품 : 제품 제조사와 연간단가 계약체결하여 월별 집행 | ||
○ | 결핵전문지원센터, 민간공공협력결핵관리사업 | ||
- | 사업계획수립 → 사업시행 → 사업평가 |
사업추진절차 | 추진기간 | 예산집행금액 | 추진세부내용 |
계 |
| 6,836,782 |
|
무기계약근로자보수 | 2016.01~2016.12 | 60,000 | 월별 예산신청 및 집행 |
기간제등근로자등보수 | 2016.01~2016.12 | 174,243 | 월별 예산신청 및 집행 |
질환별특화프로그램운영 | 2016.01~2016.12 | 20,400 | 프로그램에 맞게 계획수립 및 집행 |
건강증진병원운영 및 병원품질 향상 | 2016.01~2016.12 | 17,320 | 계획 수립 및 집행(강사료) |
결핵등 사업운영비 | 2016.01~2016.12 | 190,500 | 결핵안정망사업(결핵전문센터 구축, 민관공공결핵관리사업,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 |
복약상담시스템 | 2016.01~2016.12 | 5,544 | 계획수립 및 집행 |
저소득환자재활치료 | 2016.01~2016.12 | 23,200 | 월별 수요조사후 집행 |
진료수준향상 | 2016.01~2016.12 | 171,606 | 진료수준제고 교육비,전공의 보수교육비, 병원품질관리(qji),감염관리,데이룸교제,셔틀버스임차용역,건강검진수송버스임차 |
301네트워크운영 | 2016.01~2016.12 | 10,000 | 운영계획 수립 및 사업평가회 등 |
의료및구료비 | 2016.01~2016.12 | 2,186,658 | 계획 수립 및 집행(의약품, 의약외품,환자용지등,진단검사,방사선 영상검사 위탁 판독비) |
저소득 및 301 공동 간병인 위탁운영 | 2016.01~2016.12 | 959,640 | 운영계획 수립, 계약, 사업평가회 등 |
완화의료병동 간병인 | 2016.01~2016.12 | 767,808 | 운영계획 수립, 계약, 사업평가회 등 |
입원환자급식위탁운영비 | 2016.01~2016.12 | 1,784,083 | 계획수립 및 집행 |
시책추진업무추진비,특정업무경비(행사실비포함) | 2016.01~2016.12 | 434,400 | 시책업무추진비,특정업무수행활동비,행사실비보상금 |
사회복무요원보상금 등 기타비용 | 2016.01~2016.12 | 31,380 | 무의탁귀향여비, 공익근무요원보상,불시상해대책비 |
4 |
| 사 업 효 과 |
|
□ 최근 3년 추진실적
| ||||
○ | 진료수준향상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 | |||
- | 의료기관 인증 획득 대비를 위한 외부평가 준비 | |||
○ | 서북병원 결핵병동 음압병동 설치 | |||
○ | 공동무료간병인 사업 | |||
- | 간병인운영위원회 운영(목표2회) : 상반기 2회 운영 완료 | |||
- | 간병인교육(목표 연인원900명) : 상반기 547명(61% 달성) | |||
- | 공동간병서비스만족도조사결과(목표90% 이상) | |||
○ | 입원환자 급식 위탁 운영 | |||
- | 일반식 및 치료식 제공 식수 : 356,406식 | |||
- | 경관급식 제공 식수 : 32,247식 | |||
- | 급식비 집행액 : 1,295,461,090원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
- | 잘돌봄 프로그램 등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5,306회 68,511명 | |||
- |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건강증진교육 : 98회 15,097명 | |||
- | 직무전문교육 : 230회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 시민 건강강좌(치매·결핵·낙상예방 등) 운영 : 57회 / 13,828명 | |||
- | 시민 고혈압·당뇨 자조교실 : 38회 / 1,759명 | |||
- | 청소년 현장체험 교육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 18회 / 2,259명 | |||
- | 입원환자 대상 건강증진프로그램 (금연, 절주, 당뇨 교육, 운동프로그램 등 운영1,819회 / 32,384명 | |||
○ | 환의 및 입원생활용품 구매 | |||
- | 환의 등 의료피복비 집행 : 49,385천원 | |||
○ | 의약품 정보제공 및 환자 복약상담 | |||
○ | 저소득환자 재활치료제고 | |||
- | 재활치료 및 미술 음악 신경심리검사, 사회적응훈련 2회실시, 비약물치료 발표회 전시회 세미나 3회 실시 | |||
| ||||
| ||||
○ | 진료수준향상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 | |||
- | 의료기관 인증 지속관리, 지표관리 및 QI활동 강화 | |||
○ | 결핵전문지원센터 설치 | |||
- | 결핵예방 홍보사업 관련 홍보동영상 제작 | |||
- | 학교 결핵예방 관련 홍보동영상 제작 | |||
- | 노숙인 결핵관련 설문지 조사 | |||
- | 노숙인 결핵관련 설문지 조사 | |||
○ | 301네트워크사업운영 | |||
- | 사업계획 수립 | |||
- | 은평구 지역사회 협의체 참여 | |||
- | 301네트원크 기관간 MOU 체결 | |||
○ | 입원환자 급식 위탁 운영 | |||
- | 일반식 및 치료식 제공 식수 : 169,608식 | |||
- | 경관급식 제공 식수 : 15,239식 | |||
- | 급식비 집행액 : 653,694,948원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
- | 잘돌봄 프로그램 등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2,447회 29,177명 | |||
- |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건강증진교육 : 36회 6,446명 | |||
- | 직무전문교육 : 58회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 시민 건강강좌(치매·결핵 예방, 기타 만성병 관리 등) 운영 : 65회/12,420명 | |||
- | 시민 고혈압·당뇨 자조교실 운영 : 5기 / 20회 (1기 4회 과정) | |||
- | 은평구 건강생활 실천협의회 및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시 참여 | |||
- | 청소년 대상『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교육 실시 : 10회 | |||
- | 결핵병동 음압시설 설치 및 유지 : 4개 병동 | |||
- | 서북 둘레길 건강걷기 환경조성 : 1개소 (동관) | |||
- | 손씻기 홍보관 상설 운영 : 2개소 (본관 1층, 동관 외래) | |||
○ | 의약품 정보제공 및 환자 복약상담 | |||
○ | 저소득환자 재활치료 제고 | |||
- | 재활치료 및 사회적응훈련 4회실시, 비약물치료 발표회 및 전시회 세미나 3회 실시 | |||
○ | 병원품질향상(QI)관리 | |||
- | 인증지속을 위한 QI 위원회 개최 5회 | |||
- | 의료질 향상을 위한 지표관리 개최 | |||
| ||||
| ||||
○ | 저소득환자 재활치료 제고 | |||
- | 재활치료 및 사회적응훈련 4회실시, 비약물치료 발표회 및 전시회 세미나 3회 실시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
- | 잘돌봄 프로그램 등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운영 : 1,681회 24,855명 | |||
- |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건강증진교육 : 37회 9,686명 | |||
- | 직무전문교육 : 34회 | |||
○ |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 시민 건강강좌(치매·결핵 예방, 기타 만성병 관리 등) 운영 : 50회/10,693명 | |||
- | 청소년 대상『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교육 실시 : 7회/175명 | |||
- | 직원역량강화(직무,전문,소양 등)교육 : 28회 / 674명 | |||
- | 건강증진병원 환경조성 : 옥상공원 텃밭 가꾸기 추진, 월빙정원산책 꽃길조성등 | |||
○ | 저소득 공동간병서비스 사업 | |||
- | 공동간병 서비스제공 : 무료 742명(연18,784명), 유료 1,904명(연20,756명) | |||
- | 간병위원회 운영 : 2회 | |||
- | 간병인 교육 : 6회 / 173명 | |||
- | 무료 공동간병인 직무교육 및 간담회 실시예정 | |||
○ | 결핵전문지원센터구축 | |||
- | 서울시 TB-NET(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
- | 결핵심포지원 개최예정 | |||
- | 맞춤형 결핵홍보 동영상 및 소집단 결핵발생대응 매뉴얼 제작 배포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 서비스사업 | |||
▹ | 검진인원 : 6,930명 / 객담건수 753회 | |||
|
□ 향후 기대효과
○ | 301 네트워크 사업 | |
- | 대상자 중심의 의료·보건·복지의 맞춤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보장함으로써 지역사회 공공병원으로서의 역할 수행 | |
○ | 찾아가는 결핵예방서비스로 결핵조기퇴치 및 취약계층 결핵치료효율 최대화 | |
○ | 일반병동 포함 결핵병동 3교대 운영으로 야간에도 안전한 환자간병 서비스 제공으로 환자 만족도 향상 및 공공의료서비스 내실화 | |
○ | 3교대 운영 정상화로 간병인력의 업무만족도 향상 및 간병서비스 질 향상 | |
○ | 입원환자 급식위탁운영 | |
- | 환자식, 치료식 계약단가 분리를 통한 치료식 제공의 내실화 | |
- | 경관급식 및 영양보조식품 연간단가 계약 체결을 통한 제공으로 예산절감 | |
○ | 질환별 특화프로그램 및 건강증진병원 운영 | |
- | 질환에 대해 지속적인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환자 치료율 향상 | |
- | 병원 환자 및 보호자,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교육과 건강한 환경조성을 위한 건강증진병원 운영으로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위상 제고 | |
- | 공공의료기관의 건강증진병원사업은 공공성 강화 및 병원 이미지 개선에 기여 | |
○ | 환의 및 침구류, 일상생활 지원 물품 구매로 환자 입원 만족도 향상 | |
○ | 공동간병실 확대운영으로 입원환자 간병비 부담 경감 및 공공병원 간병시스템의 선도적 모델 제시 | |
○ | 돌보기능 서비스 질 관리로 공동간병 이용자 만족도 제고 | |
○ | 환자 만족도 증대 및 환자 가족부담 경감 | |
○ | 복약 안내문 제공으로 환자 복약 순응도 향상 및 최신 의약품 정보 제공으로 의료서비스 향상에 기여 |
5 |
| 최 근 3 년 결 산 현 황 |
|
(단위 : 천원) | |||||||
연도 | 당초예산 | 전년이월 | 예산변경 | 예산현액 | 집행액 | 차년이월 | 집행잔액 |
2012 | (x-) 4,532,891 | (x-) 0 | (x-) 0 | (x-) 4,532,891 | (x-) 4,310,778 | (x-) 0 | (x-) 222,113 |
2013 | (x-) 4,381,928 | (x-) 0 | (x-) 0 | (x-) 4,381,928 | (x-) 4,292,970 | (x-) 0 | (x-) 88,958 |
2014 | (x33,793) 4,621,121 | (x-) 0 | (x-) 0 | (x133,793) 4,721,121 | (x101,614) 4,306,644 | (x-) 0 | (x32,179) 414,477 |
|
2014
(x33,793)
4,621,121
(x-)
0
(x-)
0
(x133,793)
4,721,121
(x101,614)
4,306,644
(x-)
0
(x32,179)
414,477
|
문서 설명
문서 보기
문서보기는 문서변환기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문서를 보여주며, 스크린리더로 문서내용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문서의 경우(pdf파일) 변환 상태에 따라 스크린리더에서 제대로 읽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다음 헤딩3인 첨부파일 목록으로 바로가서 원문을 다운로드하신 후 이용하시면 스크린리더 이용이 더욱 용이합니다. 첨부파일목록 바로가기
* 본 문서는 공문서로서의 법적 효력은 없으며, 위조·변조·도용 등 불법적 활용으로 인하여 발생된 모든 책임은 불법적으로 활용한 자에게 있습니다.
라이브리 소셜 공유